KR200281524Y1 - 다용도 화장용 면봉 - Google Patents

다용도 화장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524Y1
KR200281524Y1 KR2020020000049U KR20020000049U KR200281524Y1 KR 200281524 Y1 KR200281524 Y1 KR 200281524Y1 KR 2020020000049 U KR2020020000049 U KR 2020020000049U KR 20020000049 U KR20020000049 U KR 20020000049U KR 200281524 Y1 KR200281524 Y1 KR 200281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swab
pointed
present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응수
Original Assignee
손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응수 filed Critical 손응수
Priority to KR2020020000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524Y1/ko

Link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화장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끝단이 꺾이지 않고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점점 가늘어지는 뾰족단부를 가지는 봉형상의 본체와, 상기 뾰족단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뾰족단부를 감싸는 화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화장용 면봉{MULTIPURPOSE COSMETIC SWAB}
본 고안은 다용도 화장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끝단이 꺾이지 않고 섬세한 화장 등이 가능한 다용도 화장용 면봉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면봉은 입술이나 눈썹 등을 화장하거나 화장을 지우기 위해 사용하는면봉이다.
도 5는 종래의 화장용 면봉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용 면봉의 본체(120)는 양단이 수직단부(140,160)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은 종래의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용 면봉(100)은 수직인 제1단부(140)와 제2단부(160)를 가지는 봉형상의 본체(120)와 상기 제1단부(140)를 감싸는 제1화장부(200) 및 상기 제2단부(160)를 감싸는 제2화장부(300)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화장용 면봉(100)에서, 단부가 둥근 상기 제2화장부(3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었으나, 단부가 뾰족한 상기 제1화장부(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단부가 꺾이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의 다용도 화장용 면봉(100) 본체(120)는 그 양단이 수직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화장부(200)의 끝단까지 이를 지지해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입술선과 같이 섬세한 화장을 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된 제1화장부(200)는 상대적으로 짧고 뭉특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상기의 종래의 짧고 뭉특한 화장부(300)로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지우는 경우에는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 이외의 부분에도 화장염료가 묻거나 화장을 지우는 부위 이외의 부분도 화장염료가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짧고 뭉특하게 형성되더라도 여전히 그 끝 부분이 꺾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끝단이 꺾이지 않는 다용도의 화장용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화장용 면봉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면봉 12,120: 본체
14,140:제1단부 16, 160: 제2단부
20,200: 제1화장부 30,300: 제2화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은 점점 가늘어지는 뾰족단부를 가지는 봉형상의 본체와, 상기 뾰족단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뾰족단부를 감싸는 화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뾰족단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측이 경사지게 가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단부는 모두 뾰족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화장부는 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10)의 본체(12)는 봉형상으로서 그 양단은 제1단부(14), 제2단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부(14)는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뾰족단부이고 상기제2단부(16)는 수직단부이다. 상기 뾰족단부인 제1단부(14)는 면봉(10)의 용도에 따라 길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14)에는 상기 제1단부(14)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단부(14)를 감싸는 제1화장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단부(14)의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제1화장부(20)의 길이 및 형상도 변형되어, 제1단부(14)를 충분히 길고 가늘고 뾰족하게 형성시켜 상기 제1화장부(20)도 충분히 길고 가늘고 뾰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화장부(20) 내부에는 그 끝단까지 본체(12)의 제1단부(14)가 삽입되어 있는바, 화장부(20)가 가늘고 길게 형성된 경우에도 사용시 꺾이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은 제1단부와 제2단부(14,16)가 뾰족단부로 형성되어, 용도에 따라서 제1화장부(20)와 제2화장부(30) 모두를 충분히 길고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의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14)인 뾰족단부는 그 일측이 경사지게 가늘어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부위를 화장하거나 화장을 지울 때 또는 다른 용도에 따라 제1화장부(20)를 더욱 경사지게 하여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 일측이 경사지게 가늘어진 뾰족단부는 화장용 면봉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용도에 따라 다른 각도로 형성된 화장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에 의하면, 화장부 내부에는 그 끝단까지 본체(12)의 뾰족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화장부가 가늘고 길게 형성된 경우에도 사용시 꺾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화장용 면봉에 의하면, 수직단부에는 타원형의 화장부가 형성되어 있어, 눈두덩과 같은 부위를 러프(rough)하게 화장하거나 지우는데 적합한 화장을 할 수 있으며, 뾰족단부에는 끝단이 뾰족한 원추형의 화장부가 형성되어 있어, 입술선과 같은 부위를 섬세하게 화장하거나 지우는데 적합한 다용도 화장용 면봉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화장부가 충분히 가늘고 뾰족하므로 상기 다용도 화장용 면봉을 사용하여 귀를 청소하는 경우, 특히 어린 아이들의 귀를 청소하는데 특히 적합하게 된다.
또한 양단부를 모두 뾰족단부로 형성하여, 용도에 따라서 제1화장부와 제2화장부 모두를 충분히 길고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양 뾰족단부의 길이와 형상을 상호 달리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뾰족단부를 그 일측이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좀더 섬세한 화장을 하거나 지울 때 더욱 적합한 다용도 화장용 면봉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점점 가늘어지는 뾰족단부를 가지는 봉형상의 본체와, 상기 뾰족단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뾰족단부를 감싸는 화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뾰족단부는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뾰족단부는 그 일측이 경사지게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단부가 모두 뾰족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장용 면봉.
KR2020020000049U 2002-01-02 2002-01-02 다용도 화장용 면봉 KR200281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49U KR200281524Y1 (ko) 2002-01-02 2002-01-02 다용도 화장용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49U KR200281524Y1 (ko) 2002-01-02 2002-01-02 다용도 화장용 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524Y1 true KR200281524Y1 (ko) 2002-07-12

Family

ID=7307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049U KR200281524Y1 (ko) 2002-01-02 2002-01-02 다용도 화장용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5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26B1 (ko) 2005-11-08 2007-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26B1 (ko) 2005-11-08 2007-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786B2 (ja) 特にリップ用化粧品の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AR029698A1 (es) DISPOSITIVO PARA LA APLICACION DE UN PRODUCTO, PARTICULARMENTE DE MAQUILLAJE O DE CUIDADO, SOBRE LAS FIBRAS QUERATíNICAS, EN PARTICULAR LAS PESTANAS O LAS CEJAS
DE502006003593D1 (de) Facettengelenkfräser
CA2406491A1 (en) Clear package
BRPI0403161A (pt) Aplicador de produto cosmético e dispositivo de acondicionamento e de aplicação de um produto
CA2540952A1 (en) Silicone rolling pin
CA2325470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KR200281524Y1 (ko) 다용도 화장용 면봉
KR102652807B1 (ko) 화장용 브러시
USD469257S1 (en) Hair brush with oval body
KR200414855Y1 (ko) 마스카라의 구조
GB2371483A (en) Sunshade device
WO2004100701A3 (en) Hair coloring tool
US20050098193A1 (en) Hollow cylinder toothpick
JP3132093U (ja) 化粧用筆
KR200437115Y1 (ko) 헤어밴드
JPH10165224A (ja) 化粧用等のブラシ
CN210631247U (zh) 一种可拆卸的宫颈采样拭子
JPH053345Y2 (ko)
JP3735564B2 (ja) 蝶番
USD407067S (en) Spark plug protector cap
KR200233942Y1 (ko) 솔이 내장된 립스틱
KR200262454Y1 (ko) 아이라이너 솔의 구조
KR200233927Y1 (ko) 안전 머리핀
JP2005319217A (ja) ヘア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