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50Y1 -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 Google Patents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50Y1
KR200281350Y1 KR2020020010230U KR20020010230U KR200281350Y1 KR 200281350 Y1 KR200281350 Y1 KR 200281350Y1 KR 2020020010230 U KR2020020010230 U KR 2020020010230U KR 20020010230 U KR20020010230 U KR 20020010230U KR 200281350 Y1 KR200281350 Y1 KR 20028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quartz tube
heating
type heat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석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산
Priority to KR2020020010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50Y1/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단부는 반사판에 고정되며 표면에는 열선이 감겨져 있는 세라믹 재질의 발열부 본체; 상기 발열부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발열부 본체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석영관; 및 상기 석영관을 발열부 본체에 고정하도록 발열부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세라믹 재질의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영관은 발열부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된 홈 및 덮개가 발열부 본체 후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점토(백토)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heat generating part structure for electric fan type heater}
본 고안은 선풍기형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를 변경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형 히터는 발열체(예를 들어,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를 부착 구성하기 위한 보빈과, 발열체로부터 발생된열을 반사시켜 전면을 향해 열기를 복사하도록 보빈의 후단에 배치되는 반사판 등이 구성된 난방기구를 일컫는다.
이 같은 선풍기형 히터는 산화막 처리를 하지 않은 NiCr 또는 FeCr을 열선(발열체) 재질로 사용한 관계로 전기 스파크가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열선의 가열 및 팽창에 기인하여 발열체가 보빈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같이 보빈으로부터 이탈된 열선은 자칫 끊어질 염려가 많아 난방기로서의 역할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 나아가서는 감전 및 화재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열선이 감겨져 있는 보빈에 원통형 석영관을 덮어 씌워 열선을 보호하도록 한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제품들은 석영관을 세라믹 재질의 보빈 본체에 세라믹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열충격에 의해 석영관의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석영관과 보빈 본체 그리고 세라믹 본드의 열충격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이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500℃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석영관의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보빈에 대한 석영관 고정시, 열충격에 의해 석영관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선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져도 열선이 보빈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한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단부는 반사판에 고정되며 표면에는 열선이 감겨져 있는 세라믹 재질의 발열부 본체; 상기 발열부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투명 혹은반투명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발열부 본체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석영관; 및 상기 석영관을 발열부 본체에 고정하도록 발열부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세라믹 재질의 석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영관은 발열부 본체의 전단부에 형성된 홈 및 덮개가 발열부 본체 후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점토(백토)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발열부의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열부 3 ------ 석영관
4 ------ 열선 5 ------ 덮개
6, 8 ------ 홈 11 ------ 발열부 본체 전단부
12 ------ 보빈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발열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부 본체(1)는 발열부의 주된 몸체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발열부 본체(1)는 기본적으로 보빈으로 칭하여지는 부분이다. 발열부 본체(1)의 후단부는 반사판(도시 생략)에 고정되고, 표면 전체 둘레에는 발열체인 열선(4)이 소정회수 감겨져 있다.
상기 발열부 본체(1)는 표면 둘레에 열선(4)이 감겨진 상태에서 원통형상의 석영관(3)이 덮여지도록 구성되며, 이 석영관(3)은 양단이 개방된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석영관(3)을 발열부 본체(1)에 고정시키기 위해 세라믹 재질의 덮개(5)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발열부 본체(1) 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이때 상기 발열부 본체(1) 전단부(11) 내측(발열체 방향)에는 석영관(3)이 삽입될 정도의직경을 갖는 홈(6)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5)가 발열부 본체(1)의 후단부에 삽입되면 자연적으로 발열부 본체(1) 후단부와 덮개(5)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공간의 홈(8)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홈(6)(8)에 석영관(3)의 양단을 삽입한 후 점토를 이용 고정함으로써 석영관(3)이 발열부로부터 받는 열충격을 완화하여 석영관의 크랙(crack)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석영관(3)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제조되며, 열충격에 강하도록 1700℃의 용융점을 가지며, 1000℃ 이상의 고온상태에서는 액체(물)를 끼얹어도 크랙(crack)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광학적, 물리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발열부 본체(1)의 보호에 가장 이상적인 재료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석영관(3)의 발열부 본체(1)에 대한 고정수단으로 사용되는 점토(백토)는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진 구성부분을 서로 고정하는데 있어 적합한 재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형 히터 발열부 구조는, 종래 석영관을 덮어씌운 히터 발열부가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함으로써 선풍기형 히터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단부는 반사판에 고정되며 표면에는 열선(4)이 감겨져 있는 세라믹 재질의 발열부 본체(1);
    상기 발열부 본체(1)의 전단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발열부 본체(1)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석영관(3); 및
    상기 석영관(3)을 발열부 본체(1)에 고정하도록 발열부 후단에 삽입 고정되는 세라믹 재질의 덮개(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3)은 발열부 본체(1)의 전단부(11)에 형성된 홈(6) 및 덮개(5)가 발열부 본체(1) 후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8)에 삽입되어 점토(백토)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KR2020020010230U 2002-04-04 2002-04-04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KR200281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30U KR200281350Y1 (ko) 2002-04-04 2002-04-04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30U KR200281350Y1 (ko) 2002-04-04 2002-04-04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50Y1 true KR200281350Y1 (ko) 2002-07-13

Family

ID=7307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230U KR200281350Y1 (ko) 2002-04-04 2002-04-04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0584B (zh) 发热组件以及加热装置
JP3884023B2 (ja) 電気調理器
JPH03205725A (ja) 温度スイッチ
KR200281350Y1 (ko) 선풍기형 히터의 발열부 구조
EP2130404B1 (en) Heating device
EP2092237B1 (en) Electric reflector lamp
KR200245961Y1 (ko) 선풍기형 히터 발열부
KR200248805Y1 (ko) 히터용 발열장치
JP6703652B1 (ja) 照明デバイス、照明器具、及び製造方法
US1699737A (en) Electrical heating element
JP2008135313A (ja) 発熱体ユニット及び加熱装置
JP4599358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の製造方法
JP4340677B2 (ja) 発熱ユニット及び加熱装置
KR200244088Y1 (ko) 과열방지를 위한 원적외선 히터의 전열 코일 장착구조
KR200389884Y1 (ko) 전기 온수기
JP4741929B2 (ja) 赤外線電球及び加熱装置
JP2002106853A (ja) 加熱調理器
KR200229273Y1 (ko) 원적외선 히터의 전열선 장착구조
KR200327996Y1 (ko) 전기히터
JPS59128790A (ja) ガラス管ヒ−タ
JP2004333098A (ja) 電気炉
KR200229344Y1 (ko) 원적외선 히터의 전열선 장착구조
JP2001217063A (ja) 高輻射ヒータ
KR200295072Y1 (ko) 전기히터용 발열 조립체
JPH0533949A (ja) 電気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