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23Y1 -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23Y1
KR200281323Y1 KR2020020009628U KR20020009628U KR200281323Y1 KR 200281323 Y1 KR200281323 Y1 KR 200281323Y1 KR 2020020009628 U KR2020020009628 U KR 2020020009628U KR 20020009628 U KR20020009628 U KR 20020009628U KR 200281323 Y1 KR200281323 Y1 KR 20028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inder
drive
gea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성
Original Assignee
장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성 filed Critical 장창성
Priority to KR2020020009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23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구동기어와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연동기어 구조의 설계, 컨테이너 하부에 설치되는 하중형성부재 및 고무재의 지지돌기를 통해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컨테이너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하부의 연동기어가 구동기어의 내측면으로 자동으로 삽입되어 그 동심이 유지되록 함으로써 정확한 동심의 유지 상태에서 기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내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의 치(齒)에 관계하는 치(齒)가 외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구동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구동기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연동되는 연동기어; 분쇄기 본체의 상부면에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상의 사방에 동일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재의 지지돌기; 지지돌기에 관계하는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다수 형성되어 분쇄기 본체에 컨테이너의 안착시 지지돌기에 결합되는 지지요홈; 및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결합되어 일정 크기의 하중을 통해 컨테이너의 하중이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실릴 수 있도록 하는 금속재의 하중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A concentric keeper of a crusher having mixer function}
본 고안은 믹서 기능을 겸비한 가정용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믹싱 및 분쇄가 이루어지는 컨테이너를 분쇄기 본체에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의 동심이 자동으로 유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과 산업의 발전을 통해 우리의 생활은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도 윤택해졌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우리의 식생활 문화 역시 각 종 편의 제품들의 등장으로 인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등장은 우리의 식생활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주었음은 당연한 사실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믹서 기능을 겸비한 가정용 분쇄기는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과일류 등을 분쇄칼날을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믹싱을 하거나 소정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쇄기는 각 가정의 주방에서 없어서는 아니 될 만큼 그 사용이 보편화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믹서 기능을 겸비한 가정용 분쇄기는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이 믹싱 또는 분쇄되는 컨테이너와 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구조의 분쇄기와 본체에 컨테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구조의 분쇄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체형이나 분리형 구조의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장된 본체,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이 믹싱 또는 분쇄되는 컨테이너, 컨테이너의 하부에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연동되는 연동축 및 컨테이너 내측의 연동축 상단에 설치되어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을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분쇄칼날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믹서 기능이 겸비된 분쇄기는 각 종 곡물, 야채 및 과일류 등을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넣은 다음,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연동축이 구동모터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쇄칼날이 회전하면서 컨테이너 내부의 각 종 곡물, 야채 및 과일류 등을 분쇄하거나 믹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내부의 각 종 곡물, 야채 및 과일류 등을 분쇄하거나 믹싱한 후에는 컨테이너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분쇄되거나 믹싱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쏟아낸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는 컨테이너를 분쇄기 본체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구동수단과 연동수단의 동심이 일치되게 하여야만 컨테이너의 안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주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착오나 실수로 인하여 분쇄기 본체의 구동수단과 컨테이너 하부측 연동수단의 동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기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구동기어와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연동기어 구조의 설계, 컨테이너 하부에 설치되는 하중형성부재 및 고무재의 지지돌기를 통해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컨테이너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하부의 연동기어가 구동기어의 내측면으로 자동으로 삽입되어 그 동심이 유지되록 함으로써 정확한 동심의 유지 상태에서 기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쇄기 본체와 컨테이너의 동심이 일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 보수에 따른 인력이나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분쇄기 본체와 컨테이너의 동심이 일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본체와 컨테이너를 분리하여 보인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컨테이너 하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본체와 컨테이너를 결합하여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연동수단을 보인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분쇄기 110. 분쇄기 본체
120. 컨테이너 130. 구동모터
142. 연동기어 144. 연동축
146. 베어링 148. 연동측 커플링
150. 분쇄칼날 170. 개폐뚜껑
180. 하중형성부재 190. 교방봉
200. 방수용 밀봉부재 210. 방수용 밀봉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하부구조를 이루는 분쇄기 본체, 분쇄기 본체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내부에서 믹싱과 분쇄가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축 및 연동축의 상단에 설치되어컨테이너 내부의 내용물을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분쇄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믹서 겸용 분쇄기에 있어서, 내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의 치(齒)에 관계하는 치(齒)가 외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연동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구동기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연동되는 연동기어; 분쇄기 본체의 상부면에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상의 사방에 동일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재의 지지돌기; 지지돌기에 관계하는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다수 형성되어 분쇄기 본체에 컨테이너의 안착시 지지돌기에 결합되는 지지요홈; 및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결합되어 일정 크기의 하중을 통해 컨테이너의 하중이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실릴 수 있도록 하는 금속재의 하중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구동기어의 치(齒) 상단면과 연동기어의 치(齒) 하단면 각각에는 구동기어의 내측면으로 연동기어를 삽입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모따기면이 더 형성됨이 양호하다.
전술한 지지돌기 각각의 상단면에는 구동기어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다수의 지지돌기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4 방위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정삼각형이나 정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방위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구동기어는 분쇄기 본체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구동측 커플링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보호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믹서 겸용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본체와 컨테이너를 분리하여 보인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컨테이너 하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본체와 컨테이너를 결합하여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연동수단을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100)의 동심 유지장치는 구동모터(130)가 내장되어 하부구조를 이루는 분쇄기 본체(110), 믹싱과 분쇄가 이루어지는 컨테이너(120),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30)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축(144) 및 연동축(144)의 상단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내부의 내용물을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분쇄칼날(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믹서 겸용 분쇄기(100)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100)의 동심 유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구동모터(130)의 구동축(132)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34), 구동기어(134)의 치(齒)에 관계하는 치(齒)가 외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연동축(144)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구동기어(134)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30)의 구동시 연동되는 연동기어(142),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상의 사방에 동일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재의 지지돌기(114), 지지돌기(114)에 관계하는 컨테이너(120) 하부면 상에 다수 형성되어 분쇄기 본체(110)에 컨테이너(120)의 안착시 지지돌기(114)에 결합되는 지지요홈(124) 및 컨테이너(120) 하부면 상에 결합되어 일정 크기의 하중을 통해 컨테이너(120)의 하중이 분쇄기 본체(120)의 상부로 실릴 수 있도록 하는 금속재의 하중형성부재(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100)의 동심 유지장치는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에 컨테이너(120)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에 더하여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이 연동기어(142)를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로 작용하기 때문에 연동기어(142)는 구동기어(134)의 내주면으로 자동으로 삽입된다. 이때, 지지돌기(114) 역시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에 더하여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을 통해 가압을 받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히 컨테이너 하부의 지지요홈(124)에 결합되려는 경향으로 인하여 구동기어(134)와 연동기어(142)의 동심이 일치되도록 하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기어(134)의 치(齒) 상단면과 연동기어(142)의 치(齒) 하단면 각각에는 구동기어(134)의 내측면으로 연동기어(142)를 삽입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모따기면(134a, 142a)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앞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에 컨테이너(120)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과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이 작용하여 구동기어(134)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동기어(142)가 압력을 받고 있고, 또한 지지돌기(114) 역시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에 더하여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을 통해 가압을 받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히 컨테이너 하부의 지지요홈(124)에 결합되려는 경향으로 인하여 연동기어(142)는 구동기어(134)의 내주면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전술한 지지돌기(114) 각각의 상단면에는 구동기어(134)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면(114a)이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면(114a)은 안착되는 컨테이너의 방향이 어느 정도 틀어지더라도 슬라이드되면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요홈(124)과 지지돌기(114)의 각도가 어느 정도 틀어지는 경우에도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에 더하여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을 통해 동심방향으로 회전과 슬라이드되면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100)의 동심 유지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의 믹서 겸용 분쇄기(1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겸용 분쇄기(10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30)가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분쇄기 본체(110),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이 믹싱 또는 분쇄되는 컨테이너(120),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상하의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30)에 연동되는 연동수단(140), 컨테이너(120)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연동수단에 의한 회전을 통해 각 종 곡물이나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을 분쇄 및 믹싱하는 분쇄칼날(150),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분쇄기 본체(110)의 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수 조절다이얼(160),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여 구동모터(130)를 구동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분쇄기 본체(110)의 전면 적소에 설치된 가동선택 스위치(162), 구동모터(130)의 가동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분쇄기 본체(110)의 전면 적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타이머와 같은 구동시간 설정다이얼(164) 및 컨테이너(12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뚜껑(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분쇄기(100)에서 구동모터(130)의 구동축(132)은 내측에서 분쇄기 본체(110)의 상향을 향해 설치되고, 구동축(132)의 상단에는 내주면 상에 치(齒)가 형성된 구동기어(134)가 설치되어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구동측 커플링(136)의 내주면에 의해 보호된다.
한편, 전술한 연동수단(140)은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것으로, 이 연동수단(140)은 구동기어(136)의 치(齒)에 관계하는 치(齒)가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구동기어(136)의 내주면 상에서 치결합되는 연동기어(142), 연동기어(142)의 상부측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연동축(144), 연동축(144)의 외주면에 내륜을 통해 압입되어 연동축(1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2 개의 베어링(146) 및 연동축(144)이 삽입되는 축삽입공(148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한편 하부의 내측에는 내주면을 통해 베어링(146)의 외륜을 지지하는 공동(148b)이 형성되어 믹싱과 분쇄가 이루어지는 컨테이너(120) 하부측에 설치되는 연동측 커플링(148)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동수단(140)은 연동축(144)의 하단에 연동기어(142)가 설치 고정된 상태에서 연동기어(142) 상부측의 연동축(144) 외주면에 2 개의 베어링(146)이 내륜을 통해 압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동측커플링(148)의 하부측 공동(148b)을 통해 축삽입공(148a)으로 연동축(144)의 상부측이 관통하여 설치되어지되 베어링(146)의 외륜은 공동(148b)의 내주면 상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연동수단(140)은 연동측 커플링(148)을 컨테이너(120) 하부의 내측으로부터 커플링 결합구(122)를 통해 나사 결합되어 연동기어(142)가 컨테이너(120)의 하부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연동수단(140)의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연동측 커플링(148)은 공동(148b)의 내주면을 통해 베어링(146)을 지지 고정하고, 연동축 커플링(148)의 공동(148b) 내주면에 지지 고정된 베어링(146)은 연동축(1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기어(134)의 치(齒) 상단면과 연동기어(142)의 치(齒) 하단면 각각에는 구동기어(134)의 내측면으로 연동기어(142)를 삽입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모따기면(134a, 142a)이 더 형성되어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에 컨테이너(120)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120)의 자체 하중과 하중형성부재(180)의 하중에 의해 연동기어(142)가 구동기어(134)의 내주면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면과 컨테이너(120)의 하부면에는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면으로 컨테이너(120)를 안착시킬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동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먼저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20)의 안착시 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무재의 쿠션부재(112), 쿠션부재(112)의 상부측 4 방위에 고무재로 이루어져 탄력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14) 및 컨테이너(120) 하부면 4 방위에 지지돌기(114)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지지요홈(12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컨테이너(120) 안착시 동심 유지수단에서 지지돌기(114)는 쿠션부재(112) 상부측 정사각형을 이루는 꼭지점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4 방위에 형성되고, 지지요홈(124) 역시 지지돌기(114)에 관계하여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컨테이너(120)를 안착시키는 경우 지지돌기(114)와 지지요홈(124) 각각이 정사각형을 이루기 때문에 그 방향성에 관계없이 지지돌기(114)와 지지요홈(124)만 일치시키면 컨테이너(120)의 안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지지돌기(114)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어느 정도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따른 분쇄 및 믹싱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120)의 하부측에는 컨테이너(120)의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형성하기 위해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심원 형태의 하중형성부재(180)가 나사결합 또는 기타 다양한 고정방법으로 조립 고정된다.
컨테이너(120)는 원형,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120)의 내측면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126)가 형성되어 컨테이너(120)의 내구성을 보강되도록 하는 동시에 내용물을 분쇄하는 경우 분쇄기능을 보조할 수있도록 하였다.
컨테이너(120) 상부측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170) 중심부에는 관통공(17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72)에는 보조뚜껑(174)이 구비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개폐뚜껑(170)의 관통공(172)으로는 컨테이너(120) 내부의 내용물이 분쇄칼날(150)의 회전에 의해 분쇄나 믹싱이 이루어지지 않을시 내용물을 강제로 눌러주기 위한 교반봉(190)이 삽입된다. 이때, 교반봉(190)의 삽입 깊이는 컨테이너(120) 깊이의 약 2/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쇄칼날(150)과 교반봉(19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교반봉(190)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의 내용물을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경우에 개폐뚜껑(170)의 관통공(172)은 보조뚜껑(174)에 의해 폐쇄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믹서 겸용 분쇄기(100)에는 액상 상태의 내용물을 분쇄 및 믹싱하는 경우 연동축(144)을 통해 컨테이너(120) 내부의 액체가 분쇄기 본체(110)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위한 방수구조가 구성된다. 즉, 연동수단(140)을 통해 컨테이너(120) 내부의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동수단 방수구조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축(144)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축압입공(2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연동축(144)의 외주면에 압입 체결시 축압입공(202)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압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연동축(144)의 외주면과 축압입공(202) 내주면사이를 밀봉하는 방수용 밀봉부재(200) 및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외주면과 연동측 커플링(148)의 공동(148b) 내주면 사이를 밀봉하는 방수용 밀봉링(21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동수단 방수구조에서 방수용 밀봉부재(200)는 동심원으로 형태로 이루어지고, 축압입공(202)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연동축(144)의 외주면에 방수용 밀봉부재(200)를 압입 체결시 축압입공(202)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압입이 가해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돌출됨으로써 축압입공(202)이 탄성 변형된 상태의 내주면 상에 연동축(144)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어느 정도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축압입공(202) 하부 내측에는 공동(204)이 형성되어 연동축(144)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축압입공(202)의 탄성 변형되는 부분만을 통해 연동축(144)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밀봉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는 연동축(144)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축압입공(202) 내주면의 접촉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구동모터(13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축압입공(202)을 형성하는 일부 두께만이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모터(13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축압입공(202) 내주면은 고속회전하는 연동축(144)의 외주면에 상시 접촉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열의 방생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방수용 밀봉부재(200)는 연동축(144)이 고속회전하는 과정에서도 축압입공(202) 내주면이 연동축(144)의 외주면 상에 밀착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해야 하는 구성이므로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그 탄성력이 연동축(144)의 회전에 장애를 줄 만큼의 탄성력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축압입공(202)의 구성은 연동축(144)과 방수용 밀봉부재(200) 사이의 밀봉을 통해 연동축(144)과 방수용 밀봉부재(200)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방수용 밀봉부재(200)는 연동측 커플링(148)의 공동(148b) 내측 하부면과 베어링(146) 사이의 연동축 외주면에 결합된다. 즉, 방수용 밀봉부재(20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연동축(144)이 설치 고정된 상태의 연동기어(142) 상부측의 연동축(144) 외주면에 내륜을 통해 압입되는 2 개의 베어링(146) 상부측으로 연동축(144)의 상단을 통해 압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를 돌며 링 결합홈(206)이 형성되고, 이 링 결합홈(206) 상에는 고무재의 방수용 밀봉링(210)이 체결되어 방수용 밀봉부재(200)의 외주면과 연동측 커플링(148)의 공동(148b) 내주면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믹서 겸용 분쇄기(100)는 각 종의 곡물이나 채소, 야채류 등을 믹싱 및 분쇄 그리고 고속회전에 의한 열을 통해 조리까지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믹서 겸용 분쇄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종의 곡물이나 채소, 야채류 등의 내용물을개폐뚜껑(170)을 개방하여 컨테이너(120) 내부로 투입하여 컨테이너(120) 상부 및 관통공(172)를 폐쇄한 후, 구동모터(130)를 가동선택 스위치(162)를 통해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연동축(144)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분쇄칼날(150)의 회전이 이루어져 내용물의 분쇄 및 믹싱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100)의 컨테이너(120)에는 다수의 리브(126)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이 분쇄칼날(15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믹싱 내지 분쇄되는 경우 리브(126)와 상호 접하면서 믹싱 및 분쇄 효율이 극대화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개폐뚜껑(170)의 관통공(172)에 체결된 보조뚜껑(174)을 분리한 후, 교반봉(190)을 컨테이너 내부로 삽입하여 내용물을 교반시키면 분쇄칼날(150)에 의해 내용물이 회전되는 경우 중앙부의 공동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믹싱 및 분쇄효율은 보다 향상된다.
특히, 곡물류 등을 분쇄하는 경우에 있어 교반봉(190)을 통해 곡물류를 눌러주게 되면 내용물 분쇄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믹서 겸용 분쇄기(100)는 내용물에 따라 구동모터(130)의 회전수를 회전수 조절다이얼(160)을 통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30)의 가동시간 역시 구동시간 설정다이얼(164)을 통해 작동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구동기어와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연동기어 구조의 설계, 컨테이너 하부에 설치되는 하중형성부재 및 고무재의 지지돌기를 통해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컨테이너를 안착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하부의 연동기어가 구동기어의 내측면으로 자동으로 삽입되어 그 동심이 유지되록 함으로써 정확한 동심의 유지 상태에서 기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분쇄기 본체와 컨테이너의 동심이 일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 보수에 따른 인력이나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분쇄기 본체와 컨테이너의 동심이 일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하부구조를 이루는 분쇄기 본체,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내부에서 믹싱과 분쇄가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축 및 상기 연동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내용물을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분쇄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믹서 겸용 분쇄기에 있어서,
    내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치(齒)에 관계하는 치(齒)가 외주면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연동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기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연동되는 연동기어;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부면에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상의 사방에 동일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재의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에 관계하는 상기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분쇄기 본체에 상기 컨테이너의 안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결합되는 지지요홈; 및
    상기 컨테이너 하부면 상에 결합되어 일정 크기의 하중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이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부로 실릴 수 있도록 하는 금속재의 하중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치(齒) 상단면과 연동기어의 치(齒) 하단면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면으로 상기 연동기어가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모따기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각각의 상단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4 방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구동측 커플링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보호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KR2020020009628U 2002-03-30 2002-03-30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KR20028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8U KR200281323Y1 (ko) 2002-03-30 2002-03-30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8U KR200281323Y1 (ko) 2002-03-30 2002-03-30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674A Division KR20030078557A (ko) 2002-03-30 2002-03-30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23Y1 true KR200281323Y1 (ko) 2002-07-13

Family

ID=730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28U KR200281323Y1 (ko) 2002-03-30 2002-03-30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6924A (en) Mixing device
KR101628633B1 (ko) 얼음분쇄겸용 음식물 믹서기
KR200281323Y1 (ko)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KR20030078557A (ko) 믹서 기능을 겸비한 분쇄기의 동심 유지장치
KR100428951B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KR200393606Y1 (ko)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US20070291583A1 (en) Drink blender system with a single use disposable lid
KR20030089801A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81324Y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KR100323245B1 (ko) 믹서구조
KR200283309Y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증기 배출구조
KR200374267Y1 (ko) 전기 믹서기
KR880001353Y1 (ko) 만능 분쇄기
KR200368614Y1 (ko) 곡물 분쇄기
KR200349209Y1 (ko) 가열장치가 구비된 믹서기
KR200324383Y1 (ko) 식품분쇄기
KR200187991Y1 (ko) 믹서 겸용 분쇄기
CN208339425U (zh) 搅拌刀组件、搅拌杯组件及食物处理机
KR200349323Y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KR100500789B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KR200390474Y1 (ko) 다용도 분쇄기
JP2000201837A (ja) 電動調理機
CN216823036U (zh) 料理刀具组件和包括其的料理机
KR200379916Y1 (ko) 용기에 열흡수재가 장착된 식품가공기
KR200322278Y1 (ko) 믹서기의 분쇄용기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