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22Y1 -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 Google Patents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22Y1
KR200281322Y1 KR2020020009625U KR20020009625U KR200281322Y1 KR 200281322 Y1 KR200281322 Y1 KR 200281322Y1 KR 2020020009625 U KR2020020009625 U KR 2020020009625U KR 20020009625 U KR20020009625 U KR 20020009625U KR 200281322 Y1 KR200281322 Y1 KR 200281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ingle
rainwater
shingl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순 모 박
Original Assignee
순 모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 모 박 filed Critical 순 모 박
Priority to KR2020020009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22Y1/ko

Link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지붕재인 슁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슁글의 접착되는 부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접착되는 부분의 형태를 변형시켜 접착력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슁글의 틈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시켜 빗물의 누수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판의 일측부에 요철(凹凸)형상의 돌출블럭이 연장 형성하되, 상기 돌출블럭 및 평판의 일부분을 포함한 일측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 평판의 끝단부에는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가 형성되는 슁글에 있어서; 상기 평판 중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가 형성된 그 타측부에 골형상을 이루는 상기 돌출블럭의 골부분인 상기 평판상면에 역수차단용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Shingle member with function of prevention of rain water}
본 고안은 건축용 지붕재인 슁글(Shing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슁글과 접착되는 부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접착되는 부분의 형태를 변형시켜 접착력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슁글의 틈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시켜 빗물의 누수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슁글(Shingle)은 합성수지 또는 무기물을 혼합한 합성수지재로 가옥 등의 지붕재에 기와 대신에 사용되는 건축용 지붕재이다.
이와 같은 슁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300)의 일측에 요철형태로 연장 형성시켜 돌출불럭(500)을 다수개 형성시키되, 일면에 고은 모래가 도포되어 있고, 이면에는 굵은 모래가 도포된 형태로 되어있으며, 그 중 고은 모래가 도포된 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700)가 도포되어 있어 시공시 건축물의 지붕에 겹치도록 붙여 시공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는 일면에만 접착 층이 형성되어 있어 슁글(100)과의 접착력이 강력하지 못하여 우천시 슁글(100)의 겹치는 부분의 틈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데, 특히 기초면의 경사가 원만한 경우에는 빗물의 스며드는 량이 많아 지붕재로서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다른 형태로써, 상기와 같은 형태는 종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싱글(100)은 상기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평판(300)의 일측부에 다수개의 돌출불럭(500)과 절개부(200)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 고은 모래가 도포된 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700)가 도포되며, 굵은 모래가 도포된 일면 중 절개부(200) 쪽에는 길이방향의 점선형태인 보강 접착부(700a)가 도포된 형성로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슁글(100)은 아스팔트 슁글과의 첩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다른 일면에 점선형태의 보강 접착부(700a)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또한 점선형태로 되어 있어 슁글(100)과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우천시 기초면의 경사가 원만한 경우에는 점선형태의 보강 접착부(700a)사이와 절개부(200)사이로 빗물이 스며들게 때문에 지붕재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에는 방수기능을 갖는 시트를 기초면에 시공한 다음 슁글(100)의 시공이 이루어지나, 상기와 같은 슁글(100)이 지붕재로서의 기능을 갖지 못하므로 큰 효과를 이루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평판 중 상기 돌출블럭(500) 및 평판(300)의 일부분을 포함한 일측면에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700)가 형성된 타측면 끝단부에 길이방향의 보조접착부(900)를 형성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보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평판(30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력을 갖는 보강접착부(900)에 다른 슁글(100)의 이면인 접착부(700)면이 부착되어 슁글과의 접착력이 강력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우천시 빗물이 슁글(100)의 중첩된 틈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보강접착부(900)에 막혀 빗물이 차단 즉, 빗물의 역수가 차단되어 빗물이 슁글을 통하여 지붕에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빗물이 장기적으로 계속해서 스며들게 될 경우 빗물의 역수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블럭의 골형상 부분에 역수차단용 접착부가 형성하여 접착력을 강하시킴과 동시에 우천시 슁글의 틈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시켜 빗물의 누수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슁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슁글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 슁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슁글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슁글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 슁글을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슁글을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9은 본 고안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슁글 300:평판
500:돌출블럭 700:접착부
900:보강접착부 70:역수차단용 접착부
50: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판의 일측부에 요철(凹凸)형상의 돌출블럭이 연장 형성하되, 상기 돌출블럭 및 평판의 일부분을 포함한 일측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 평판의 끝단부에는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가 형성되는 슁글에 있어서; 상기 평판 중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가 형성된 그 타측부에 골형상을 이루는 상기 돌출블럭의 골부분인 상기 평판상면에 역수차단용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 7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7은 본 고안 슁글을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슁글을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판(300)의 일측부에 요철(凹凸)형상의 돌출블럭(500)이 연장 형성하되, 상기 돌출블럭(500) 및 평판(300)의 일부분을 포함한 일측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700)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 평판(300)의 끝단부에는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900)가 형성되는 슁글(100)에 있어서; 상기 평판(300) 중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900)가 형성된 그 타측부에 골형상을 이루는 상기 돌출블럭(500)의 골(50)부분인 상기 평판상면에 역수차단용 접착부(70)가 형성된다.
이때, 슁글(100)을 이루는 전체적인 구성 및 재질은 종래의 것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이루는 동일형태의 슁글(100)의 시공은 먼저, 기초면이되는 지붕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슁글의 이면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슁글(100)의 접착되는 면은 종래의 설명에서와 같이 고은 모래가 도포된 면에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700)가 넓게 도포된 면이다.
한편, 상기 지붕면에 부착되어 있는 슁글(100)의 상면에는 또 다른 슁글(100)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때 부착되는 면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고은 모래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부(700)가 기초면 지붕에 부착되어 있는 슁글(100) 중평판(30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두께를 갖는 보강접착부(90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슁글(100)의 시공은 상기 슁글(100)을 중첩되게 겹쳐지록하여 시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슁글(100)을 갖는 평판(30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력을 갖는 보강접착부(900)에 접착되도록 다른 슁글(100)의 접착부(700)면이 부착되어 상기 슁글(100)과의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상기 평판(300) 중 길이방향의 보강접착부(900)가 형성된 그 타측부에 골형상을 이루며 상기 골(50)부분에 상기 역수차단용 접착부(70)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우천시 빗물이 슁글(100)의 중첩된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보강접착부(900)를 통해 유입되더라도 상기 역수차단용 접착부(70)에 빗물이 완전 차단되므로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슁글(100)과 접착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슁글(100)의 틈 사이를 통해 지붕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차단 특히, 기초면의 경사각이 원만한 경우 역수차단용 접착부(70)에 의해 빗물이 역수되는 것을 완전 차단시키므로 빗물의 유입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판의 일측부에 요철(凹凸)형상의 돌출블럭이 연장 형성하되, 상기 돌출블럭 및 평판의 일부분을 포함한 일측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 평판의 끝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접착부가 형성되는 슁글에 있어서;
    상기 평판 중 길이방향의 접착부가 형성된 그 타측부에 골형상을 이루는 상기 돌출블럭의 골부분인 상기 평판상면에 역수차단용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KR2020020009625U 2002-03-30 2002-03-30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KR200281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5U KR200281322Y1 (ko) 2002-03-30 2002-03-30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25U KR200281322Y1 (ko) 2002-03-30 2002-03-30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22Y1 true KR200281322Y1 (ko) 2002-07-13

Family

ID=7307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25U KR200281322Y1 (ko) 2002-03-30 2002-03-30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78B1 (ko) 2009-12-15 2012-02-14 주식회사 함라 아스팔트 슁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78B1 (ko) 2009-12-15 2012-02-14 주식회사 함라 아스팔트 슁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063B2 (en) Roofing shingle with headlap seal and improved coverage
US8551601B2 (en) Stone, metal and tar laminate for exterior cladding
KR200281322Y1 (ko)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JP2004204449A (ja) 床板材と床構造
KR200200831Y1 (ko)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KR100323119B1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CN205776881U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KR200181673Y1 (ko) 포장체 도수장치용 보호시트
US10344469B2 (en) Reinforced water-resistant board with traffic coat
JP2769450B2 (ja) 瓦葺構造
CN215976837U (zh) 桥梁防水结构
JP7481853B2 (ja) 屋根構造
JPH09111853A (ja) 構築部材
KR102632096B1 (ko)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037037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JPH0329458Y2 (ko)
JP3036939U (ja) 瓦漆喰崩れ止め部材
JP2000192616A (ja) 陸屋根における歩行床構造
JP2912798B2 (ja) 建物の屋根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3301987B2 (ja) 屋根板の板端化粧材、それを用いる屋根の谷構造
JPH11336260A (ja) 屋根瓦
JP3806717B2 (ja) 建物用基礎構造
JP4068911B2 (ja) 平板瓦
JPS6311241Y2 (ko)
JPS63503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