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98Y1 - 장롱 - Google Patents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98Y1
KR200281098Y1 KR2020020009119U KR20020009119U KR200281098Y1 KR 200281098 Y1 KR200281098 Y1 KR 200281098Y1 KR 2020020009119 U KR2020020009119 U KR 2020020009119U KR 20020009119 U KR20020009119 U KR 20020009119U KR 200281098 Y1 KR200281098 Y1 KR 200281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cabinet
rod member
sto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석 filed Critical 김동석
Priority to KR2020020009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98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에 관한 것으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1장롱 본체부, 제 1장롱 본체부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부재 및 봉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옷보관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선반이나 회전옷걸이로 인해 많은 옷을 보관하거나 걸 수 있고, 보관 중인 옷을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편일률적인 종래의 직육면체 형태의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미감을 제공하여준다.

Description

장롱{Wardrobe}
본 고안은 장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옷이나 이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그 공간효율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지며, 통상 내부 공간을 수평판으로 분할하여 옷이나 이불 등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한 것과, 단순히 장롱 내부의 상단 부근에 좌우로 수평봉을 설치하여 옷걸이를 이용해 옷을 걸어둘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장롱 하부에는 서랍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롱과 관련하여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92757호, 20-0176010호, 20-0163245호, 20-0251895 등의 “장롱”과 관련된 등록공보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롱에서는 장롱 내부의 상단 부근에 좌우로 설치된 수평봉에 1줄로만 옷을 걸 수 있어 옷을 많이 보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서랍 깊숙이 보관된 옷을 찾고자하는 경우에는 서랍을 충분히 열고 옷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옷 찾기가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옷을 많이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옷 중에서 원하는 옷을 찾기가 편리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회전선반의 중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회전옷걸이의 평면도,
도 7은 지지돌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지지돌기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롱 110 : 제 1장롱본체부
112, 152 : 문 114, 154 : 수평판
120, 120a : 봉부재 122, 122a, 122′ : 지지돌기
130, 130a, 130b : 회전선반 140, 140a : 회전옷걸이
150 : 제 2장롱본체부
본 고안의 목적은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롱에 있어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1장롱본체부, 제 1장롱본체부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부재 및 봉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옷보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위 옷보관구는 옷 등을 올려둘 수 있는 바구니 형태의 회전선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회전선반으로는 굵은 철사 등으로 거미줄 모양으로 그 바닥을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필요한 높이까지 철사 등으로 테두리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도 된다. 이러한 회전선반은 그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링부재를 이용하면 된다.
위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옷보관구는 옷 등을 옷걸이를 이용해 걸어 둘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회전옷걸이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회전옷걸이는 수평부재들을 사방으로 “+”모양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회전선반과 회전옷걸이는 봉부재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함께 설치되어도 된다.
위 제 1장롱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2장롱 본체부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 제 1장롱본체부의 내부 공간은 수평판에 의해 상, 하의 2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수평판 상부의 봉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회전선반과 회전옷걸이가 회전 가능케 장착되어 있고, 수평판 하부의 봉부재에는 한 쌍의 회전선반이 상하로 간격을두고 회전 가능케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롱에 있어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1장롱 본체부, 제 1장롱 본체부 내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봉부재 및 봉부재에 결합되어 봉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케 설치되고 옷 등 필요한 물품을 보관 할 수 있는 옷보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이 경우 역시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옷보관구는 옷 동을 올려둘 수 있는 바구니 형태의 회전선반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옷보관구는 옷 등을 옷걸이를 이용해 걸어둘 수 있는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회전옷걸이 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물론, 회전선반과 회전옷걸이가 봉부재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제 1장롱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2장롱 본체부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롱(100)은 제 1장롱본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장롱본체부(110)는 옷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것으로, 그 전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 되는 원호 모양의 문(11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장롱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은 수평판(114)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진다. 이에 따라 문(112) 역시 상하로 구분되어 진다. 이러한 제 1장롱본체부(110)는 옷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장롱본체부(110)의 양 측면으로 제 2장롱본체부(1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장롱본체부(150)는 옷이나 이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여닫을 수 있는 문(1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장롱본체부(150) 역시 수평판(154)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분되도록 되며, 하부의 공간으로는 서랍(156)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내부구조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롱(100)은 제 1장롱본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장롱본체부(110)의 중앙 부근에는 상하로 봉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봉부재(120)로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 봉부재(120)는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수평부재(114)를 통과하는 한 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되고, 수평부재(114)를 경계로 분리된 것을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봉부재(120)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되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120)에는 회전선반(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선반(130)은 봉부재(120)의 일측 외주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선반(130)은 굵은 철사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미줄 모양으로 된 바닥과 그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것을 이용하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으로 된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선반(130, 130a, 130b)은 수평부재(114) 위쪽 공간 봉부재(120)의 중앙부근에 한 개, 수평부재(114) 하부 공간 봉부재(120a)에 간격을 두고 상하로 2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전선반(130)의 아래쪽에 지지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돌기(122)는 회전선반(130)의 저면을 지지하여 회전선반(130)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120)의 상단 부근과 회전선반(130) 아래쪽으로 회전옷걸이(140, 140a)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옷걸이(140, 140a)는 수평부재(142)들이 90° 간격으로 4방으로 배치된 것으로, 옷걸이를 이용해 옷을 걸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회전옷걸이(140, 140a)의 수평부재(142) 상면에는 돌기(143)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43)는 옷걸이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옷걸이(140) 아래쪽으로 지지돌기(122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선반(130)과 회전옷걸이(140, 140a)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2, 122a)는 봉부재(12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봉부재(12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른 고정구를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회전선반(130, 130a, 130b)과 회전옷걸이(140, 140a)는 옷을 보관하기 위한 옷보관구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장롱본체부(110)의 양측으로 제 2장롱본체부(1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장롱본체부(150)의 내부 공간은 수평부재(154)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으며, 수평부재(154) 상부 공간은 이불 등을, 수평부재(154) 하부 공간은 옷 등을 수납하기 위해 이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봉부재(120, 120a)와 회전선반(130, 130a, 130b) 및 회전옷걸이(140, 140a)는 직육면체 형상의 장롱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회전선반의 중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선반(13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는 제 1링부재(134)가 결합되어 있다. 구멍(132)은 봉부재(120)의 지름보다 조금 크게 만들면 된다.
도 6은 회전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옷걸이(140)는 봉부재(1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링부재(142)와 이 제 2링부재(142)를 중심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평부재(144)로 되어 있다. 수평부재(144)는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으로 그 상면에는 옷걸이가 걸린 상태에서 옷걸이가 유동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돌기(146)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지지돌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돌기(122, 122a)는 봉부재(120)의 외주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평면 모양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삼각, 사각 등 다른 다각형의 모양을 하여도 된다. 이러한 지지돌기(122, 122a) 상에 제 1링부재(134) 또는 제 2링부재(142)가 회전 가능케 지지된다.
도 8은 지지돌기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부재(120)의 외주면에 승강 가능하며, 그 일측에 중심을 향해 나선공(122c)이 형성된 지지링(122b)과 이 지지링(122b)의 나선공(122c)에 결합되는 스크루(122d)로 지지돌기(122′)를 구성하여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경우 회전선반(130, 130a, 130b)이나 회전옷걸이(140, 140a)의 높낮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지지돌기(122′) 상에 제 1링부재(134) 또는 제 2링부재(142)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을 이용하는 경우, 장롱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봉부재와 이 봉부재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회전선반이나 회전옷걸이로 인해 많은 옷을 보관하거나 걸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을 이용하는 경우 회전선반이나 회전옷걸이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보관 중인 옷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은 천편일률적인 종래의 직육면체 형태의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미감을 제공하여준다.

Claims (9)

  1.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롱에 있어서,
    상기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1장롱 본체부;
    상기 제 1장롱 본체부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의 일측 외주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옷보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옷보관구는 상기 옷 등을 올려둘 수 있는 바구니 형태의 회전선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옷보관구는 상기 옷 등을 옷걸이를 이용해 걸어 둘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회전옷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4.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2장롱 본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5.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내부 공간은 수평판에 의해 상, 하의 2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 상부의 봉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회전선반과 회전옷걸이가 회전 가능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 하부의 봉부재에는 한 쌍의 회전선반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6.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롱에 있어서,
    상기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1장롱 본체부;
    상기 제 1장롱 본체부 내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봉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옷 등 필요한 물품을 보관 할 수 있는 옷보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옷보관구는 상기 옷 동을 올려둘 수 있는 바구니 형태의 회전선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문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옷보관구는 상기 옷 등을 옷걸이를 이용해 걸어둘 수 있는 다수의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된 회전옷걸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9. 제 6항 ∼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롱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옷 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에 개폐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는 제 2장롱 본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
KR2020020009119U 2002-03-27 2002-03-27 장롱 KR200281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19U KR200281098Y1 (ko) 2002-03-27 2002-03-27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19U KR200281098Y1 (ko) 2002-03-27 2002-03-27 장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98Y1 true KR200281098Y1 (ko) 2002-07-13

Family

ID=7312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19U KR200281098Y1 (ko) 2002-03-27 2002-03-27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5Y1 (ko) 2008-07-15 2011-02-01 (주)형진산업 회전선반
KR101037403B1 (ko) 2010-07-14 2011-05-30 주식회사 엔티메디 수술복 공급반납장치
KR101249935B1 (ko) * 2010-10-21 2013-04-0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슬라이트형 수납 메커니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5Y1 (ko) 2008-07-15 2011-02-01 (주)형진산업 회전선반
KR101037403B1 (ko) 2010-07-14 2011-05-30 주식회사 엔티메디 수술복 공급반납장치
KR101249935B1 (ko) * 2010-10-21 2013-04-0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슬라이트형 수납 메커니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225B2 (en) Retractable hanging assembly for cookware and utensils
US7946543B2 (en) Closet carrousel
US20120273443A1 (en) Utility Storage Rack
US7997429B2 (en) Pot and pan storage unit
US20040061419A1 (en) Corner storage cabinet
US8074812B1 (en) Rotary track mechanism for corner cabinets
KR200281098Y1 (ko) 장롱
US9254050B1 (en) Detachable hanging assembly for cookware and utensils
JP2011161168A (ja) 床頭台
US20070295675A1 (en) Novel Pot and Pan Storage Unit
JP4619844B2 (ja) キャビネット
KR101755663B1 (ko) 사물함 옷걸이 구조
CN210446386U (zh) 一种自由组合式智能展柜
KR200233763Y1 (ko) 가구용 간이 옷걸이대
CN212630270U (zh) 一种可旋转衣柜
CN216166785U (zh) 一种生活用品折叠挂件
RU219787U1 (ru) Стол с вращающейся круговой вешалкой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CN213487682U (zh) 一种可有效防止虫蛀的木衣柜
KR200475343Y1 (ko) 물품보관 및 장식장 겸용 가구
CN213248749U (zh) 一种270°转篮
US20230190052A1 (en) Bathroom Space Saver and Organizer
KR200323988Y1 (ko) 장롱의 상부 수납공간 구조
KR200357806Y1 (ko) 옷장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220077030A (ko) 가변식 걸이대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옷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