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960Y1 -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960Y1
KR200280960Y1 KR2020020008633U KR20020008633U KR200280960Y1 KR 200280960 Y1 KR200280960 Y1 KR 200280960Y1 KR 2020020008633 U KR2020020008633 U KR 2020020008633U KR 20020008633 U KR20020008633 U KR 20020008633U KR 200280960 Y1 KR200280960 Y1 KR 20028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moving head
contact
driving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남표
Original Assignee
에이티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티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8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960Y1/ko

Links

Landscapes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전기적 접속불량원 및 이 전기적 접속불량원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를 원천적배제시킬 수 있고, 아울러 그만큼의 수리 보수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게 됨물론, 수리 보수 작업으로 인해 온라인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지 않아도 되어 그 만큼 가동률을 높이고 결국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게 은 으로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면에서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모노레일(2); 상기 모노레일(2)에서 그 구동륜(12)이 구르게 됨으로써 위이동되는 무빙헤드(14); 상기 무빙헤드(14)의 상기한 구동륜(12)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 상기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제어부(32); 상기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인가 및 상기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 전달을 위하여 상기한 모노레일(2) 및 는 안의 무빙헤드(14)에 구성되어지는 전기적 접촉수단(42); 상기 전기적 접촉수단(42)을 이루는 가동측 접점단자판(16)과 이웃하는 위치의 상기 무빙헤드(14)에 장착되는 에어노즐(52) 및 흡입노즐(62); 상기 에어노즐(52)에 호스(54)로 연결되고 상기 명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콤프레셔(72); 상기 흡입노즐(62)에 다른 호스(6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진공흡입기(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노레일식 반송장치{monorail type feed apparatus}
본 고안은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상에서 주행할 수 있게 설치된 자주대차(自朱台車)에 의해 물품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조립공장에서는 프레임을 공정단계별로 이송하면서 부품들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 대개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가 쓰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시설농업용의 하우스 등에도 적용되는데, 그 구조로는 금속도체를 내장한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모노레일상에서 무빙헤드가 위치 이동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수확물 및 작업에 필요한 각종의 장비들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면에서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모노레일(102)과, 상기 모노레일(102)에서 그 구동륜(112)이 구르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되는 무빙헤드(114)와, 상기 무빙헤드(114)의 상기한 구동륜(112)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22) 및 상기 구동수단(122)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32) 등을 포함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수단(122)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구동력으로 구동수단(122)의 구동륜(112)이 모노레일(102) 상에서 구동되도록 하고, 이 때 무빙헤드(114)의 하측으로 연결된 대차틀(142)이 무빙헤드(114)와 함께 이송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무빙헤드(114)로 하여금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B)가 더 구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수단(122)으로의 전력 및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전기적 접촉수단이 상기한 모노레일(102) 및 무빙헤드(114)에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촉수단은, 상기 모노레일(102)의 일측면으로 해당 길이의 고정측 접점단자판(104)이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가동측 접점단자판(116)이 상기 무빙헤드(114)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116)은 상하방향으로의 등간격 위치로 배치되는 다수 접점핀(118a)(118b)(118c)(118d)(118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다수 접점핀(118a)(118b)(118c)(118d)(118e)이 배선(도시생략)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122) 및 브레이크(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다수 접점핀(118a)(118b)(118c)(118d)(118e)의 각 접점 위치에 상응하는 다수 접점홈부재(106a)(106b)(106c)(106d)(106e)가 상기 고정측 접점단자판(104)에 각기 절연 상태로 파여짐으로써, 무빙헤드(114)와 함께 가동측 접점단자판(116)이 모노레일(102) 상에서 위치 이동되더라도 다수 접점핀(118a)(118b)(118c) (118d)(118e)과 다수 접점홈부재(106a)(106b)(106c)(106d)(106e)는 각각 상응하는 것들 간에 전기적인 접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다수 접점핀(118a) (118b)(118c)(118d)(118e) 및 접점홈부재(106a)(106b)(106c)(106d)(106e) 간의 연속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하여 분진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발생분진에 의한 여러 가지 폐단을 안게 된다.
즉, 연속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은 전기적인 접촉부재들간에 스파크가 발생되게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부재들이 부분적으로 용융 변형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전기적 접속을 불량하게 하므로 부품을 교체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전기적 접속불량원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점 및 이의 해소를 위해 빈번히 이루어지는 부품 교체, 이에 따르는 수리 보수에 대한 비용의 발생 및 온라인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됨에 의한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적 접속불량원 및 이 전기적 접속불량원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아울러 그만큼의 수리 보수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게 됨은 물론, 수리 보수 작업으로 인해 온라인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지 않아도 되어 그 만큼 가동률을 높이고 결국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일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일면도,
도 2는 종래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일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레일 단면 상태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 사시상태의 구성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타측 사시상태의 구성도,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진공흡입기 외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콤프레셔 외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d는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콤프레셔의 에어노즐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면도,
도 6은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레일 단면 상태의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모노레일 12 : 구동륜
14 : 무빙헤드 22 : 구동수단
32 : 제어부 42 : 전기적 접촉수단
52 : 에어노즐 62 : 흡입노즐
72 : 콤프레셔 82 : 진공흡입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면에서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모노레일과, 상기 모노레일에서 그 구동륜이 구르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상기한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브레이크와, 상기 구동수단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수단 및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인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 전달을 위하여 상기한 모노레일 및 무빙헤드에 구성되어지는 전기적 접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수단을 이루는 가동측 접점단자판과 이웃하는 위치의 상기 무빙헤드에 장착되는 에어노즐 및 흡입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에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콤프레셔와, 상기 흡입노즐에 다른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진공흡입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전기적 접촉수단은, 상기 모노레일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등간격 위치로 모노레일의 일측면에 부착 결합되는 다수 도체로 구비되되, 다수 접점홈부재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접점단자판과, 상기 고정측 접점단자판과 위치 상응되도록 상기한 무빙헤드에 장착되되, 상기 다수 접점홈부재 각각에 위치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아울러 상기한 무빙헤드/구동수단/콤프레셔/진공흡입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접점핀을 갖는 가동측 접점단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에어노즐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의 각 접점핀 들의 전기적 접촉 부위로 그 공기토출구가 배치되는 다수 분기공기로 및 이 다수 분기공기로가 동시에 연통 연결되는 합류공기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콤프레셔로부터 연장되어지는 호스가 연통 연결되도록 상기 합류공기로에 연통 연결되어지는 호스장착단이 그 일측으로 돌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흡입노즐은, 그 단부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과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진공흡입기의 다른 호스로 이루어지되, 그 단부가 상기 무빙헤드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에 고정되고, 상기한 연장단에는 분진이 모아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집진부재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2)과, 무빙헤드(14)와,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와, 제어부(32)와, 전기적 접촉수단(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에 관련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22)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구동력으로 구동수단(22)의 구동륜(12)이 모노레일(2) 상에서 구동되도록 하고, 이 때 무빙헤드(14)의 하측으로 연결된 대차틀(F)(도 6 참조)이 무빙헤드(14)와 함께 이송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무빙헤드(14)로 하여금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브레이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수단(22)으로의 전력 및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상기 전기적 접촉수단(42)이 상기한 모노레일(2) 및 무빙헤드(14)에 구성되어진다(도 6 참조).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적 접촉수단(42)은 고정측 접점단자판(44)과 가동측 접점단자판(50)으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
즉, 상기 고정측 접점단자판(44)이 상기 모노레일(2)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등간격 위치로 모노레일(2)의 일측면에 부착 결합되는 다수 도체로 구비되되, 다수 접점홈부재(46a)(46b)(46c)(46d)(46e)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50)이 상기 고정측 접점단자판(44)과 위치 상응되도록 상기한 무빙헤드(14)에 장착되되, 상기 다수 접점홈부재(46a)(46b)(46c) (46d)(46e) 각각에 위치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아울러 상기한 무빙헤드(14)/구동수단(22)/콤프레셔(72)/진공흡입기(8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접점핀(48a)(48b)(48c)(48d)(48e)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도 6 참조).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에 가동측 접점단자판(16)과 이웃하는 위치의 상기 무빙헤드(14)에 장착되는 에어노즐(52) 및 흡입노즐(62)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노즐(52)에 호스(5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콤프레셔(72)와, 상기 흡입노즐(62)에 다른 호스(6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공흡입기(8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도 3 내지 도 4c 참조).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노즐(52)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50)의 각 접점핀(48a)(48b)(48c)(48d)(48e)들의 전기적 접촉 부위로 그 공기토출구가 배치되는 다수 분기공기로(56a)(56b)(56c)(56d)(56e) 및 이 다수 분기공기로(56a) (56b)(56c)(56d)(56e)가 동시에 연통 연결되는 합류공기로(58)가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콤프레셔(72)로부터 연장되어지는 호스(54)가 연통 연결되도록 상기 합류공기로(58)에 연통 연결되어지는 호스장착단(60)이 그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구조의 것으로 되어 있다(도 4d 참조).
또 상기한 흡입노즐(62)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50)과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진공흡입기(82)의 다른 호스(64)의 단부로 이루어지되, 이러한 단부가 상기 무빙헤드(14)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66)에 고정되고, 상기한 연장단(66)에는 분진이 모여 흐름이 유도되게 하는 집진부재(68)가 연장 형성된 구조의 것으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동수단(22)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구동력으로 구동수단(22)의 구동륜(12)이 모노레일(2) 상에서 구동되도록 하고, 이 때 무빙헤드(14)의 하측으로 연결된 대차틀(F)이 무빙헤드(14)와 함께 이송되어진다.
물론, 상기 무빙헤드(14)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는 제어부(3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구동수단(22)과 브레이크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등의 전달은, 전기적 접촉수단(42)에 의해 모노레일(2) 상에서 무빙헤드(14)가 위치 이동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적 접촉수단(42)을 이루는 가동측 접점단자판(50)의 다수 접점핀(48a)(48b)(48c)(48d)(48e)이 고정측 접점단자판(44)의 다수 접점홈부재(46a)(46b)(46c)(46d)(46e)과 전기적인 접촉 상태에서 무빙헤드(114)에 의해 모노레일(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기적 접촉수단(42)을 이루는 가동측 접점단자판(50)의 다수 접점핀(48a)(48b)(48c)(48d)(48e)과 고정측 접점단자판(44)의 다수 접점홈부재(46a) (46b)(46c)(46d)(46e)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은 에어노즐(52)로부터 토출되는 강한 기류의 공기에 섞여 흡입노즐(62)로부터 제공되는 진공력에 의해 흡입 수거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분진이 섞인 강한 기류의 공기는 집진부재(68)에 의해 그 흡입될 위치로 모아지게 유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다수 접점핀 및 접점홈부재 간의 연속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분진으로 인한 스파크의 발생/ 스파크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부재들의 부분적인 용융 변형/ 전기적 접속 불량/ 이의 해소를 위한 부품을 교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부품 교체에 따르는 수리 보수에 대한 비용의 발생 및 온라인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됨에 의한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면에서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모노레일(2)과, 상기 모노레일(2)에서 그 구동륜(12)이 구르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되는 무빙헤드(14)와, 상기 무빙헤드(14)의 상기한 구동륜(12)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와, 상기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32)와, 상기 구동수단(22) 및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인가 및 상기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 전달을 위하여 상기한 모노레일(2) 및 무빙헤드(14)에 구성되어지는 전기적 접촉수단(42)을 갖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수단(42)을 이루는 가동측 접점단자판(16)과 이웃하는 위치의 상기 무빙헤드(14)에 장착되는 에어노즐(52)에 호스(5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콤프레셔(72) 및 흡입노즐(62)에 다른 호스(6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진공흡입기(82)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기적 접촉수단(42)은,
    상기 모노레일(2)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등간격 위치로 모노레일(2)의 일측면에 부착 결합되는 다수 도체로 구비되되, 다수 접점홈부재(46a)(46b)(46c)(46d) (46e)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접점단자판(44); 및
    상기 고정측 접점단자판(44)과 위치 상응되도록 상기한 무빙헤드(14)에 장착되되, 상기 다수 접점홈부재(46a)(46b)(46c)(46d)(46e) 각각에 위치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아울러 상기한 무빙헤드(14)/구동수단(22)/콤프레셔(72)/진공흡입기(8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접점핀(48a)(48b)(48c)(48d)(48e)을 갖는 가동측 접점단자판(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노즐(52)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50)의 각 접점핀(48a) (48b)(48c)(48d)(48e)들의 전기적 접촉 부위로 그 공기토출구가 배치되는 다수 분기공기로(56a)(56b)(56c) (56d)(56e) 및 상기 다수 분기공기로(56a)(56b)(56c)(56d)(56e)가 동시에 연통 연결되는 합류공기로(58)가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콤프레셔(72)로부터 연장되어지는 호스(54)가 연통 연결되도록 상기 합류공기로(58)에 연통 연결되어지는 호스장착단(60)이 그 일측으로 돌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노즐(62)은,
    그 단부가 상기 가동측 접점단자판(50)과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진공흡입기(82)의 다른 호스(64)로 이루어지되, 그 단부가 상기 무빙헤드(14)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66)에 고정되고,
    분진이 모아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한 연장단(66)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는집진부재(68)를 구비하게 된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KR2020020008633U 2002-03-22 2002-03-22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KR200280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3U KR200280960Y1 (ko) 2002-03-22 2002-03-22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3U KR200280960Y1 (ko) 2002-03-22 2002-03-22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696A Division KR100456244B1 (ko) 2002-03-22 2002-03-22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960Y1 true KR200280960Y1 (ko) 2002-07-13

Family

ID=7311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33U KR200280960Y1 (ko) 2002-03-22 2002-03-22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9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9066C2 (ru) Рельсов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EP1986938B1 (en) Skillet power system
CN210449957U (zh) 轨道清扫机器人
WO2023169143A1 (zh) 一种潜伏式rgv摆渡车及轨道装置
KR200280960Y1 (ko)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US5669309A (en)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KR100456244B1 (ko) 모노레일식 반송장치
CN206068819U (zh) 一种pcb自动翻转机构
CN103204358B (zh) 自行小车及自行小车输送系统
CN217971239U (zh) 一种轨道式穿梭车及物料运输系统
CN200990309Y (zh) 一种按键装置
CN205058037U (zh) 一种机器人涂装生产线
CN113071872A (zh) 一种在轨道上摩擦滚动的专用轨道小车
CN102636208B (zh) 超声探头切换装置
CN220010973U (zh) 一种窄带分拣小车、及直线窄带分拣机
CN220431328U (zh) 一种推车机驱动安装结构、转载滚床及双摆杆输送系统
CN210972896U (zh) 一种烟草物流输送系统及其升降装置
CN220128785U (zh) 一种巡检机器人
KR20130111005A (ko) 통전 레일
JP7311687B2 (ja) 実装機械にアセンブリ部品を供給するための2次元ロボットシステム
CN219469480U (zh) 一种滑触供电方式的行车轨道
CN210030845U (zh) 一种浸镀生产线
CN211100381U (zh) 一种电力设备的清洗机器人系统
JPH045384Y2 (ko)
JP2023127573A (ja) ソーラパネル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