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445Y1 - 구명조끼용 부력재 - Google Patents

구명조끼용 부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445Y1
KR200280445Y1 KR2020020009877U KR20020009877U KR200280445Y1 KR 200280445 Y1 KR200280445 Y1 KR 200280445Y1 KR 2020020009877 U KR2020020009877 U KR 2020020009877U KR 20020009877 U KR20020009877 U KR 20020009877U KR 200280445 Y1 KR200280445 Y1 KR 200280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buoyancy
life jacket
buoyancy material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일 filed Critical 김승일
Priority to KR2020020009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445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명조끼에 내설되는 부력재에 관한 것으로,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부력재의 형상이 굴곡되도록 다수의 장홀 및 장홈을 형성한 구명조끼용 부력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는, 구명조끼의 전면 및 배면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명조끼의 겉감 및 안감 사이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성수지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흉부에 접하고, 일측에 구명조끼에 삽입될 때 착용자의 양팔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민소매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착용자의 목 부위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착용자의 흉부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1수평홈이 형성되는 제 1부력부가 마련되고, 제 1부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한쌍의 경계홈에 의해 구분되며,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 착용자의 복부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2수평홈 및 제 2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는 구명조끼의 내측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부력재가 굴곡되도록 다수의 홀과 홈을 형성하여 구명조끼의 착용시 사용자가 원활한 신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형성된 홀을 통하여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습기와 체온을 방출하여 불쾌감 및 체온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명조끼용 부력재{buoyant material for a life jacket use}
본 고안은 구명조끼에 내설되는 부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부력재의 형상이 굴곡되도록 다수의 장홀을 형성한 구명조끼용 부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구명조끼의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부력재를 삽설하여, 부력재의 자체부력에 의해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람이 물에 뜨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인명 구조용으로 많이 사용되나, 최근에는 수상 레져가 발달함에 따라 수상 레져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상 레져의 한 종류인 낚시에서도 구명조끼의 착용이 보편화되어 가고있는 추세이며, 특히 바다 낚시에 경우에는 거의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낚시용 구명조끼(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명조끼와 대동소이하며, 구명조끼(10) 겉감(30)과, 안감(20)사이에 물에 뜨는 부력을 가진 재질의 부력재(40)를 삽입하여 겉감(30) 및 안감(20)을 재봉하여 일반적인 구명조끼(10)의 형태를 취하게 되며, 겉감(30)의 외측에는 다수의 수납부(50)가 형성된다.
이때, 겉감(30)과 안감(20)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력재(40)는 보통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성 수지를 사용하여, 구명조끼(10)의 전면 양측의 겉감(30)과 안감(20) 사이와, 구명조끼(10)의 배면 겉감(30)과 안감(20) 사이에 삽입되는 4조각의 부력재로 마련되며, 이러한, 각각의 부력재(40)는 구명조끼(10)의 제작의 용이성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소정 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명조끼(10)의 겉감(30) 및 안감(20)의 봉합에 의해 구명조끼(10)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부력재(40)는, 단순히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부력재(40)가 삽입된 구명조끼(10)를 착용할 경우 부력재(40)의 두께와 부력재(40)의 탄력성에 의해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지 않고 부력재(40)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며, 부력재(40)의 형상에 의해 구명조끼(10)의 외형이 투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구명조끼(10)에 삽입되는 부력재(40)의 대부분이 통기성이 미비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도 역시 유입되지 못하여 장시간 착용시에는 불쾌감과 체온상승을 유발시켜 특히 기온이 높은 곳에서의 착용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명조끼의 내측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부력재가 굴곡되도록 다수의 홀과 홈을 형성하여 구명조끼의 착용시 사용자가 원활한 신체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하여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습기와 체온을 방출하여 불쾌감 및 체온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는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가 구명조끼에 내설된 것을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가 구명조끼에 내설된 것을 나타낸 간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명조끼 20 : 안감
30 : 겉감 100 : 부력재
100a : 전면부력재 101 : 경계홈
110 : 제 1부력부 112 : 민소매부
114 : 상부 고정홀 120 : 제 2부력부
123 : 하부고정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는, 구명조끼의 전면 및 배면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구명조끼의 겉감 및 안감 사이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성수지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흉부에 접하고, 일측에 상기 구명조끼에 삽입될 때 착용자의 양팔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민소매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착용자의 목 부위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착용자의 흉부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1수평홈이 형성되는 제 1부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부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한쌍의 경계홈에 의해 구분되며,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 착용자의 복부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2수평홈 및 제 2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부력부의 내측에 착용자의 흉부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다수의 제 1수평홀 및 제 1수직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수평홈, 제 1수평홀 및 제 1수직홀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 또는 장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부력부의 내측에 착용자의 복부 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제 2수평홀 및 제 2수직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수평홈 및 제 2수직홈과, 상기 제 2수평홀 및 제 2수직홀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재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구명조끼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삽입된 후에 착용자의 활동에 따라 전면부력재가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겉감 및 안감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고정홀과, 하부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가 구명조끼에 내설된 것을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100)는, 구명조끼(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한쌍의 전면부력재(100a)와, 상기 구명조끼(10)의 배면 형상에 대응되는 한쌍의 배면부력재(100b)가 마련되며, 각 부력재(100a, 100b)의소정부에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홀과 홈이 마련된다. 이러한, 전면부력재(100a) 및 배면부력제(100b)는 상기 구명조끼(1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구명조끼(10)가 봉합됨에 따라 구명조끼(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부력재(100a)는, 상기 구명조끼(10)의 전면 양측에 대칭형상으로 내설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성수지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착용자의 흉부에 접하는 제 1부력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제 2부력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부력부(110)와 상기 제 2부력부(1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부력부(110)와 상기 제 2부력부(120)를 구분하는 한쌍의 경계홈(101)에 의해 구분된다.
여기서, 착용자의 흉부에 접하는 상기 제 1부력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명조끼(10)에 삽입될 때 착용자의 양팔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민소매부(1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착용자의 목 부위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부력부(110)의 외주면에는 착용자의 흉부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1수평홈(119)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착용자의 흉부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다수의 제 1수평홀(116) 및 제 1수직홀(118)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수평홈(119), 제 1수평홀(116) 및 제 1수직홀(118)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 또는 장홈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는 상기 제 2부력부(120)의 외주면에는 착용자의 복부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2수평홈(126) 및 제 2수직홈(128)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착용자의 복부 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제 2수평홀(122) 및 제 2수직홀(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수평홈(126) 및 제 2수직홈(128)과, 상기 제 2수평홀(122) 및 제 2수직홀(124)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력재(100a)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구명조끼(10)의 겉감(30)과 안감(20) 사이에 삽입된 후에 착용자의 활동에 따라 전면부력재(100a)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겉감(30) 및 안감(20)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고정홀(114)과, 하부고정홀(123)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상기 배면부력재(100b)는 상기 전면부력재(100a)와 그 설치 위치와, 착용부위가 상이할 뿐 그 구성이 대동소이(大同小異)함에 따라 상기 배면부력재(100b)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100)는 제 1, 2부력부(110, 120)에 형성되는 각 수평홀(116, 122), 수직홀(118, 124)과, 각 수평홈(119, 126), 수직홈(128)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응되어 굴곡되므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됨과 동시에 착용자가 보다 원활히 신체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각 수평, 수직홀에 의해 신체에서 발생하는 땀에 의한 습기와, 체온을 원활히 발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명조끼용 부력재는 구명조끼의 내측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부력재가 굴곡되도록 다수의 홀과 홈을 형성하여 구명조끼의 착용시 사용자가 원활한 신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형성된 홀을 통하여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습기와 체온을 방출하여 불쾌감 및 체온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구명조끼의 전면 및 배면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구명조끼의 겉감 및 안감 사이에 삽입되는 부력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폼 등의 발포성수지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흉부에 접하고, 일측에 상기 구명조끼에 삽입될 때 착용자의 양팔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민소매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착용자의 목 부위의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착용자의 흉부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1수평홈이 형성되는 제 1부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부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한쌍의 경계홈에 의해 구분되며, 착용자의 복부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 착용자의 복부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다수의 제 2수평홈 및 제 2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력부의 내측에 착용자의 흉부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다수의 제 1수평홀 및 제 1수직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평홈, 제 1수평홀 및 제 1수직홀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 또는 장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력부의 내측에 착용자의 복부 활동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체온 및 땀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제 2수평홀 및 제 2수직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평홈 및 제 2수직홈과, 상기 제 2수평홀 및 제 2수직홀은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구명조끼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삽입된 후에 착용자의 활동에 따라 전면부력재가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상기 겉감 및 안감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고정홀과, 하부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용 부력재.
KR2020020009877U 2002-04-02 2002-04-02 구명조끼용 부력재 KR200280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77U KR200280445Y1 (ko) 2002-04-02 2002-04-02 구명조끼용 부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77U KR200280445Y1 (ko) 2002-04-02 2002-04-02 구명조끼용 부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985A Division KR100432560B1 (ko) 2002-04-02 2002-04-02 구명조끼용 부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445Y1 true KR200280445Y1 (ko) 2002-07-04

Family

ID=7312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77U KR200280445Y1 (ko) 2002-04-02 2002-04-02 구명조끼용 부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4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5938A1 (en) Protective upper leg sleeve
US8621666B2 (en) Garment protective assembly
KR100432560B1 (ko) 구명조끼용 부력재
KR200280445Y1 (ko) 구명조끼용 부력재
US4291427A (en) Floatation garment
JP2000212806A (ja) 高い対水すべり性を持つ水着
KR20090018552A (ko) 구명조끼
JP2001207311A (ja) 浮力材付き衣服
KR200305322Y1 (ko) 구명조끼용 부력재
JPS6350247Y2 (ko)
JP2007119978A (ja) 胸部用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ブラジャー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KR20170058207A (ko) 단열 기능성 퇴선용 구명복
KR200399344Y1 (ko)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팬티
KR200400591Y1 (ko) 기능성 구명 의류
KR20090002973U (ko) 구명조끼
EP0875161B1 (en) Bathing costume made from rubber for reducing drag
KR200184498Y1 (ko) 부력부재가 내장된 수영복
KR200331711Y1 (ko) 탈착식 구명자켓
JP2002012189A (ja) 釣 服
KR20030087848A (ko) 구명조끼
KR200323769Y1 (ko) 보온성이 뛰어난 잠수복
KR810001660Y1 (ko) 잠 수 복
KR100511872B1 (ko) 인체공학적 구명조끼
KR200359765Y1 (ko) 통기성을 향상시킨 구명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