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58Y1 -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 Google Patents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58Y1
KR200279158Y1 KR2020020007150U KR20020007150U KR200279158Y1 KR 200279158 Y1 KR200279158 Y1 KR 200279158Y1 KR 2020020007150 U KR2020020007150 U KR 2020020007150U KR 20020007150 U KR20020007150 U KR 20020007150U KR 200279158 Y1 KR200279158 Y1 KR 200279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dth
finishing
groov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작
Original Assignee
고상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작 filed Critical 고상작
Priority to KR2020020007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58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폭에 설치되는 가문틀 전면부를 커버하기 위한 주틀용부재 와, 상기 주틀용부재 양측으로 구비되어 벽체폭에 따라 설치되는 가문틀 양측면부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용틀재로 되는 문틀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의 일측면 중앙으로 요홈이 길이 방향 형성되고 타측 배면측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요홈으로부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타측으로 만곡부로 되는 전면부가 형성되는 주틀용부재와, 상기 요홈에 끼워지되 벽체의 폭에 따라 가변 삽입가능한 삽입편재가 형성되고 삽입편재 일단으로부터 수직방으로 마감재가 일체 형성되는 제1마감용틀재와, 상기 가이드홈 일면이 당접되고 배면부가 벽체면과 당접되는 제2마감용틀재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건축물 축조시 내장공사의 마무리 단계에서 실내를 구획하는 각 방의 문이 설치될 벽체 두께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벽체폭에 맞게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The transformation-type door frame to possibility settling of a dispute}
본 고안은 문짝을 지지하기 위한 문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축조시 내장공사의 마무리 단계에서 실내를 구획하는 각 방의 문이 설치될 벽체 두께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벽체폭에 맞게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건축물 축조시 일반적으로 기초공사 완료후 구조물의 축조를 완료한 후에, 실내를 구획하여 각 방으로 나누는 벽체와 바닥 및 문틀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벽의 시공전에 먹매김을 한 다음 방문 도어 설치를 위해 가(假)문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설치된 가(假)문틀을 기준으로 조적 혹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통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미장과 바닥면의 마감처리를 행하고 가문틀에 문틀을 덧씌운 후 도장작업 등 마무리 작업을 거친 후 도어를 장착하여 그 작업을 완료하고 있다.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문짝(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은 실내 미관을 고려하여 문이 설치될 개구부가 있는 가문틀을 포함한 벽체의 두께에 맞는 폭을 가져야 한다.
상기의 개구부에 시설하기 위한 문틀의 종래 제작시에는 문틀용 틀재를 현장 조건 즉 조적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후 형성되는 벽체 등의 폭 결정 후에야 비로서 문틀의 폭을 결정하여 주문 제작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기가 상당하게 지연되는 문제는 물론 매 공사현장마다 그 설계조건에 따라 문틀의 주문제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건축비용이 상당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이 하나의 설계도면에 의해 건설공사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벽두께는 내력강도 등 건축물의 설계조건에 따라 벽의 위치나 건물마다 다를 수 밖에 없고 더욱이 같은 건물이라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오차나 벽면 마감을 위한 내외장재 선택조건에 따라 벽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 따른 문틀 시공시에는 기성품에 의한 문틀에 의해 시공할 수 없으므로, 일일히 그 조건에 따라 주문 제작하여야 하거나 또는 벽체 두께와 다소 맞지 않는 문틀을 강제 시공하여 설치마감공정이 부실하거나 다른 벽체에 설치된 문틀과 조화되지 못하여 미감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시공오차에 의해 맞지 않는 상태의 문틀 시공이 이루어졌을 경우 다시 재보수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다른 공기(工期)에 지연을 초래하는 등 타공정에 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기존의 문틀은 주로 사각형상의 각(角)진 상태를 하고 있어 방 내부로 장농 등 크기가 상당한 가구재 등을 운반할 경우 각(角)진 사각형상의 문틀 외표면이나 또는 각진부위가 가구재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애써 시공한 문틀에 재보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상 문제점은 물론 고가의 가구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내를 구힉하여 방을 형성한 후 도어를 장착함과 동시에 시각적 미려함을 제공하는 문틀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구성을 벽체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시공 가능하도록 하여, 건축공기 및 시공가를 절감하기 위한 폭조절이 가능한 문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벽체 등에 마감 처리되는 문틀의 형상 중 주틀용부재를 곡선상 라운드 처리되도록 하여 시각적 미려함과 방내부로 여타의 가구등의 운반 작업시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폭조절이 가능한 문틀을 제공하는데 다른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문틀을 다량 생산하더라도 각각의 작업현장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여 각각의 폭을 달리하는 벽체 등에도 간단한 시공 작업에 의해 기성품에 의한 문틀을 이용하여 맞춤 문틀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미관의 향상은 물론 시공 공정의 단축 및 별도 주문제작등의 불필요한 절차 및 비용 생략, 대량생산 공급으로 인한 가격 저하에 따른 시공가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문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가문틀 등에 설치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문틀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가문틀에 위치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주틀용부재 배면부측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a,b는 주틀용부재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마감용틀재와 제2마감용틀재에 돌기를 갖는 결합부재가 일체 형성되어 가문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강제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각각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주틀용부재를 분리하여 그 분리면에 단턱을 갖도록 하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로 동일재의 몰드재를 충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주틀용부재를 분리하되 그 분리면을 중심으로 양방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요홈부를 형성하되 어느 일측 주틀용부재에 삽입고정홈을 형성하고, 요홈부내에 압입되는 몰드재의 삽입돌부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주틀용부재 110; 만곡부 120; 요홈
130; 가이드홈 140; 몰드재 141; 삽입돌부
150; 위치고정홈 160; 요홈부 170; 삽입고정홈
200; 제1마감용틀재 210; 삽입편재 220; 마감재
300; 제2마감용틀재 310; 돌출부 400; 가문틀
410; 위치고정부
W; 벽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W) 폭에 설치되는 가문틀(400) 전면부를 커버하기 위한 주틀용부재 (100)와, 상기 주틀용부재(100) 양측으로 구비되어 벽체(W) 폭에 따라 설치되는 가문틀(400) 양측면부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용틀재(200,300)로 되는 문틀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100)의 일측면 중앙으로 요홈(120)이 길이 방향 형성되고 타측 배면측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되, 요홈(120)으로부터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는 타측으로 만곡부(110)로 되는 전면부가 형성되는 주틀용부재 (100)와,
상기 요홈(120)에 끼워지되 벽체(W)의 폭에 따라 가변 삽입가능한 삽입편재(210)가 형성되고 삽입편재(210) 일단으로부터 수직방으로 마감재(220)가 일체 형성되는 제1마감용틀재(200)와,
상기 가이드홈(130) 일면이 당접되고 배면부가 벽체(W)면과 당접되는 제2마감용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제1마감용틀재(200) 및 제2마감용틀재(300)를 이용하여 벽체(W)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폭 길이를 조절하여 벽체(W) 폭에 적정한 상태를 선택한 후 문틀을 형성하는 폭 조정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각각 나누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기본적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하며,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벽체(W) 폭 또는 가문틀(400)과 당접되는 주틀용부재(100)와, 상기 주틀용부재(100) 양측면에 각각 취부 고정되어 마감 처리되는 마감용틀재(200, 3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주틀용부재(100) 또는 마감용틀재(200, 300)는 설시한 바와 같이 벽체(W) 또는 벽체(W)을 따라 형성되는 가문틀(400)을 에워싸며 형성된 후 도어를 장착하여 실내 미감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 축조시 필수적 공정을 수반하게 된다.
이와같은 주틀용부재(100) 또는 마감용틀재(200, 300)는 MDF 또는 HDF등의고밀도압축강화목을 재단한 후 외측면에 나무결 무늬나 또는 실내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무늬결 등이 형성되는 함침지 또는 무늬목편 내지 무늬가 형성된 필름등을 접착하여 얻거나, 또는 우레탄을 발포 성형한 후 외측면에 상기한 필름등을 접착하여 그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상기한 주틀용부재(100)는 배면부는 평활면을 형성하여 벽체(W)면과 당접되고,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원호상 만곡부(110)를 형성하게 되며, 일측 중앙 부위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요홈(120)을 형성하고, 타측 배면부측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130)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한 만곡부(110) 등 외관상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부분은 상기한 무늬결을 갖는 필름등을 부착하여 필름층을 형성하게 된다.
주틀용부재(100)를 벽체(W) 또는 가문틀(400) 등에 시공한 후 가구재 등의 반입 작업등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각적 미려함 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한 만곡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120)이 형성되는 일측의 두께(t1)가 타측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는 주틀용부재(100) 부위의 두께(t2)보다 두텁도록 하여 주틀용부재(100) 일측으부터 타측 즉 요홈(120)이 형성되는 측으로부터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는 측으로 이어지는 전면부의 만곡부 형상이 ""와 같이 형성되도록 한다.
마감용틀재(200)는 상기한 주틀용부재(100) 양측에 각각 취부되어 벽체(W)에 취부되는 블럭보드마감 또는 합판등으로 되는 가문틀(400)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되어 마감 처리되는 것으로 제1마감용틀재 (200)및 제2마감용틀재(300)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1마감용틀재(200)는 주틀용부재(100) 일측의 요홈(120)에 삽입 개재되어 마감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평면상 보았을 때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편재(210)가 상기한 주틀용부재(100) 요홈(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삽입편재(210) 일측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체 절곡 성형되는 마감재(220)에 의해 벽체(W) 등의 측면과 마감처리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삽입편재(210)의 돌출 길이와 요홈(120) 깊이를 적정하게 길게 형성하여 삽입편재(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2마감용틀재(300)의 마감처리 후 벽체(W)의 폭에 따라 삽입편재(210)를 요홈(12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혹은 더욱 삽입하여 벽체(W) 폭과 일치되는 간격을 유지한 후 고정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주틀용부재(100) 타측의 가이드홈(130)에 취부 고정되기 위한 제2마감용틀재(300)는 도 1 내지 각각의 평단면도에서 보듯이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측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편중된 돔형상을 갖으며 벽체(W)면을 커버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도 5에서 보듯이 제2마감용틀재(300)의 돌출부(310)를 더욱 길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주틀용부재(100)의 가이드홈(130)을 더 길게 형성하여 그 가변폭을 넓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1마감용틀재(200)의 삽입편재(210)의 길이와 주틀용부재(100) 요홈(120)의 깊이를 더 길게 형성하여 전체적 문틀의 가변폭을넓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가변형 문틀을 이용하여 벽체(W)면의 가문틀(즉 가틀고정용 합판)(400)에 시공하고자 할 경우 먼저 주틀용부재(100)를 가문틀(400)면 중앙부위에 당접시킨 후 제2마감용틀재(300)를 벽체(W)면의 가문틀(400)에 당접시켜 돌출부 (310)가 주틀용부재(100) 가이드홈(130)에 취부된 상태에서 가문틀(400)면과 접착가능한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제2마감용틀재(300)와 주틀용부재(100)를 각각 가문틀(400)면 중앙부면과 측면부간에 고정 부착한다.
그런다음, 제1마감용틀재(200)의 마감재(220) 배면부측을 벽체(W)면과 당접시키면서 마감재(220) 일단으로 일체 연장되며 절곡된 삽입편재(210)를 주틀용부재(100) 요홈(120)측으로 삽입 결합하여 벽체(W) 폭 즉 가문틀(400) 폭과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 하여 그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시공을 도어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의 벽체(W) 상하좌우면에 각각 설치하여 완성된 문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가문틀(400)과 각각의 마감용틀재(200,300)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도 5에서 보듯이 제1마감용틀재(200)의 마감재(220) 배면부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외주면에 돌기(222)가 형성되는 결합부재(221)를 돌출하여 가문틀(400)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20)에 강제 압입시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제1마감용틀재(200)는 물론 제2마감용틀재 (300) 배면부측으로도 돌기(321)를 갖는 결합부재(320)을 일체 형성하여 가문틀(400)의 타측 측면부에 형성되는 결합홈(420)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5b에서 보듯이 제1마감용틀재(200)의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돌기(222)를 갖는 결합부재(221)가 일체로 되는 마감재(220) 외측면으로 라운드부재 (230)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보강대(2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주틀용부재(100)를 분리하여 벽체(W) 또는 가문틀(400)의 폭에 따라 상기한 제1,2마감용틀재(200,300)와 더불어 자체적 가변 이송에 의해 그 고정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주틀용부재(100)의 분리되는 면에 단턱(180)이 각각 형성되며 합치되도록 절단 분리하여 형성한 후, 주틀용부재(100)가 벽면(W) 또는 가문틀(400)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동일 이송길이 설정된 위치까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한 후 주틀용부재(100) 양측단에 각각 제1마감용틀재(200)와 제2마감용틀재(300)를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따라 적정하게 삽입편재(210) 또는 돌출부(310)를 이송시켜 벽체(W) 또는 가문틀(400) 폭에 맞게 위치시킨 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주틀용부재(100)의 분리되는 부위는 만곡부(110)중 평활면의 시작점과 끝점에 형성되는 부위를 절단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몰드재(140)의 성형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가문틀(400)이 형성된 작업조건에서의 시공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가문틀(400)과 주틀용부재(100)간의 적정한 셋팅 즉, 가문틀(400)의 정중앙에 주틀용부재(100)가 위치되어야 시각적 안정감과 미감 창출이 용이하므로, 상기 가문틀(400) 정중앙에 돌출되는 위치고정부(410)가 형성되고, 그 위치고정부 (410)를 내합하기 위해 주틀용부재(100) 배면부에 위치고정홈(150)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은 위치고정홈(150)은 작업조건에 따라 즉, 벽체(W)면에 고정하거나 또는 평활면을 갖는 가문틀(400)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위치고정홈(150)을 갖는 주틀용부재(100)만으로 평활면을 갖는 벽체(W)면이나 가문틀(400)에 채택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가문틀(400)의 위치고정부(410)에 내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정간격 즉 가문틀(400)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며 제1,2마감용틀재 (200,300)가 각각 가문틀(400) 양측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분리되는 형상의 주틀용부재(100)를 벌린다.
이와같이 분리된 주틀용부재(100)가 벌려지며 가문틀(400)에 고정되면, 그 벌려진 공간부를 채우기 위한 몰드재(140)를 강제 압입한다.
상기 몰드재(140)는 주틀용부재(100)와 동일재질로 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성품화된 몰드재(140)에 의해 강제 압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재(140)의 외측 표면으로는 주틀용부재(100) 외표면에 처리된 필름과 동일한 무늬나 문양을 갖는 필름층을 갖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기성품화된 몰드재(140)를 이용할 경우 그 몰드재(140)의 폭만큼 주틀용부재(100)를 벌린 후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몰드재(140)를 강제 압입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W)의 폭이나 가문틀(400)의 폭에 구애되지 않고 대량 생산된 가변형 문틀을 이용하여 여타의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게 되므로 시공 설치 작업을 신속 정확하며 간단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마감 작업에 따른 시각적 미려함을 항상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도 7에서 보듯이 주틀용부재(100)를 양분하되, 상기한 제2실시예와 달리 분리되는 부분을 만곡부중 평활면이 시작되는 시점과 평활면이 끝나는 끝점에 구애되지 않고 정중앙을 분리 절단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리되는 주틀용부재(100)의 당접되는 면은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하고, 그 당접되는 면 상부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각각 원호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주틀용부재(100)의 당접되는 부분에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은 요홈부(160)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요홈부(160)에 끼워지기 위한 몰드재(140)를 제2실시예와 같이강제 압입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분리되는 주틀용부재(100)의 당접면 어느 하나의 부위면에 삽입고정홈(17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몰드재(140)의 저면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돌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부(141)가 삽입고정홈(170)에 강제 끼워져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몰드재(140)는 요홈부(160)에 충진되는 형상이며, 그 외표면은 주틀용부재(100)의 만곡부(110)를 따라 원할히 형성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대량 생산에 의해 제공되는 가변형 문틀을 이용하여 벽체(W) 또는 가문틀(400)에 설치 시공하기 위해 제1실시예와 같이 벽체(W) 또는 가문틀(400) 측면부에 각각 제1마감용틀재(200) 및 제2마감용틀재(200)를 위치시킨 후 주틀용부재(100)를 벽체(W) 또는 벽체(W)에 덧씌워지는 가문틀(400) 등의 중앙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1마감용틀재(200)의 삽입편재(210)를 이용하여 그 길이를 가변하거나 아울러 제2마감용틀재(300)의 돌출부(310)를 더욱 길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주틀용부재(100)의 가이드홈(130)을 길게 형성하여 동시에 설치 시공되는 문틀의 폭 조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벽체(W) 또는 가문틀(400)의 폭과 일치되도록 하여 설치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2마감용틀재(200, 300)에 의한 가변폭 조정 이외에 주틀용부재(100)의 일부분을 절단 분리하여 그 절단면에 단턱(180)을 형성한 후 주틀용부재(100)를 벌려 그 폭을 조절한 후 벌려지는 주틀용부재(100) 사이에 몰드재(140)를 가압 삽치하여 설치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제3실시예와 같이 분리되는 주틀용부재(100) 절단면을 평활하게 함과 동시에 그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어느 하나가 삽입고정홈(170)을 갖는 원호면을 갖도록 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160)에 삽입돌부(141)를 갖는 몰드재(140)를 가압 삽입 고정하여 시공 설치한다.
이와같이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가변형 문틀을 이용하여 문이 설치되는 개구부측 상하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개폐가능한 문의 설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바, 시각적 미려함은 물론 간단하며 신속, 정확한 설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체의 폭에 구애되지 않고 현장에서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문틀을 이용하여 그 벽체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시공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축공기 및 시공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량 생산된 가변형 문틀에 의해 여타의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벽체 폭에 따라 문틀의 설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변형 문틀의 생산가 저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가변형 문틀의 주틀용부재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방 내부로 각종 가구재등의 반입시 가구재의 파손 및 손상과 가변형 문틀의 손상등을 방지할 수 있어, 미리 설치 시공된 가변형 문틀의 파손에 따른 재보수 공사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벽체(W) 폭에 설치되는 가문틀(400) 전면부를 커버하기 위한 주틀용부재 (100)와, 상기 주틀용부재(100) 양측으로 구비되어 벽체(W) 폭에 따라 설치되는 가문틀(400) 양측면부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용틀재(200,300)로 되는 문틀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100)의 일측면 중앙으로 요홈(120)이 길이 방향 형성되고 타측 배면측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되, 요홈(120)으로부터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는 타측으로 만곡부(110)로 되는 전면부가 형성되는 주틀용부재 (100)와,
    상기 요홈(120)에 끼워지되 벽체(W)의 폭에 따라 가변 삽입가능한 삽입편재(210)가 형성되고 삽입편재(210) 일단으로부터 수직방으로 마감재(220)가 일체 형성되는 제1마감용틀재(200)와,
    상기 가이드홈(130) 일면이 당접되고 배면부가 벽체(W)면과 당접되는 제2마감용틀재(300)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100)를 단턱(180)이 형성되도록 양분하여 형성되는 주틀용부재(100)의 이격된 공간부로 주틀용부재(100)와 동일재의 몰드재(140)를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100)를 양분하되 양분된 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원호면을 갖으며 당접되어 요홈부(160)를 형성하고, 양분된 주틀용부재(100)의 당접면 어느하나의 부위면에 삽입고정홈(170)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몰드재(140)에 삽입돌부(141)를 형성하여 요홈부(160)에 삽입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틀용부재(100) 배면부측에 위치고정홈(15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용틀재(200)와 제2마감용틀재(300) 중 하나 이상의 마감용틀재 (200,300)에 돌기(222)(321)를 형성하는 결합부재(221)(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문틀(400)에 형성되는 결합홈(420)에 강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용틀재(200)의 마감재(220) 외측으로 라운드부재(230)를 일체 형성하고 마감재(220)와 라운드부재(230) 사이 공간을 횡간하는 보강재(23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KR2020020007150U 2002-03-11 2002-03-11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KR200279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50U KR200279158Y1 (ko) 2002-03-11 2002-03-11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50U KR200279158Y1 (ko) 2002-03-11 2002-03-11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777A Division KR100388543B1 (ko) 2002-03-09 2002-03-09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58Y1 true KR200279158Y1 (ko) 2002-06-21

Family

ID=7311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150U KR200279158Y1 (ko) 2002-03-11 2002-03-11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095B2 (en) Refined assembly structure of hubbed door leaf installed with glass
US5662753A (en) Installation of moldings
WO2015116955A1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EP1739254A2 (en) Method and means for finishing a room
KR100388543B1 (ko)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KR200279158Y1 (ko)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KR200287494Y1 (ko) 가변형 문틀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US20070094996A1 (en) Trim piece
KR100537132B1 (ko) 비철금속재로 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WO2019143639A1 (en) Shoe moulding to finish interior doorway
KR200341315Y1 (ko) 비철금속재로 되는 폭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문틀
US3869840A (en) Door jamb liner
JP2590226Y2 (ja) 上がり框の固定構造
JP2964139B2 (ja) 片引き引戸用の横枠
JPH0249303Y2 (ko)
KR200368436Y1 (ko) 조립식 문틀 장식용 마감부재
KR101179928B1 (ko) 벽체 배수판 본체 간격조절 마감재
JP3150630B2 (ja) 造作材
KR20230131700A (ko) 출입문 도어장치
KR10052806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JPS6023386Y2 (ja) 腰壁
JPH0354126Y2 (ko)
JP3810256B2 (ja) 床板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使用する床板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