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019Y1 -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 Google Patents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019Y1
KR200279019Y1 KR2020020001748U KR20020001748U KR200279019Y1 KR 200279019 Y1 KR200279019 Y1 KR 200279019Y1 KR 2020020001748 U KR2020020001748 U KR 2020020001748U KR 20020001748 U KR20020001748 U KR 20020001748U KR 200279019 Y1 KR200279019 Y1 KR 200279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nit
stored
persona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록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록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록센스
Priority to KR2020020001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019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인의 물품이 보관되며, 뚜껑과 몸통 및 상기 뚜껑과 몸통을 결합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 감지기; 및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지문을 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인의 지문과 비교하고, 상호 일치하면 상기 뚜껑이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감지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부; 상기 지문 감지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특정인의 지문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지문들이 일치할 경우에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특정인의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된다.

Description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Personal security box opened by finger print}
본 고안은 개인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문을 인식하여 잠금 상태가 풀리는 개인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개인 사물함에 잠금 장치가 없는 것이 보통이다. 설사 잠금 장치가 있다고 할지라도 값이 싼 자물쇠를 설치하는 정도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자신만의 비밀 물품을 비밀스럽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자신만의 비밀 물품을 가지고 있어서 남에게 공개하고 싶지 않은 물품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비밀 물품들을 은밀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개인 보관함이 있을 필요성이 있다.
잠금 장치로는 기존의 자물쇠와 소정의 비밀 번호를 입력해야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잠금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기존의 자물쇠는 그 열쇠를 잃어버리게 되면 열기가 어려우므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설사 열쇠를 잃어버리지 않더라도 전문가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경우도 많다. 전자 잠금 장치의 경우 제3자가 그 비밀 번호를 알아내어 간단하게 개봉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 용도의 물품 보관시 별도의 열쇠가 필요없으며, 비밀 유지를 확실하게 보장하는 개인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본체, 121 : 지문 감지기
131 : 제어부, 141 : 전원부
113a,113b : 뚜껑들 115 : 몸통
117 : 잠금 장치 119a,119b : 힌지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특정인의 물품이 보관되며, 뚜껑과 몸통 및 상기 뚜껑과 몸통을 결합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 감지기; 및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지문을 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인의 지문과 비교하고, 상호 일치하면 상기 뚜껑이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감지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부; 상기 지문 감지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특정인의 지문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지문들이 일치할 경우에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개인 보관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개인 보관함은 개인의 수첩을 보관하는 개인 수첩함이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개인 보관함은 가방이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번호 키들이 설치되며, 상기 지문 감지기가 고장날 경우 상기 특정인은 상기 번호키들을 조작하여 상기 뚜껑을 오픈시킨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여 개인 보관함은 그 크기가 작아지며, 보관품을 안전하게 보관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인 보관함(101)은 본체(111), 지문 감지기(121), 제어부(131) 및 전원부(141)를 구비한다.
본체(111)는 특정인의 물품을 보관하는 곳이며, 뚜껑들(113a,113b)과 몸통(115) 및 뚜껑(113a)과 몸통(115)을 결합시키는 잠금 장치(117)를 구비한다. 뚜껑들(113a,113b)과 몸통(115)은 힌지들(119a,119b)에 의해 결합되며, 뚜껑들(113a,113b)은 힌지들(119a,119b)을 축으로 하여 개폐된다.
지문 감지기(121)는 본체(111)의 일측, 예컨대 뚜껑(113b)에 설치된다. 지문 감지기(121)는 사람의 손가락이 가까이 있거나 접촉할 경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감지하고, 상기 지문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지문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부(131)는 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131)는 지문 감지기(121)로부터 출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인의 지문과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뚜껑이 오픈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117)를 동작시킨다. 상기 특정인의 지문을 제어부(131)에 저장할 때는 뚜껑(113a)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상기 특정인의 손가락을 지문 감지기(121)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지문을제어부(131)에 저장한다. 제어부(131)는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할 수 있다.
전원부(141)는 본체(1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문 감지기(121)와 제어부(131) 및 잠금 장치(117)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41)에는 건전지가 장착되며, 상기 건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건전지로는 충전용 건전지 또는 일회성 건전지가 사용된다.
개인 보관함(101)은 개인의 수첩을 보관하는 개인 수첩함이다.
이와 같이, 개인 보관함에 지문 감지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특정인의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개인 보관함은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1)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1)는 입출력부(211), 분석부(221), 저장부(231), 비교부(241) 및 구동부(251)를 구비한다.
입출력부(211)는 지문 감지기(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지문 감지기(121)의 출력을 수신하며, 구동부(251)의 출력을 잠금 장치(117)로 전달한다.
분석부(221)는 지문 감지기(121)로부터 출력되어 입출력부(211)를 통해 입력된 지문 데이터를 분석한다.
저장부(231)에는 상기 특정인의 지문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저장부(231)로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HDD(Hard Disc Drive) 온 칩을 사용하여 전원이 없이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교부(241)는 분석부(221)에 의해 분석된 지문과 저장부(231)에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구동부(251)로 전송한다.
구동부(251)는 비교부(241)로부터 상기 비교 결과를 받으며, 상기 지문들이 일치할 경우에 잠금 장치(도 1의 117)를 동작시켜서 상기 특정인으로 하여금 뚜껑들(113a,113b)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상기 지문들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구동부(251)는 잠금 장치(117)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뚜껑들(113a,113b)은 열리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보관함(301)은 도 1에 도시된 개인 보관함(101)의 뚜껑(113b)에 번호키 패드(31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정인은 번호키 패드(311)을 통해서 자신만의 비밀 번호를 저장부(141)에 저장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지문 감지기(121)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인은 번호키 패드(311)를 이용하여 자신의 비밀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개인 보관함(301)을 열 수가 있다. 이 때, 제어부(131)는 상기 특정인이 입력하는 번호와 저장부(141)에 저장된 비밀 번호를 비교하고, 상호 일치할 경우에만 잠금 장치(117)를 동작시켜서 상기 특정인으로 하여금 뚜껑들(113a,113b)을 열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 보관함(401)은 지문 인식기(121) 및 손잡이(411)를 구비하는 가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열쇠의 분실 혹은 비밀 번호의 도용에 따른 상기 특정인의 보관품의 노출 위험성을 줄이고, 보관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Claims (4)

  1. 특정인의 물품이 보관되며, 뚜껑과 몸통 및 상기 뚜껑과 몸통을 결합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 감지기; 및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지문을 내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인의 지문과 비교하고, 상호 일치하면 상기 뚜껑이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감지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부;
    상기 지문 감지기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특정인의 지문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지문들이 일치할 경우에 상기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관함은 개인의 수첩을 보관하는 개인 수첩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관함은 가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번호 키들이 설치되며, 상기 지문 감지기가 고장날 경우 상기 특정인은 상기 번호키들을 조작하여 상기 뚜껑을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KR2020020001748U 2002-01-19 2002-01-19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KR200279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748U KR200279019Y1 (ko) 2002-01-19 2002-01-19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748U KR200279019Y1 (ko) 2002-01-19 2002-01-19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019Y1 true KR200279019Y1 (ko) 2002-06-21

Family

ID=7311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748U KR200279019Y1 (ko) 2002-01-19 2002-01-19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0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45A (ko) * 2002-08-01 2004-02-11 김천수 지문인식기능 지갑
KR101170505B1 (ko) * 2009-12-23 2012-08-01 한미숙 지문인식기능이 구비된 다이어리
KR101205819B1 (ko) 2010-12-01 2012-11-28 주식회사 휴로 전자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소형 수장함
WO2013162144A1 (ko) * 2012-04-24 2013-10-31 주식회사 휴로 터치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방
WO2019088745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45A (ko) * 2002-08-01 2004-02-11 김천수 지문인식기능 지갑
KR101170505B1 (ko) * 2009-12-23 2012-08-01 한미숙 지문인식기능이 구비된 다이어리
KR101205819B1 (ko) 2010-12-01 2012-11-28 주식회사 휴로 전자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소형 수장함
WO2013162144A1 (ko) * 2012-04-24 2013-10-31 주식회사 휴로 터치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방
WO2019088745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US11702830B2 (en) 2017-11-01 2023-07-18 Lg Electronics Inc. Sink cabine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652B1 (en) Locking doorknob which recognizes a finger print
AU2008299811B2 (en) Smart wallet
US20020186131A1 (en) Card security device
US20030141959A1 (en) Fingerprint biometric lock
US20080148685A1 (en) Automatic medicine packaging machine with door lock unit
US20030200778A1 (en) Biometric electronic key with build in proximity detector and infrared communication as dual verification
JP4393438B2 (ja) 集合型貴重品保管装置
US20030023855A1 (en) High security storage unit and biometric entry system
KR200279019Y1 (ko) 지문을 인식하여 오픈되는 개인 보관함
JP6193539B2 (ja) 人体通信カードホルダおよびrfidタグ認証システム
US20210245941A1 (en) Anti-theft storage container system
JP3162728U (ja) 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保管庫
KR101161088B1 (ko) 디지털 키가 구비된 소형 사물함
KR200439496Y1 (ko)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WO2008069210A1 (ja) 鍵付保管庫
US20050015630A1 (en) Personal authentication processing device, locking/unloc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locking/unlocking management system
KR101125759B1 (ko) 수동식 대여금고용 키박스
KR20020040413A (ko)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JP2000106962A (ja) キャビネット
KR200241292Y1 (ko) 다수의 사용자중 지정된 시간에 일인에 의하여 점유되는 공간이나 시설에 사용되는 지문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잠금장치
KR200200508Y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자물쇠 장치
KR102098177B1 (ko)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KR102319726B1 (ko) 시간설정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BR102020016388B1 (pt) Dispositivo eletromecânico para armazenamento e sistema de segurança de acesso
KR19990000921U (ko) 반지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