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43Y1 -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 Google Patents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43Y1
KR200278943Y1 KR2020020008144U KR20020008144U KR200278943Y1 KR 200278943 Y1 KR200278943 Y1 KR 200278943Y1 KR 2020020008144 U KR2020020008144 U KR 2020020008144U KR 20020008144 U KR20020008144 U KR 20020008144U KR 200278943 Y1 KR200278943 Y1 KR 200278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hat
elastic support
groov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만
Original Assignee
강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만 filed Critical 강성만
Priority to KR2020020008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43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를 개시한다. 선글라스는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모자에 설치된 선글라스 착탈유니트에 착탈 할 수 있는 착탈 지지용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글라스를 모자의 차양 내측면에 장착시켜 필요시 회동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선글라스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고, 모자와 함께 휴대시킬 수 있어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귀걸이용 부재가 없으면서도 홈 또는 돌기에 의해 모자에 결합 및 착용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Sunglass for hat}
본 고안은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글라스를 모자에 착탈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조된 모자에 탈착할 수 있는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고, 직사광선의 차단, 보온 목적으로 주로 착용한다.
이러한 모자는 통상적으로 태양 광선이 눈을 포함한 안면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함께 차단시킬 목적으로 머리에 씌워지는 몸체로부터 일정부분 연장된 차양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등산 또는 낚시를 장시간 하는 경우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모자와 함께 선글라스를 많이 이용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모자와 선글라스를 별도로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지 및 이용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즉,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이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 선글라스를 호주머니에 수납하거나 또는 그 밖의 선글라스 걸이용 고리를 이용하여 목에 선글라스를 걸고 다녔다. 이러한 선글라스 휴대 및 착용 방식은 보행에 불편함을 주고, 부주의로 파손될 수 있는 등 휴대 및 보관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선글라스를 장착시킨 구조의 모자가 다수 공개되어 있으나, 대부분 2점 지지구조여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간단하면서도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가 적용된 모자를 분리해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글라스 착탈 유니트를 분리해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 중 일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자 20: 선글라스 착탈유니트
21: 고정부 21b: 힌지편
30: 회동부 31: 회동체
32: 스프링 34: 탄성지지바
35: 탄성지지플레이트 37: 돌기
40: 선글라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는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에 모자에 설치된 선글라스 착탈유니트에 착탈 할 수 있는 타 부재와의 착탈 지지용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선글라스는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가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부에 타 부재와의 착탈 지지용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 지지용 홈 또는 돌기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가 적용된 모자를 분리해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자(10)는 본체(11)와 차양(12), 선글라스 착탈유니트(20) 및 선글라스(40)를 구비한다.
모자의 본체(11)는 머리를 일정부분 덮을 수 있도록 하부가 열린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양(12)의 중앙부분에는 선글라스 착탈용 유니트(20)를 결합하기 위한 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선글라스 착탈용 유니트(20)는 고정부(21)와 회동부(30)를 구비한다.
고정부(21)와 회동부(30)는 상호 회동가능하되 상호 소정각도 예컨대 90와 180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23은 나사이고, 21a는 나사(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홈이고, 35는 탄성지지 플레이트이고, 37은 돌기이다.
선글라스 착탈용 유니트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선글라스 착탈용 유니트(20)의 회동부(30)는 회동체(31), 스프링(32), 탄성지지바(34)를 구비한다.
회동체(31)는 고정부(21)와 대향되는 부분이 열려 소정 깊이 홈(31a)이 형성되고 있고, 고정부(21)와 힌지 결합하기 위해 홈(31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힌지 결합용 리브(31c)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바(34)는 스프링(32)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바(34)는 막힌 타단이 고정부(21)쪽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체(31)내에 삽입된다.
스프링(32)은 탄성지지바(34)에 형성된 홈(34a)에 일부 삽입되어 회동체(31)의 홈(31a)내에 삽입된다.
고정부(21)는 회동체(31)의 힌지결합용 리브(31c)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핀(36)에 의해 힌지 결합용 리브(31c)에 결합되며 탄성 지지바(34)에 의해 회동체(31)를 탄성지지하되 회동체(31)와 나란하게 열을 짓는 제1방향과, 제1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교차하는 제2방향에서 회동체(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회동체(31)의 리브(31c) 사이에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힌지편(21b)이 마련되어 있다.
힌지편(21b)은 회동핀(36) 삽입용 관통홀(21c)을 기준으로 회동체(31) 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직각으로 꺽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부(21)에 대해 회동체(31)는 수직상으로 꺽여지는 90도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180도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바(34)에 의해 탄성지지 된다. 이와는 다르게 100도와 180에서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바(34)에 의해 회동체(31)가 고정부(21)에 대해 탄성지지되도록 하고자 할 경우 힌지편(21b)의 외곽라인중 수직면(21b1)에 대해 바닥면(21b2)이 이루는 내각이 90도 보다 작게 예컨대 약 80도 정도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또 다른 예로서 80도와 180도에서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바(34)에 의해 회동체(31)가 고정부(2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자 할 경우 힌지편(21b)의 수직면(21b1)에 대해 바닥면(21b2)이 이루는 내각을 90도 보다 크게 예컨대 약 100도정도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고정부(21)에 대한 회동체(31)의 안정 지지각도는 모자(10)를 머리에 착용시 후술하는 선글라스(40)가 사용자의 양안에 대해 적절한 착용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면 된다. 또한, 힌지편(21b)의 모서리 부분은 회동의 용이성을 위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힌지편(21b)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형상으로 하고, 힌지편(21b)과 접촉되는 탄성지지바(34)의 단부를 앞서 힌지편(21b)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면사이의 각도를 예각 또는 둔각이 되게 형성하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선글라스 착탈 유니트(20)는 회동체(31)의 홈(31a)에 스프링(32)과 막힌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바(34)를 삽입하고 고정부(21)의 힌지편(21b)을 힌지결합용 리브(31c) 사이에 탄성지지바(34)가 압축상태로 후퇴되게 한 상태에서 일렬로 정렬된 회동핀(36) 삽입용 홀(21c)(31d) 사이에 회동핀(36)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회동체(31)의 차양(12)에 대항되는 면의 중앙에는 선글라스(40) 지지용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 플레이트(35)는 회동체(31)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회동체(31)의 측면에 형성된 홈(31b)에 삽입 고정된다. 참조부호 35a는 결합용 리브이다.
탄성지지 플레이트(35)는 탄성 복원력이 높고 변형이 잘 되지않는 금속소재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성지지 플레이트(35)에는 회동체(31)상에 형성된 돌기(37)가 삽입될 수 있게 돌기와 대응되는 홈(35b)이 형성된다. 탄성지지 플레이트(35)상에 형성된 홈(35b)은 선글라스(43)의 중앙부(43)의 두께가 탄성지지 플레이트(35)와 회동체(31)와의 이격거리 보다 다소 얇아도 선글라스(40)의 이탈을 억제시킬 수 있게 지지해준다. 즉, 돌기(37)와 탄성지지 플레이트(35)와의 이격거리 보다 두꺼운 선글라스(40)는 회동체(31)와 탄성지지 플레이트(35)와의 사이에서 이탈이 억제된다.
선글라스(40)는 통상의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41a)(41b)가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41a)(41b)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부(42)에 회동체(31)에 형성된 돌기(37)와 대응되는 형상의 착탈 지지용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착탈 지지용 홈(43)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차양(12)이 휘어진 호 형태로 형성됨을 감안하여, 선글라스(40)도 양안 투시부재(41a)(41b)를 잇는 방향에 대해 모자(10)의 차양(12)의 휘어진 곡선과 대응되게 휘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선글라스(40)가 선글라스 탈착 유니트(20)에 의해 장착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글라스 장착형 모자(10)는 탄성지지 플레이트(35)를 강제적으로 약간 벌린 상태에서 선글라스(40)의 홈(43)이 회동체(31)상의 돌기(37)에 삽입되도록 장착하면 장착이 완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글라스(4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선글라스(40)를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면 고정부(21)의 바닥면(21b2)과 탄성지지바(34)의 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 즉, 약 90도 정도 회동되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가 사용자의 선글라스(40) 장착상태가 된다. 또한, 비사용시에는 회동체(31)와 고정부(21)가 나란하게 유지되도록 선글라스(4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고정부(21)의 수직면(21b1)에 탄성지지바(34)의 단부가 대향되게 위치되면 역시 딸각하는 소리와 함께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선글라스(40)는 차양(12)과 나란하게 지지되는 수용 상태 및 차양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되는 사용상태로 지지시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글라스(4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선글라스(40)를 하방으로 90도 정도 회동시키고, 비사용시에는 다시 역방향으로 상방으로 90도 정도 회동시키면 된다.
한편, 선글라스(40)의 고정 지지각도를 보다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할 경우에는 고정부(21)의 힌지편(21b) 또는 탄성지지바(34)의 단부가 이루는 내각이 90도 보다 넓은 각도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면 된다.
한편,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선글라스(40)의 중앙부(42)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탄성지지 플레이트(35) 또는 회동체(31)상에 선글라스(40)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 지지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때 선글라스(40)에 형성시키는 돌기는 지지력 강화를 위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에 의하면, 선글라스를 모자의 차양 내측면에 장착시켜 필요시 회동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선글라스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고, 모자와 함께 휴대시킬 수 있어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귀걸이용 부재가 없으면서도 홈 또는 돌기에 의해 모자에 결합 및 착용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선글라스에 있어서,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에 타 부재와의 착탈 지지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지지용 홈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3. 선글라스에 있어서,
    귀걸이용 걸이부가 생략된 형태로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가 상호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양안 투시용 투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부에 타 부재와의 착탈 지지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지지용 돌기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KR2020020008144U 2002-03-19 2002-03-19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0278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44U KR200278943Y1 (ko) 2002-03-19 2002-03-19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44U KR200278943Y1 (ko) 2002-03-19 2002-03-19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43Y1 true KR200278943Y1 (ko) 2002-06-21

Family

ID=7311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144U KR200278943Y1 (ko) 2002-03-19 2002-03-19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0649B2 (ja) 複合用途対応型眼鏡
US5768716A (en) Goggles, in particular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US9588353B2 (en) Nosepiece for eyeglass frames
US5386254A (en) Sunglasses assembly
US5418581A (en) Hinge system for eyewear
US7325920B1 (en) Glasses for mounting to both rearward and forward facing caps
CN106932919B (zh) 可折叠眼镜
US7431451B1 (en) Nose-rest mechanism for safety glasses
US7926937B2 (en) Eyewear
JP2007529766A (ja) 眼鏡
KR101969215B1 (ko) 안경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5471258A (en) Eyeglasses with a hair clip
KR200278943Y1 (ko) 모자에 착탈할 수 있는 선글라스
US20070115424A1 (en) Prescription insert for safety eyewear and conversion kit to make a presciption insert into functional eyeglasses
EP4365667A1 (en) Eyewear with detachable, angle-adjustable temples
KR200278942Y1 (ko) 선글라스 착탈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선글라스 장착형모자
KR101506273B1 (ko) 모자 탈부착용 선글라스
JP2004280046A (ja) 2つのレンズおよび2つの後方に延在するテンプル部材を含むアイウェア製品
CN212135081U (zh) 可伸缩镜腿的眼镜
JP3751310B1 (ja) 内掛眼鏡フレーム及び眼鏡フレームセット
KR100612777B1 (ko) 선글라스 수납공간이 형성된 선글라스 장착형 모자
JPS6156486B2 (ko)
KR200374024Y1 (ko) 다기능 안전모
JPH0125931Y2 (ko)
JP3114647U (ja) 後方確認鏡付きの眼鏡及び眼鏡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