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839Y1 - 우퍼 스피커 - Google Patents

우퍼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839Y1
KR200278839Y1 KR2020020005238U KR20020005238U KR200278839Y1 KR 200278839 Y1 KR200278839 Y1 KR 200278839Y1 KR 2020020005238 U KR2020020005238 U KR 2020020005238U KR 20020005238 U KR20020005238 U KR 20020005238U KR 200278839 Y1 KR200278839 Y1 KR 200278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speaker
in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화
Original Assignee
(주)브이오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오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브이오디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05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839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우퍼 스피커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처리부(SS)와 신호처리된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부(PS)로 구성되는 우퍼스피커로서, 상기 입력처리부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입력단(100); 상기 신호입력단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입력증폭단(200); 위상 반전용 스위치(SW201)가 접속되어 스위칭에 따라 위상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위상반전단(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청주파수 조절용 가변 콘덴서(VR201)가 접속되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조절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워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증폭부(500); 상기 버퍼용 증폭부의 출력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 증폭부(600); 및 상기 파워부에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개선된 출력특성을 지니게 된다.

Description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
본 고안은 우퍼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특성이 양호하게 개선된 우퍼 스피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음향 트랜스듀서(transducer) 및 크로스오버(crossover) 회로망을 구비하는 인크로우저를 포함하며, 이는 가청 주파수의 전 범위를 재생하려는 의도였다. 그런 여러 트랜스듀서와 크로스오버로 구성된 한 예로서, 3방식 스피커 디자인은 저주파수를 재생하는 우퍼(woofer) 트랜스듀서와 중간주파수를 재생하는 중간대역(mid-range) 트랜스듀서 및 고주파수를 재생하는 트위터(tweeter)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의 크로스오버 회로망은 스피커 트랜스듀서들의 음향출력을 혼합하여, 음향출력에 있어서 하나의 트랜스듀서에서 다른 트랜스듀서로 매끄럽게 변이하는 것으로 특징되는 좋은 음조의 균형을 이룬다. 이것을 성취하는 한 방법에 대칭적인 크로스오버 회로망이며, 이 회로망은 주파수가 그 천이영역을 통과하여 증가함에 따라 한 트랜스듀서의 응답이 떨어지는 것이 그 인접하는 보다 높은 주파수의 사운드 영역을 재생하는 다른 트랜스듀서의 응답이 증가하는 것의 미러 이미지(mirror image)인 것을 보증하는 필터로서 동작한다. 이런 디자인 접근을 적당히 구현하기 위해서, 트랜스듀서와 크로스오버 회로망의 조합이 주파수응답이 불규칙성으로부터 오는 오더블 아터팩트(audible artifact)(부자연스러운 음질)나 하나의 스피커 인클로우저에 여러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잠재적으로 기인된 위상 상쇄 효과를 만들어내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단일음의 오디오 신호와 3방식 크로스오버 회로망을 통한 고충실도에서의 초기 노력으로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재생시킬 수 없었다. 초기 스테레오 시스템은 한 쌍의 동일하고 공간적으로 분포된 고충실도 스피커를 사용하여 두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였다. 두 스피커 인클로우저를 공간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은 스테레오 사운드를 재생하는 근본적인 개념이다. 스테레오 이미지(stereo image)는 한 쌍의 스피커로부터의 음향출력이 사운드의 수평적 파노라마(panorama)로서 감지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로 융화될 때 생긴다. 이런 파노라마가 두 스피커 위치 사이의 공간에 걸치는 스테레오 사운드 이미지를 청취자에게 제공한다. 적당한 스테레오 전망(perspective)은 청취자가 두 스피커 사이의 축을 따라 위치하고 스피커들의 평면에 수직인 곳에 위치할 때 생긴다.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스피커는 청취자에게 직접적인 경로로 사운드를 분사하는데, 이를 직접-방사(direct radiation)라 한다. 스테레오 이미지를 넓히려는 시도로서, 디자이너들은 직접적인 사운드와 반사되는 사운드의 조합을 방사하는 스피커 쌍을 사용하여 왔다. 그런 구성은 두 스피커 사이의 공간을 넘어서 스테레오 이미지를 확대하였다.
조금 더 현대적인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디자인은 3부분 부-위성 스피커시스템(three-piece sub-satellite speaker system)을 사용하는데, 서브-우퍼 저음 장치(sub-woofer bass unit)와 한 쌍의 위성 스피커의 조합이 상기한 종래의 전 범위 스피커 인클로우저 쌍을 대체한다. 그런 3부분 스피커 시스템에서, 위성 스피커는 대역의 중간 및 고주파수의 사운드를 재생하는 반면, 저음장치는 매우 낮은 주파수의 사운드만을 재생한다. 저음 재생을 서브-우퍼 장치에 제한함으로써, 좋은 저음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트랜스듀서와 인클로우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사이즈가 큰 스테레오 스피커 박스에 비교하여, 위성 스피커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많은 소비자들은 이런 보다 소형의 위성 스피커 배합을 더 전통적인 한 쌍의 전 범위 스피커 인클로우저보다 좋아한다. 저음 스피커는 보이지 않는 곳에 놓일 수 있고, 위성 스피커는 실내 장식과 울려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고객들은 여전히 다소 작은 이 위성 스피커 박스를 볼품없이 여기며, 눈에 거슬리지 않게 집에 배치하는 것이 힘들다고 생각한다.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든지 아니면 3부분 부-위성 시스템이든지 간에 가장 정교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전반적인 음질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비자들은 현재의 사운드 시스템은 생생한 사운드와 관련되는 음의 실감이 부족하다고믿는다. 각 사운드 재생 시스템은 주파수응답과 왜곡 및 동작 범위와 관련되는 음향 성능 판별조건을 양적인 면에서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 질적인 견지에서 다양한 음의 실감을 청취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실감나게 들린다고 결정된 몇 시스템은 또한 재생된 음에서 웅장함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졌다. 이 결정은 전반적인 음의 경험을 저해하는 아터팩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재생된 음의 공간적인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향학의 분야에서 광대한 개발이 행해지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앞서 기술한 3부분 부-위성 스피커 시스템은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와 같은 스피커 요소들을 공간적으로 분산배치하는 개념을 확대한 것이다. 그러나 음을 재생하기 위한 충분히 다수의 점원(point sources)을 청취환경에서 공간적으로 분산배치하여 웅장함을 더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 그 개념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다수의 공간적으로 배치된 점원을 추가하는 것이 웅장함을 더 증가시키지만, 그것은 또한 과장되고 과도하여 실감을 결여시킬 수 있다. 그런 부자연스러운 사운드재생은 종종 청취자가 피로감을 느끼도록 한다. 그래서, 향상된 웅장함은 청취자를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음의 실감과 균을 이루어야 한다.
이 균형은 특히 홈극장 사운드 시스템(home theater sound system)에서 중요하며, 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음향적 요구조건은 스테레오 음악을 재생하는 것의 그것과는 다르다. 홈극장 사운드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첫째, 사운드 트랙(soundtrack)에서 포착된 주위 및 사운드 효과 오디오 신호에 근거한 설득력 있는 서라운드 사운드 음향 분위기를 만드는 것; 둘째, 시청자 앞에 스테레오 사운드 이미지의 파노라마를 유지하는 것; 셋째, 실내의 모든 시청자에 대해 비디오 스크린(screen)에 로컬라이즈(localize)되는 다이얼로그(dialogue)를 재생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만족할만한 음향성능은 청취자가 비디오 스크린의 상영과 관련하여 실감있게 느껴지는 3차원 공간 음질을 갖는 사운드 영역에 몰입할 때 이루어진다.
홈극장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의 노력에는, 중앙에 놓인 비디오 디스플레이(video display)의 양측에 한 쌍의 전통적인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이 있었다. 그런 시스템은 전형적인 텔레비전 세트 안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사운드를 향상시켰다. 그러나, 그런 시스템의 성능은 적어도 두 가지 이유로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수 없도록 정해져 있었다. 첫째, 두 스피커 사이의 중앙선에서 벗어나 위치한 청취자는 다이얼로그를 그 스크린에 로컬라이즈하지(즉, 다이얼로그가 스크린으로부터 유일하게 나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이얼로그는 전형적으로 좌측 및 우측채널 신호 양측에 동일하게 기록된다. 다이얼로그의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은 스피커 사이의 중앙선 상에 있는 청취자에 대하여 두 스피커 사이에는 동일거리에 있는 점일 것이다. 청취자가 중앙선에서 벗어나 움직임에 따라, 그는 한 스피커에 좀 더 가까이 가고 다른 스피커에는 좀 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 다이얼로그의 로컬라이제이션은 첫 번째 도착하는 신호가 발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는 가장 가까운 스피커일 것이다. 다이얼로그는 청취자가 축에서 벗어나 움직임에 따라 가장 가까운 스피커로 붕괴된다. 다이얼로그의 로컬라이제이션은 축에서 벗어난 청취자에 대하여 비디오 이미지의 위치로부터 옮겨지게 되고, 스크린의 등장인물이 축에서 벗어난 청취자에게 실제로 말하는 것과 같은 환상이 파괴될 것이다. 둘째,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양편에 위치한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는 사운드 영역을 스피커의 평면 안에서, 청취자 앞의 공간으로 정한다. 그래서, 몰입감(즉, 사운드가 청취자의 앞 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뒤에서도 발생한다는 느낌)이 없다.
그리고, 어떠한 홈극장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향상도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진다. 구성요소를 줄이는 한 접근법은 가능하다면 구성요소들을 합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호연결모듈과 서브-우퍼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체될 수 있다. 도 8은 홈극장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에 대하여, 그런 대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홈극장 서라운드 사운드 스피커 시스템(이하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이라 한다.)은 텔레비전(20)은 오디오 신호를 합체된 서브-우퍼 저음 스피커 및 상호연결모듈(10)(이하 합체 저음 장치라 한다.)에 출력한다. 이 합체 저음장치(10)는 상호연결모듈과 서브-우퍼의 결합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호연결모듈은 부품의 수와 케이블 연결 요구조건을 줄이고 더 나아가서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브-우퍼 저음스피커 하우징(housing)으로 합체되었다. 합체 저음장치(10)는 적절한 신호를 전방 중앙 스피커(30), 좌측 위성 스피커(42), 우측 위성 스피커(50) 그리고 후방주위 스피커(60) 각각에 분배하기 위한 상호연결 부위를 포함한다. 합체 저음장치(10)는 또한 서브-우퍼를 포함하는데, 이 서브-우퍼는 합체 저음장치(10)에 내장된 상호연결 회로소자에 직접 배선된다. 이런 식으로, 시스템은 케이블(상호연결모듈과 서브-우퍼 사이)을 요구하지않고 또한 개별적으로 독립형인(stand-alone) 구성요소(상호연결모듈)를 요구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70은 관람석이다.
그러나, 이상의 홈극장 시스템에서의 우퍼 스피커의 경우, 종래에는 한정된 공간을 차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저음의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저음과 울림 현상 간의 부조화나 스피커의 후방 공간의 협소한 문제 등으로 음의 찌그러짐이 발생하곤 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재생 효과가 뛰어난 우퍼 스피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의 목적이나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관한 우퍼 스피커의 전체 배선도.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블럭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입력처리부의 회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파워부의 회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과 관련된 우퍼 스피커 회로의 출력 특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우퍼 스피커가 적용되는 홈극장 스피커 시스템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S : 파워부 SS : 입력처리부
SPK : 스피커 PT : 전력변환부
10 : 우퍼 스피커 20 : TV
30 : 전방중앙스피커 40 : 좌측위성스피커
50 : 우측위성스피커 60 : 후방주위스피커
70 : 관람석
100 : 신호 입력단 200 : 입력증폭단
210, 220 : 증폭기 230 : 인버터기
240 : 결합기 300 : 위상반전단
310 : 신호 선택기 400 :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
410 :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 420 : 저역통과 필터
500 : 버퍼용 증폭부 600 : 파워 증폭부
700 : 전원부 800 : 열감쇠 보상부
900 : 릴레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우퍼 스피커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처리부(SS)에서 처리한 후, 커넥터(WH1, WH2 및 CW1, CW2)를 통해 파워부(PS)로 출력하고, 여기에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스피커로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하는 이득증폭기(210, 220); 상기 이득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신호 선택기(310); 상기 위상 반전된 신호를 가청주파수 조정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410); 상기 조정된 신호를 로우 부스터되도록 하는 저역통과필터(420);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버퍼용 증폭부(500) 및 파워 증폭부(600); 상기 전력증폭된 출력 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SPK); 및 상기 파워부(PS)에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우퍼 스피커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처리부(SS)와 신호처리된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부(PS)로 구성되는 우퍼스피커로서, 상기 입력처리부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입력단(100); 상기 신호입력단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입력증폭단(200); 위상 반전용 스위치(SW201)가 접속되어 스위칭에 따라 위상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위상반전단(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청주파수 조절용 가변 콘덴서(VR201)가 접속되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조절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워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증폭부(500); 상기 버퍼용 증폭부의 출력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 증폭부(600); 및 상기 파워부에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관한 우퍼 스피커의 전체 배선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입력처리부의 회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 회로의 파워부의 회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우퍼 스피커의 결선 구조를 보면,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들어 TV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처리부(SS)에서 처리한 후, 커넥터 WH1, WH2 및 CW1, CW2를 통해 파워부(PS)로 출력하고, 여기에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한다. 파워부(PS)는 전력변환부(PT)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제, 상기 입력처리부(SS) 및 파워부(PT)를, 도 1b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TV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라인입력 단자(LI1, LI2)를 통해 입력되며, 이는 이득 증폭기(220)에 의해 증폭되며, 스피커 레벨 입력단(SI)으로의 입력 신호는 이득 증폭기(210)에 의해 증폭되고 인버터기(230)를 통해 결합기(240)에서 결합되어 진다. 상기 스피커 레벨 입력단(SI)은 위성 스피커 출력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신호 선택기(310)에 의해 위상반전되며,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410)에 의해 가청주파수 조정되며 저역통과필터(420)에 의해 로우 부스터되고, 버퍼용 증폭부(500) 및 파워 증폭부(600)에 의해 전력증폭된 후, 스피커(SPK)로 출력된다.
파워부(PS)에의 전원 공급은 전원부(7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AC 상용전원이 변압기를 통해 여러 기준 전압을 생성하여 파워부 및 입력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우퍼 스피커 회로의 실제 회로를 도 2a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입력처리부를 설명하면, 입력처리부는 신호 입력단(100), 입력증폭단(200), 위상반전단(300)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으로 구성된다.
신호 입력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LI1 및 LI2를 통해 라인 입력을 받아들이며, 단자 SI를 통해 스피커 입력을 받아들인다. 신호 입력단에는 그 외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저항(R201-R214) 및 콘덴서(C201-C210, C235-C236)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단의 출력 신호는 입력증폭단(200)의 제1 드라이브 증폭기(IC201A) 및 제2 드라이브 증폭기(IC202A)로 구성되는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커넥터(WH1)를 통해 후술하는 열감쇠 보상부(800)로 인가된다. 상기 입력증폭단은 이외에도 부수적인 저항(R215-R219) 및 콘덴서(C213-C214) 소자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드라이브 증폭기(IC201A)의 출력단은 제3 증폭기(IC201B) 및 제4 증폭기(IC202B)를 포함하는 위상반전단(300)으로 인가되는 바, 상기 제4 증폭기(IC202B)의 일측 입력단에는 위상 반전용 스위치(SW201)가 접속되어 스위칭에 따라 위상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상반전단(300)은 이외에도 부수적으로 저항(R220-R226, R270) 및 콘덴서(C215-C216) 소자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상반전단의 출력은, 콘덴서(C217, C218)를 통해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의 제1 전압플로워(IC203A) 및 제2 전압플로워(IC203B)를 통해제5 및 제6 증폭기(IC204A, IC204B)로 접속된다. 상기 제2 전압플로워의 입력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청주파수 조절용 가변 콘덴서(VR201)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5 증폭기(IC204A)의 출력단에는 트랜지스터(Q201, Q202)가 접속되며,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의 출력단은 서브우퍼 출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 저항(VR202)을 통해 제2 커넥터(WH2)의 일측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에는 이외에도 저항(R227-R243), 콘덴서(C219-C233) 및 다이오드(D201-D202) 소자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WH2)의 다른 단자는 접지 단자, +15V 단자 및 -15V 단자이다. 상기 제2 커넥터의 파워부측 커넥터(CW1)의 상기 신호 단자에는 버퍼용 증폭부(500)의 버퍼용 증폭기(IC101A)가 접속되는 바, 상기 버퍼용 증폭부는 부수적으로 저항(R101-R103) 및 콘덴서(C101-C102, C116) 소자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버퍼용 증폭부의 출력단은 파워 증폭부(600)의 증폭기(IC101B)에 접속되며, 이는 다시 전력증폭용 트랜지스터(Q101-Q106) 및 트랜지스터(Q110-Q111), 그리고 그들의 부수적인 회로 소자들인 저항(R105-R120, R129-R132), 콘덴서(C103-C111, C117-C125) 및 다이오드(D101-D104, D106-D107)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 증폭부의 트랜지스터(Q105)의 출력단은 열감쇠 보상부(800)의 IC103(일례로 KIA7805)을 거쳐 열감쇠 보상회로 칩(IC102)의 일 단자(일례로 FC2072의 8번단자)에 접속되며, 한편, 상기 제1 커넥터(WH1)의 파워부측 커넥터(CW1)의 일측단도 상기 칩(IC102)의 다른 단자(일례로 FC2072의 1번단자)에 접속되어, 증폭기(Q107-Q109), 저항(R125-R12128) 및 콘덴서(C113-C115)로 이루어지는 열감쇠 보상부에 의해 신호 보상되어 진다.
최종적인 출력이 릴레이(RELAY)(일례로 DY311D12H) 및 다이오드(D105), 트랜지스터(Q107), 저항(R121-R122) 및 콘덴서(C112)로 구성되는 릴레이부(900)를 통해 스피커측 접속 커넥터(WH4)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이 저항(R123-R124)을 통해 저역 진동출력측 접속 커넥터(WH3)에 접속된다.
상기 파워부는 전원부(700)에서 AC 상용전원이 변압기(TR)의 출력측 커넥터(WH5)에 접속되며, 이는 다이오드(D108)에 의해 DC화되어 전원 공급된다. 미도시 부호 C126 및 C127은 콘덴서이고, S/W는 파워스위치이며, F1은 퓨즈이다.
이상,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퍼스피커 회로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원단(700)에 의해 전원 공급되며, 입력단(100)에 의해 입력신호가 신호음을 감지하여 증폭단(200)으로 신호를 보내며, 위상반전단(300)에서 위상반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조절 및 출력레벨이 조절되며, 이상의 출력은 버퍼용 증폭단(500)에서 다시 증폭되고, 파워 증폭부(600)에서 완전한 증폭이 되어 내장된 스피커 유니트(SPK)를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회로를 갖는 서브우퍼 베이스 스피커 회로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선된 출력특성을 지니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과 관련된 우퍼 스피커 회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상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회로를 갖는 서브우퍼 베이스 스피커 회로에 의하면, 종래의 우퍼 스피커 회로에 비해 개선된 출력특성을 지니게 된다.

Claims (2)

  1.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처리부(SS)에서 처리한 후, 커넥터(WH1, WH2 및 CW1, CW2)를 통해 파워부(PS)로 출력하고, 여기에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스피커로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하는 이득증폭기(210, 220);
    상기 이득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신호 선택기(310);
    상기 위상 반전된 신호를 가청주파수 조정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410);
    상기 조정된 신호를 로우 부스터되도록 하는 저역통과필터(420);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증폭부(500) 및 파워 증폭부(600);
    상기 전력증폭된 출력 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SPK); 및
    상기 파워부(PS)에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퍼 스피커.
  2.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처리부(SS)와 신호처리된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K) 및 울림판(WH3)으로 신호처리 및 증폭된 신호를 최종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부(PS)로 구성되는 우퍼스피커로서,
    상기 입력처리부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입력단(100);
    상기 신호입력단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입력증폭단(200);
    위상 반전용 스위치(SW201)가 접속되어 스위칭에 따라 위상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위상반전단(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청주파수 조절용 가변 콘덴서(VR201)가 접속되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조절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조절기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워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용 증폭부(500);
    상기 버퍼용 증폭부의 출력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 증폭부(600); 및
    상기 파워부에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원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퍼 스피커.
KR2020020005238U 2002-02-22 2002-02-22 우퍼 스피커 KR200278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38U KR200278839Y1 (ko) 2002-02-22 2002-02-22 우퍼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38U KR200278839Y1 (ko) 2002-02-22 2002-02-22 우퍼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839Y1 true KR200278839Y1 (ko) 2002-06-21

Family

ID=7308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238U KR200278839Y1 (ko) 2002-02-22 2002-02-22 우퍼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06B1 (ko) 2019-07-01 2020-03-24 백송현 저음 대역 음압 특성이 개선된 우퍼 스피커용 저역통과 필터의 인덕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06B1 (ko) 2019-07-01 2020-03-24 백송현 저음 대역 음압 특성이 개선된 우퍼 스피커용 저역통과 필터의 인덕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8935B2 (en)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US75459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rround sound beam-forming using the overlapping portion of driver frequency ranges
US6118876A (en)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for improved spatial effects
US8638959B1 (en) Reduced acoustic signature loudspeaker (RSL)
US5708719A (en)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US10327086B2 (en)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equalization and transducer aiming of stereo dimensional array (SDA) loudspeakers
WO2006089969A1 (en) Portable device with enhanced stereo image
JPH02261299A (ja) ステレオ音を改善する装置
US20080044038A1 (en) Stereophonic sound system
TW395140B (en)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KR200278839Y1 (ko) 우퍼 스피커
KR100386919B1 (ko) 노래반주장치
EP0060097B1 (en) Split phase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US7164770B2 (en)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CN2343731Y (zh) 家庭影院环绕立体声音响装置
JP2003164000A (ja) スピーカ装置
US11496850B2 (en) Spatial arrangement of sound broadcasting devices
RU22602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аушников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JPH05191898A (ja) 音像拡大装置
JP2017175417A (ja) 音響再生装置
RU2193827C2 (ru) Постусилительная схема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тереофонического звука в окружающий звук
JP2563086Y2 (ja) スピーカ装置
JPH04318800A (ja) スピーカ装置
JPH07212891A (ja) センターチャンネル信号再生用スピーカ装置
JP2003111187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及び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