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805Y1 - 머리띠형 안경 - Google Patents

머리띠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805Y1
KR200278805Y1 KR2020010015719U KR20010015719U KR200278805Y1 KR 200278805 Y1 KR200278805 Y1 KR 200278805Y1 KR 2020010015719 U KR2020010015719 U KR 2020010015719U KR 20010015719 U KR20010015719 U KR 20010015719U KR 200278805 Y1 KR200278805 Y1 KR 200278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glasses
lens
nos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216U (ko
Inventor
서정은
Original Assignee
서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은 filed Critical 서정은
Priority to KR2020010015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805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805Y1/ko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glass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받이가 불필요한 머리띠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머리띠형 안경은, 머리의 상측부터 귀 뒷부분까지 걸치는 것이 용이한 형상인 머리띠부(90); 및 상기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머리띠부(9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 다리(104)가 상기 머리띠부(90)에 힌지(92)결합되고, 상기 양 다리(104)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10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렌즈(102)의 선택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102)를 고정하는 연결쇠(108)가 상기 양 다리(104)에 각각 힌지(106)결합되는 안경부(100);를 포함하여 안경의 코받이가 없이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안경부에 머리띠부를 결합시켜서 안경의 하중을 넓은 면적의 머리띠로 분산시킴으로써 안경의 하중이 사용자의 안면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받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코에 하중을 주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으며, 장시간의 착용해도 안면 어떠한 자국도 남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 및 다양한 패션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머리띠형 안경{Hair band type glasses}
본 고안은 머리띠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받이가 불필요한 머리띠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이란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빛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수정체의 초점거리를 교정하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플라스틱/수정계열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시야선상에 고정시키는 안경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는 이러한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강한 자외선, 전자파, 열선, 이물질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패션 선그라스 등과 같이 패션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상의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안경의 안경테는 통상 2개의 유색 또는 무색 렌즈를 둘러싸는 형상의 렌즈하우징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하우징부분을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하우징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콧등에 걸쳐지는 코받이와, 상기 렌즈하우징부분과 연결되는 두 개의 다리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귀받침을 구비한다.
즉, 종래의 통상적인 안경테는 상기 안경테 및 렌즈의 하중을 코받이와 귀받침에 의해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안경을 콧등 및 귀에 걸어 착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안경에서 가장 무거워서 무게 비중을 높게 차지하고 있는 것은 렌즈이므로 거의 대부분의 안경하중은 상기 렌즈하우징부분에 설치된 좁은 면적의 코받이에 집중되고, 단지 귀받침은 위치고정의 역할만을 담당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용자는 콧등에 작용하는 지나친 하중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불쾌감에 의해 두통, 시력감퇴, 피부병 등이 발생하거나 불쾌감을 견디기 위한 장지간의 적응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하중이 집중되는 콧등에 코받이에 의한 자국이 발생하여 안경을 벗거나 콘택트렌즈 등을 착용할 때 미관상 좋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경은 그 구조상 안경을 이용한 다양한 패션연출이 불가능하고, 안경디자인에 한계가 있으며, 돋보기안경이나 썬그라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부에 머리띠부를 결합시켜서 안경의 하중을 넓은 면적의 머리띠로 분산시킴으로써 안경의 하중이사용자의 안면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받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코에 하중을 주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으며, 장시간의 착용해도 안면 어떠한 자국도 남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 및 다양한 패션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머리띠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띠형 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머리띠형 안경은, 머리의 상측부터 귀 뒷부분까지 걸치는 것이 용이한 형상인 머리띠부 및 상기 머리띠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머리띠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 다리가 상기 머리띠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렌즈의 선택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연결쇠가 상기 양 다리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안경부를 포함하여 안경의 코받이가 없이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띠형 안경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띠형 안경은,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안경부(10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안경부(100)의 렌즈(10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머리띠부(90)는, 머리의 상측부터 귀 뒷부분까지 걸치는 것이 용이한 'U'자 형상이고, 상기 안경부(100)는, 상기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머리띠부(9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 다리(104)가 상기 머리띠부(90)에 힌지(92)결합되고, 상기 양 다리(104)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10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렌즈(102)의 선택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102)를 고정하는 연결쇠(108)가 상기 양 다리에 각각 힌지(106)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상기 안경부(100)를 전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렌즈(10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렌즈(102)가 시야선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렌즈(102)의 착용이 가능하고, 이와는 반대로 장시간 렌즈(102)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상기 안경부(100)를 후방에 위치시켜서 상기 안경부(100)가 사용자의 안면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단시간 렌즈(102)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안경부(100)를 사용자의 안면상에 그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단지 렌즈(102)만을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렌즈(102)만의 탈거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안경부(100)의 하중이 상기 머리띠부(90)에 골고루 분산되고, 상기 안경부(100)는 상기 머리띠부(9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안경부(100)에 코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콧등이 상기 안경부(100)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물론이고, 착용시 렌즈(102)의 탈거가 용이하여 자주 렌즈(102)를 탈거하는 스키장 등에서 선그라스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띠부(90)와 안경부(100)의 디자인은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머리띠형 안경은, 코받이를 제거한 구성이나 코받이가 있더라도 코에 하중을 주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고, 안경뿐만이 아니라 썬그라스나, 각종의 패션안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머리띠부들에는 자석이나 옥돌, 원석 등을 장착하여 머리의 경혈이나 경락 등을 자극함으로써 건강상품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머리띠부의 재질을 완전히 둥근 링형상의 직물이나 신축성 밴드 등으로 제작하여 착용감을 좋게 하고, 머리띠부의 일부분을 머리카락으로 덮어 이마부분이 노출되도록 패션을 연출하는 등 매우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머리띠형 안경에 의하면, 안경부에 머리띠부를 결합시켜서 안경의 하중을 넓은 면적의 머리띠로 분산시킴으로써 안경의 하중이 사용자의 안면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받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코에 하중을 주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으며, 장시간의 착용해도 안면 어떠한 자국도 남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 및 다양한 패션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머리의 상측부터 귀 뒷부분까지 걸치는 것이 용이한 형상인 머리띠부(90); 및
    상기 머리띠부(9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머리띠부(9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 다리(104)가 상기 머리띠부(90)에 힌지(92)결합되고, 상기 양 다리(104)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10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렌즈(102)의 선택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102)를 고정하는 연결쇠(108)가 상기 양 다리(104)에 각각 힌지(106)결합되는 안경부(100);
    를 포함하여 안경의 코받이가 없이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띠형 안경.
KR2020010015719U 2001-05-28 2001-05-28 머리띠형 안경 KR200278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19U KR200278805Y1 (ko) 2001-05-28 2001-05-28 머리띠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19U KR200278805Y1 (ko) 2001-05-28 2001-05-28 머리띠형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66U Division KR200269566Y1 (ko) 1999-01-20 1999-04-27 머리띠형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16U KR20010002216U (ko) 2001-08-09
KR200278805Y1 true KR200278805Y1 (ko) 2002-06-21

Family

ID=5804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719U KR200278805Y1 (ko) 2001-05-28 2001-05-28 머리띠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8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750B1 (ko) * 2014-12-12 2015-10-22 양재복 머리고정형 안경
KR20200058875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아이데코이앰 이탈 방지기능을 가지는 안경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750B1 (ko) * 2014-12-12 2015-10-22 양재복 머리고정형 안경
WO2016093500A1 (ko) * 2014-12-12 2016-06-16 양재복 머리고정형 안경
KR20200058875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아이데코이앰 이탈 방지기능을 가지는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16U (ko)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490A (en) Safety eyeglasses and corrective lens carrier therefor
US4886349A (en) Temples-less eyeglass frame
EP1030630A1 (en) Sport glasses
KR920007781B1 (ko) 안경다리의 협지장치
KR200278805Y1 (ko) 머리띠형 안경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20120004268A (ko) 코받침 없는 안경
KR200256407Y1 (ko) 가발 안경
KR200269566Y1 (ko) 머리띠형 안경
US7748841B1 (en) Side-view mirror attachment for spectacles
KR20010002217U (ko) 머리띠형 안경
CN218383528U (zh) 一种镜片镶嵌花纹装饰片的无框眼镜
KR200355920Y1 (ko) 편안한 안경
CN217767079U (zh) 一种庄头有弹性结构自适应头型大小眼镜
JP3318183B2 (ja) 使い勝手のよい多機能眼鏡
CN201266278Y (zh) 一种可以预防近视的眼镜
KR200321285Y1 (ko) 두부 착용식 안경
CN207867167U (zh) 眼镜
JP3100890U (ja) 検眼用フレーム
JP2004341124A (ja) 花粉や埃から目を守る保護眼鏡
JPH0637388Y2 (ja) 重ね眼鏡
KR200386704Y1 (ko) 다양한 방식으로 착용가능한 안경
KR19990033805U (ko) 다기능안경
TWM576664U (zh) A lens that is easy to disassemble lenses
JP2020166257A (ja) 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