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656Y1 -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656Y1
KR200278656Y1 KR2020020009099U KR20020009099U KR200278656Y1 KR 200278656 Y1 KR200278656 Y1 KR 200278656Y1 KR 2020020009099 U KR2020020009099 U KR 2020020009099U KR 20020009099 U KR20020009099 U KR 20020009099U KR 200278656 Y1 KR200278656 Y1 KR 200278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contents
air
discharge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홍
Original Assignee
다임폴라특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임폴라특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임폴라특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656Y1/ko

Links

Landscapes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체형상의 물질을 수송하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공기나 가스(이하 공기)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신속히 배출시키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체형상의 물질을 부유시켜 배출하는 내용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저장탱크의 배출부에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고 반구형태의 디쉬가 배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플랜지에 결합되어 있으며 디쉬 내부에는 깔때기 모양의 디쉬콘이 결합되어 있고 디쉬 상단에는 디쉬콘과 일정한 간극을 가지는 에어레이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디쉬의 일측이 공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있고 디쉬콘의 일측에는 내용물 배출관이 연결된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의 배출장치에 비해 소음이 줄어들고 내용물의 배출속도가 향상되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contents from powdered material transporting trailer}
본 고안은 분체를 수송하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수용되는 분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는 트레일러의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내용물을 배출하는 관이 연결되고, 트레일러의 상부 일측에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주입하는 관이 연결되어 있다. 하역작업시에는 주입구로 압력공기를 주입하면 트레일러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트레일러 내부의 배출부에는 내용물이 서로 엉켜붙거나 배출구에 붙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물을 부유시켜주는 장치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41748호의 기술에서는 플레이트를 천공하여 공기공급용 고정관을 연결하고, 고정관의 상단에 원뿔모양의 캡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캡의 하단은 플레이트의 상면과 유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캡의 하단과 플레이트의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통해 토출되면서 내용물을 부유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플레이트와 에어캡 사이의 유격의 전체면적 즉, 공기의 토출면적이 기준압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아 공기가 빠져나갈 때에 발생하는 소음이 크고, 내용물을 부유시키는 과정에서 내용물 배출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부유시키는 부분이 발생하여 배출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에어캡과 플레이트의 유격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캡의 미세한 진동으로 고정관과 플레이트의 접촉부에 마모가 진행되고, 나아가 내용물에 에어캡이 노출되어 있어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갖는 내용물일 경우 에어캡과 내용물의 마찰로 인한 마모의 진행으로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용물 부유시 생기는 소음을 줄이고, 내용물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며, 마모를 최소화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저면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배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의 종단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하부 플랜지 20; 압력관
22; 공기 주입관 24; 내용물 배출관
40; 디쉬(dish) 50; 디쉬콘(dish cone)
60; 에어레이터 100; 저장 탱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장탱크 배출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반구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플랜지에 의해 저장탱크의 배출부를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디쉬와, 상기 디쉬 내부에 안착되어 디쉬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디쉬콘과, 상기 디쉬 상단에 결합되어 디쉬콘 상단부의 연통공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연통하는 댐핑공간을 형성하며, 디쉬콘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에어레이터와, 상기 공기유입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디쉬콘으로부터 디쉬의 외부로 연장되어 저장탱크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된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전체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탱크(100) 저면의 배출부(102)에 디쉬(40) 있고 디쉬(40) 주위에 압력관(20)이 배관되어 있으며 압력관(20)의 양끝단에는 공기 주입구(26)와 내용물 배출구(28)가 있다. 압력관(20)의 일측에는 탱크(100) 내부로 공기를 넣어주기 위한 상부관(30)이 연결되어 있다. 상부관(30)을 통해 탱크(100)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내용물 배출시 내용물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2는 탱크(100) 저면의 압력관(20)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배관도로 디쉬(40) 주위에 사각형 형태로 압력관(20)이 배치된다. 압력관(20)의 양끝단은 공기 주입구(26)와 내용물 배출구(28)가 있다. 양단이 각각 디쉬(40)와 압력관(20)에 연결되어 압력관(20)을 따라 흐르는 공기압을 디쉬(4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관(22)이 설치되고, 디쉬(40)를 중심으로 공기 주입관(22)의 반대편에는 양단이 각각 디쉬(40)와 압력관(20)에 연결되어 디쉬(40)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기위한 내용물 배출관(24)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32는 탱크(100)로 공기를 공급하는 상부관(30)연결용 구멍이다.
도3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쉬(40)의 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탱크(100)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한곳으로 집중시키는 호퍼형태의 배출부(102)가 구성된다. 이 배출부(102)의 단부에는 상부플랜지(12)가 고정되고, 이 상부플랜지(12)와 가스켓(14)을 개재하여 하부플랜지(16)가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14)의폭은 하부플랜지(16)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스켓(14)을 후술하는 에어레이터(60)에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디쉬(40)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탱크(100) 배출부(102)를 커버하는 형태로 하부 플랜지(16)의 내주연에 용접되어 연결된다. 디쉬(40) 내부에는 디쉬(40)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48)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복수의 연통공(52)이 형성되는 깔때기 모양의 디쉬콘(50)이 안착된다. 디쉬(40)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에어레이터(60)는 디쉬콘(50) 상부에 연통공(52)을 통해 공기유입공간(48)과 연통하는 댐핑공간(68)을 형성하며, 끝단이 디쉬콘(50)의 내면과 소정의 간극을 갖는다. 디쉬(40)의 외부에는 디쉬(40)의 일측에 연결되고 공기유입공간(48)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22)과, 디쉬콘(50)의 일측에 연결되며 디쉬콘(50)으로부터 디쉬(4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저장탱크(100)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내용물 배출관(24)이 있다.
도5는 도4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디쉬(40)의 상단 내주연에 결합된 에어레이터(60)는 링형의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디쉬콘(50)의 표면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수직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레이터(60)수평부의 상면은 가스켓(14)의 하면과 밀착되어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는, 공기 주입구(26)로 공급된 공기가 압력관(20)을 따라 이동하여 내용물 배출구(28)로 나오는 과정에서 내용물 배출관(24)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부압에 의해 디쉬(40)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 배출관(24)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어 압력관(20)의 압력에의해 내용물 배출구(28)로 배출된다. 또한 압력관(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공기 주입관(22)을 통해 디쉬(40) 내부로 공급되어 디쉬(40)와 디쉬콘(50) 사이의 공기 유입공간(48)을 지나 디쉬콘(50) 상부의 연통공(52)을 통해 에어레이터(60)와 디쉬콘(50) 사이의 댐핑공간(68)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댐핑공간(68)으로 들어간 공기는 디쉬콘(50)과 에어레이터(6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나오면서 내용물을 부유시키게 된다. 이때 내용물을 부유시킴과 동시에 디쉬콘(50)의 경사를 따라 내용물을 내용물 배출관(24) 방향으로 밀어내어 내용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 압력관(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부관(30)을 통해 탱크(100)내부로 공급되어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즉 압력관(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내용물 배출관(24)에 부압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키고, 압력관(20)의 일부 공기는 공기 주입관(22)을 통해 디쉬(40)내부로 공급되고 일부는 상부관(30)을 통해 탱크(100)내부로 공급되면서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분체수송용 내용물 배출장치는 기존의 에어캡으로 구성된 배출장치에 비해 간극으로 나오는 공기의 토출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소음이 크게 줄어들게 되며, 내용물을 부유시키는 작용이 디쉬콘의 경사를 따라 항상 배출방향으로 일어나므로 배출속도가 향상된다.
아울러 기존의 에어캡이 내용물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에어레이터는 수평부가 가스켓에 밀착되어 있고 단지 수직부만이 내용물에 노출되어 있어 내용물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출부를 갖는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배출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반구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플랜지에 의해 저장탱크의 배출부를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디쉬와,
    상기 디쉬 내부에 안착되어 디쉬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디쉬콘과,
    상기 디쉬 상단에 결합되어 디쉬콘 상부에 연통공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과 연통하는 댐핑공간을 형성하며, 디쉬콘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에어레이터와,
    상기 공기유입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디쉬콘으로부터 디쉬의 외부로 연장되어 저장탱크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수송용 내용물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터는 디쉬의 상단 내주연에 결합되는 링형의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디쉬콘의 표면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수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송용 내용물 배출장치.
KR2020020009099U 2002-03-27 2002-03-27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KR200278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99U KR200278656Y1 (ko) 2002-03-27 2002-03-27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99U KR200278656Y1 (ko) 2002-03-27 2002-03-27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656Y1 true KR200278656Y1 (ko) 2002-06-20

Family

ID=7312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099U KR200278656Y1 (ko) 2002-03-27 2002-03-27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4255A (en) Recycling gas contact apparatus
HK1096551A1 (en) System, tank and output unit for transporting untreated drill cuttings
JP2011516243A (ja) 液体濾過のための容器
RU24793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мелкозернистых или пылевидных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из резервуара
SU111829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ушки твердых орган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08049259A (ja) 粉粒体の循環装置
KR200278656Y1 (ko) 분체수송용 트레일러의 내용물 배출장치
US2941842A (en) Unloader for grain elevators, etc.
KR101982245B1 (ko) 액체 자동 배출장치
JP4917073B2 (ja) 移動床式砂ろ過装置
US5143486A (en) Flow promoter for fluidized solids
RU2006136174A (ru) Скруббер кочетова
US3251583A (en) Pulverulent material dispensing and mixing apparatus
JP2011255903A (ja) 粉粒体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
KR200413773Y1 (ko) 에어 챔버를 구비한 호퍼
CN113440988A (zh) 一种气水分离器
CN219400628U (zh) 双流体喷嘴装置
KR101606688B1 (ko) 해양 구조물용 벌크탱크의 공기 분사장치
CN210560417U (zh) 一种防堵塞的高压沼气喷射装置
CN216756797U (zh) 一种离心机的进料管结构
CN209067439U (zh) 气路稳定装置
CN101495413B (zh) 加压浮起装置
JP4439689B2 (ja) 排気弁
JPH0579370B2 (ko)
JP2007046740A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