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584Y1 -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584Y1
KR200278584Y1 KR2020020006210U KR20020006210U KR200278584Y1 KR 200278584 Y1 KR200278584 Y1 KR 200278584Y1 KR 2020020006210 U KR2020020006210 U KR 2020020006210U KR 20020006210 U KR20020006210 U KR 20020006210U KR 200278584 Y1 KR200278584 Y1 KR 200278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coupled
rail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2000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584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벽면에 설치되는 패널(14)의 높, 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패널(14)을 설치할 때 스크루우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간단한 끼움작업에 의해 패널(14)이 결합되게 하므로써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걸이부재(2)와, 상기 걸이부재(2)에 양단부를 결합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헹어프레임(12)과, 상기 헹어프레임(12)에 슬립 결합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립부재(16)와, 상기 조립부재(16) 사이에 배치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된 러그프레임(26)을 결합하며 설치되는 패널(14)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Assembly type panel fixture}
본 고안은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벽면에 설치되는 패널의 높, 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고, 또한 패널을 설치할 때 스크루우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간단한 끼움작업에 의해 패널이 결합되게 하므로써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벽면에는 전기공사로 인한 각종 배선과, 에어덕트등 각종 설치물이 배치되어 있어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데,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통 다수개의 패널을 설치하여 설치물들을 가리게 된다.
상기한 패널은 별도의 설비등에 의해 천정벽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써, 배선과 덕트가 가려지게 되어 건물내의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패널은 수 많은 스크루우를 체결하여 고정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건물의 완공시기를 지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제반적인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작업기간을 보다 단축시키기 위한 개발을 시도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기술은 선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91-9567호(명칭:조립식 천정판넬 고정장치)를 도 6 과 도 7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천정벽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봉(15)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15)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바(10)가 지지공(14)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10) 하부에는 상부돌출판(11)과하부돌출판(12)이 순차적으로 거리를 두면서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연결바(10)의 상,하부돌출판(11, 12)에는 천정판넬(1)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천정판넬(1)의 상,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서 이격되어 배치된 상, 하부지지판(6, 7)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지지판(6, 7) 사이에는 보강재(8)가 설치되며, 가장자리 내부에는 외곽틀(4)이 설치된다.
상기 외곽틀(4)은 상,하부지지판(6)이 "??"자로 절곡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지판(6) 내측에는 하부돌출판(12)상에 위치하는 걸림턱(5)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판(6) 외측에는 보강판(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6) 선단부에는 코킹(1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천정벽면에 다수개의 지지봉(15)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면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15) 하단부에는 지지공(11)을 끼움으로서 연결바(10)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설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천정판넬(1)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천정판넬(1)의 상부지지판(6)이 상부돌출판(11) 배면부에 밀착되게 하고, 동시에 걸림턱(5)은 하부돌출판(12)에 위치하게 하며, 이와 함께 상기한 연결바(10)의 하단부는 코킹(17)에 위치하게 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상기 상부돌출판(11)에 리벳(16)을 체결하여, 상부지지판(6)이 상부돌출판(11)에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천정판넬(1)은 연결바(10)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지지봉이 설정된 치수로 가공된 상태에서 천정벽면에 설치되므로, 천정판넬(1)은 항상 일정한 높이로만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 높, 낮이가 변할 경우에는 재가공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결바에 천정판넬을 설치할 때 다량의 스크루우를 체결하여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공정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천정벽면에 설치되는 패널의 높, 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패널을 설치할 때 스크루우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간단한 끼움작업에 의해 패널이 결합되게 하므로써,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에 양단부를 결합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헹어프레임과, 상기 헹어프레임에 슬립 결합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립부재와, 상기 조립부재 사이에 배치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된 러그프레임을 결합하며 설치되는 패널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걸이부재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인 조립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인 패널의 측면도.
도 6 은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걸이부재 4:스테이 6:나사부
8:러그 10:너트 12:헹어프레임
14:패널 16:조립부재 18:레일프레임
20:상부레일 22:리브 24:스토퍼
26:하부레일 28:엠보스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를 도 1내지 도 5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에 다수개의 걸이부재(2)(도2참조)가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는데, 상기 걸이부재(2)는 천정벽면에 상단부를 고정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테이(4)가 하부에 나사부(6)를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4) 하부에는 직사각형으로 절곡된 러그(8)가 나사부(6)에 결합되면서 체결되는 너트(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걸이부재(2)에는 헹어프레임(12)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부를 상기 러그(8)에 결합하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헹어프레임(12)에는 패널(14)(도5참조)의 가장자리 부분을 결합하는 조립부재(16)(도2참조)가 설치되는데, 상기 조립부재(16)는 상기한 헹어프레임(12)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립되게 결합하는 레일프레임(18)이 직사각형 모양을 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18) 하단부 양측에는 패널(14)의 상단면과 밀착하면서 고정역할을 하는 상부레일(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레일(20)은 레일프레임(18)의 측벽면과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레일프레임(18) 하단부 중앙에는 리브(22)가 상부레일(20)과는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22)의 양측면 하부에는 패널(14)의 끝단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스토퍼(24)가 돌출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리브(22) 하단부 양측에는 패널(14)을 바쳐주는 하부레일(26)이 상부레일(20)과는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일(26) 상부면에는 패널(14)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주는 엠보스(emboss)(28)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조립부재(16) 사이에는 천정벽면을 커버하여 주므로써 외관상 미려함을 창출시키는 패널(14)이 설치되는데, 상기 패널(14)은 상, 하부플레이트(20, 22)가 간격을 두면서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20, 22) 사이에는 격벽(24)이 설치되며,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20, 22) 가장자리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러그프레임(2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러그프레임(26) 외측면에는 상기한 하부레일(2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그루브(28)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스테이(4)(도2참조)를 천정벽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스테이(4) 하부에 러그(8)를 결합하면서 너트(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데, 이때 상기 러그(8)의 높, 낮이는 너트(10)를 풀거나 조이므로 해서 설정된 높이에 러그(8)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러그(8) 높이가 설정되면 헹어프레임(12)에 조립부재(16)의 레일프레임(18)을 결합시킨 후, 상기 헹어프레임(12)의 양단부를 각각 러그(8)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헹어프레임(12)과 조립부재(16)는 건물의 천정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패널(14)(도1참조)을 조립부재(16)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14)의 상부플레이트(20)는 상부레일(2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러그프레임(26)의 그루브(28)는 하부레일(26)을 내부에 내포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러그프레임(26) 일단부가 리브(22)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24)에 도달하면서 내부로의 유입이 중단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그루브(28) 사이는 상, 하부레일(20, 26)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이와 함께 하부플레이트(22)는 하부레일(26)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패널(14)은 하부플레이트(22)가 하부레일(26)상에 형성된 엠보스(28)상에 위치하여 있게 되므로, 건물로부터 진동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미끄럼이 방지되어 상기 패널(14)의 러그프레임(26)은 하부레일(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레일(20) 내면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패널(14) 양단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14)의 양단부를 리브(22)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시켜 둔다.
계속하여 상기 패널(14)을 조립부재(16)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게 되면 천정벽면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면서 전기배선이나 덕트등이 가려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내는 전체적으로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패널(14)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패널(14)을 일측으로 밀면서 리브(22)의 일면에 밀착시키면 러그프레임(26)의그루브(28)가 하부레일(26)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로 인하여 패널(14)의 일부는 조립부재(16)에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일부는 조립부재(16)로부터 분리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분리된 패널(14)측을 하방으로 기울이면서 당기게 되면, 결합된 패널(14)의 러그프레임(26)이 하부레일(26)로부터 분리되어 분해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서 걸이부재(2)(도1참조)의 높, 낮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설치되는 패널(14)의 높, 낮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조립부재(16)에 설치되는 패널(14)이 스크루우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간단한 끼움작업에 의해 조립부재(16)에 설치되게 하므로써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건물의 천정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걸이부재(2)와,
    상기 걸이부재(2)에 양단부를 결합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헹어프레임(12)과,
    상기 헹어프레임(12)에 슬립 결합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립부재(16)와,
    상기 조립부재(16) 사이에 배치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된 러그프레임(26)을 결합하며 설치되는 패널(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6)는 상기 헹어프레임(12)에 슬립 결합되는 레일프레임(18)과, 상기 레일프레임(18) 하단부에 형성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리브(22)와, 상기 리브(22) 하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레일프레임(18)과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레일(26)과, 상기 레일프레임(18) 하단부 양측에 하부레일(26)과는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레일(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26) 상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엠보스(2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2) 측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6)에 결합되는 패널(14)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 하부레일(20, 26) 사이에 결합되면서 일측단부를 스토퍼(24)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프레임(26) 외측면에 그루브(2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는 헹어프레임(12)의 높, 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는 높, 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나사부(6)를 형성하고 있는 스테이(4)와, 상기 스테이(4)의 나사부(6)에 결합되는 러그(8)와, 상기 러그(8)의 내, 외측에 위치하면서 나사부(6)에 체결되는 너트(1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KR2020020006210U 2002-03-04 2002-03-04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KR200278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210U KR200278584Y1 (ko) 2002-03-04 2002-03-04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210U KR200278584Y1 (ko) 2002-03-04 2002-03-04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778A Division KR100460572B1 (ko) 2002-02-28 2002-02-28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584Y1 true KR200278584Y1 (ko) 2002-06-20

Family

ID=7307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210U KR200278584Y1 (ko) 2002-03-04 2002-03-04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5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572B1 (ko)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KR200278584Y1 (ko) 조립식 패널 고정장치
KR200362776Y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JP5103271B2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KR20050118746A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0345761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JPH1193321A (ja) 天井の構造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KR200363245Y1 (ko)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
JP2552233Y2 (ja) 薄型電気設備用線樋
KR20070064961A (ko) 지지파이프 거치대가 구비된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JP3938749B2 (ja) 基礎への大引及び界壁用下ランナの取付け構造
KR0124505Y1 (ko) 케이블 배선용 랙
KR20050056844A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KR100398504B1 (ko) 공기조화기용 고정장치
JP3198129B2 (ja) 外壁構造
KR200352245Y1 (ko) 실내 마감패널 고정구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KR200229397Y1 (ko)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설치 구조
JPH07238696A (ja) 浴室ユニットの壁パネル及び天井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20050107915A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