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457Y1 -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457Y1
KR200278457Y1 KR2020020007255U KR20020007255U KR200278457Y1 KR 200278457 Y1 KR200278457 Y1 KR 200278457Y1 KR 2020020007255 U KR2020020007255 U KR 2020020007255U KR 20020007255 U KR20020007255 U KR 20020007255U KR 200278457 Y1 KR200278457 Y1 KR 200278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present
stone
grass
grave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국희
Original Assignee
한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희 filed Critical 한국희
Priority to KR2020020007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457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있어서 봉분 부분을 흙과 천연잔디가 아닌 인조잔디 등의 다른 재료를 통해 형성하여 벌초나 사초 등의 묘지관리가 실질적으로 요구되지 않도록 구성한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있어서, 상기 묘지의 봉분이, 콘크리트, FRP,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구조체(30; 70); 및 페인트칠을 통해 형성되거나 인조 잔디, 타일, 석판, 고무판, 슁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30; 70)의 외표면상에 그려지거나 부착되는 장식부재(40; 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A GRAVE WITH A MOUND FORMED BY SYNTHETIC GRASS}
본 고안은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분 부분을 흙과 천연잔디가 아닌 인조잔디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하여 벌초나 사초 등의 묘지관리가 실질적으로 요구되지 않도록 구성한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분을 구비한 묘지로서 분묘는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서 무덤을 만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묘지의 한 형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국토 활용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개량형 납골묘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는 우리의 전통적인 분묘 형태와 유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묘와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의 예를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분묘(100)는 흙과 잔디로 이루어진 봉분 부분(120)과 그 주위에 설치된 둘레석(110)으로 이루어진다. 도 1a에 도시된 분묘(100)는 종래의 흙과 천연잔디만으로 구성된 분묘의 주위에 둘레석(110)을 장식한 것으로, 그 둘레석(110)은 분묘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견고함을 더하여 분묘를 비교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물론, 이러한 둘레석(110)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분묘는 흙과 천연잔디만으로 이루어진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200)는 바닥구조체(210), 병풍석(220), 둘레석(230), 석문(240), 이마석(250), 환기석(260), 및 흙과 천연잔디로 이루어진 봉분부분(27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묘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에 있어서, 통상 봉분 부분은 먼저 묘지 또는 납골묘 상단부에 먼저 흙을 봉분 형상으로 쌓은 다음, 그 위에 천연잔디가 깔아 만든다.
따라서, 종래의 분묘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에 있어서 흙과 천연잔디로 형성된 봉분 부분은 천연잔디가 자라기 때문에, 매 시기마다 벌초작업 등의 묘지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종래의 분묘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의 봉분 부분은 비, 바람 등 기후 환경에 따라 비교적 쉽게 훼손되고, 또한 봉분이 훼손되는 경우, 시간과 비용을 들여 다시 복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관리하기 편리한 분묘 또는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묘지의 봉분 부분을 인조잔디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하여 묘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한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분묘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묘지에서 봉분 부분의 장식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묘지에서Ⅰ-Ⅰ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체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a의 묘지에서 구조체 위에 인조잔디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는 도 6의 묘지에서 봉분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6의 묘지에서 봉분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묘지의 봉분 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체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b의 묘지의 봉분 부분에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묘지의 구조체 위에 인조잔디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50 : 묘지 11 : 둘레석
12 : 머리석 13 : 흙
20, 60 : 봉분부분 30, 70 : 구조체
40, 80 : 장식부재 51 : 바닥구조체
52 : 병풍석 53 : 둘레석
54 : 석문 55 : 이마석
56 : 환기석 90 : 캡슐구조물
91 : 벽체 92 : 지붕
93 : 환기통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있어서, 상기 묘지의 봉분 부분은 콘크리트, FRP,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외표면상에 그려지거나 부착되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페인트칠을 통해 형성되거나, 인조 잔디, 타일, 석판, 고무판, 연철조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묘지는 둘레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묘지는 기초가 되는 바닥구조체와, 상기 바닥구조체의 주면상에 설치되어 유골함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한쪽에 출입구를 갖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함께 설치된 지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캡슐구조물과, 병풍석, 및 둘레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납골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이하 '본 고안의 분묘'라 한다)는 흙더미 위에 천연잔디(40)가 덮힌 봉분 부분(20)과 복수개의 둘레석(11)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분묘가 둘레석(11)을 포함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은 종래의 흙과 천연잔디만으로 이루어진 분묘의 봉분 부분을 본 고안의 구성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봉분 부분(20)의 하단부는 적절하게 소정의 바닥구조체나땅속에 박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도 2의 본 고안의 분묘에서 봉분 부분의 장식부재 즉, 천연잔디(40)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봉분 부분에는 반구 형상과 같은 기초형상을 이루는 구조체(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체(30)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콘크리트나 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진다.
도 3b는 도 3a의 묘지에서 Ⅰ-Ⅰ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분묘(10)의 봉분 부분의 안쪽에는 종래의 분묘와 유사하게 흙(13)이 채워진다. 그리고, 구조체(30)가 석재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둘레석(11)과 머리석(12) 사이에 설치되어 견고한 반구 형상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체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묘(10)의 봉분 부분(20)은 예를 들어 8개의 조각이 붙여지거나 맞추어져 반구 형상을 이루는 구조체 조각(31)을 포함한다. 구조체 조각(31)은 서로 인접하게 결합되어 반구 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부(31a)가 머리석(12)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31b)가 소정의 기초나 대지 또는 둘레석(11)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3a의 본 고안의 분묘(10)의 구조체(30) 위에 인조잔디(40)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묘(10)는 인조잔디(40)와 인조잔디(40)에 의해 가리워져 외부에 보이지 않는 구조체(30)로 이루어진 봉분 부분(2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5는 조립된 구조체(30)의 경계면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1은 둘레석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2는 머리석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분묘에서는 콘크리트나 FRP 또는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된 구조체 표면에 인조잔디를 접착하여 기존의 천연잔디와 유사한 모양을 형성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봉분 부분의 구조체 표면에 천연 잔디 형상의 페인팅을 하거나 축구공과 같은 소정의 모양으로 페인팅을 할 수 있다. 또한, 타일, 석판, 고무판, 슁글(shingle)을 접착하여 무늬를 만들어 묘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묘(10)는 구조체(30)와 장식부재(40)를 통해 봉분 부분(20)을 형성함으로써 전통적인 분묘의 형상을 갖으면서 천연 잔디와 유사하게 주위의 자연 환경에 잘 어울리며, 특히 유지보수 관리가 매우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캡슐형 납골묘의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캡슐형 납골묘는 다수개의 유골함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철근콘크리트나 강화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어 봉분 부분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분묘형 납골묘를 말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봉분을 구비한 묘지(이하 "본 고안의 납골묘"라고 한다)는 바닥구조체(51), 병풍석(52), 둘레석(53), 석문(54), 이마석(55), 환기석(56), 캡슐구조물(도 7a의 90 참조), 및 구조체(도 9의 70 참조)와 장식부재(80)로 이루어진 봉분 부분(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철근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만들어져 납골묘의 기초가 되는 바닥구조체(51)를 포함한다. 바닥구조체(51)는 통상 땅이나 잔디에 의해 그 측면이 덮여져 외부에 보이지 않는다.
병풍석(52)과 둘레석(53) 및 석문(54)은 통상 대리석 등의 석재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바닥구조체(51) 위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부분적으로 분묘형 납골묘의 하단부를 형성한다. 또한, 석문(54)은 내부에 유골함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캡슐구조물(도 7a의 90 참조)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석문(54) 위에는 소정 형상의 이마석(55)이 놓여질 수 있다. 또, 봉분 부분(60)의 대략 상단 중심부에는 환기석(56)이 환기통(도 7a의 93 참조) 위에 놓여진다.
봉분 부분(60)은 대략 반구 형상의 구조체(70)와 이 구조체(70)의 외표면에 부착된 장식부재(8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구조체(70)는 실질적으로 장식부재(8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또한 참조부호 75는 구조체(70)를 이루는 조각들의 경계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체(70)는 콘크리트 또는 강화플라스틱(FR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조체(70)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 등을 이용한 또다른 견고한 구조물용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재(80)는 접착제 등의 소정의 접착수단을 통해 구조체(70)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인조잔디로 이루어진다. 인조잔디(80)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인접한 다른 인조잔디(80)에 접하여 부착된다.
또한, 장식부재(80)의 재료로는 인조 잔디 이외에 타일, 석판조각, 고무판, 슁글(shingle) 등의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장식부재(80)로서 타일이나석판조각 또는 고무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잔디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이나 전문적인 잔디 무늬 페인팅에 의해 장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구조체(70)와 장식부재(80)를 이용하여 봉분 부분(60)을 형성함으로써, 전통적인 분묘의 형상을 가지면서 천연 잔디와 유사하게 주위의 자연 환경에 잘 어울리며, 특히 묘지의 유지보수 관리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본 고안의 납골묘(50)에서 봉분 부분(60)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봉분 부분(60)의 안쪽에 캡슐구조물(90)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구조물(90)은 기초바닥체(51) 위에 벽체(91)와 지붕(92)을 갖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붕(92)의 상부에는 환기통(93)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구성의 캡슐형 납골묘의 경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납골묘(50)의 봉분 부분(60)에 설치되는 구조체(70)의 일례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조체(70)는 콘크리트나 강화플라스틱(FRP)으로 형성된 구조체 조각들(71, 7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체 조각(71, 72)은 서로 인접하게 고정 설치되어 반구 형상을 형성한다. 이때 구조체 조각(71)은 본 고안의 납골묘(50)에 있어서, 병풍석(52)과 석문(54)측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단된다.
구조체 조각(71, 72)은 봉분 부분(60)의 반구 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부(71a, 72a)가 환기통(93)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부(71b, 72b)가 병풍석(52)과 둘레석(53)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도 7b의 본 고안의 납골묘(50)의 봉분 부분(60)에 구조체(7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본 고안의 납골묘(50)의 구조체(70) 위에 인조잔디(8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70)는 본 고안의 납골묘(50)의 봉분 부분(60)에 먼저 반구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때, 구조체(70)의 안쪽에는 흙이나 모래가 채워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80)로서의 인조잔디를 구조체(70)의 외표면상에 부착하여 본 고안의 납골묘(50)을 완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납골묘의 시공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봉분 부분(60)을 제외한 부분이 일반적인 다른 분묘형 납골묘의 구성과 유사하게 먼저 시공된다.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묘나 문중묘, 또는 단체묘 등으로 사용되는 봉분을 구비한 캡슐형 납골묘에서 봉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먼저 시공된다. 캡슐구조물(90)은 기초가 되는 바닥구조체(51)의 주면상에 설치되어 유골함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일측면에 출입구를 갖는 벽체(91) 및 상기 벽체(91)의 상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함께 설치된 지붕(9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슐구조물(90)은 철근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구조체(70)가 봉분 부분(60)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도 7b와 같은납골묘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체(70)는 FRP에 의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7a의 캡슐구조물(40)의 출입구 또는 석문(54)을 막지 않도록 그 측면의 일부분이 적절하게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도 8 참조).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로서의 인조잔디(80)가 접착제에 의해 구조체(70)의 외표면상에 부착된다. 이때 인조잔디(80)는 사전에 소정 크기로 미리 제작되고 봉분 부분의 크기에 맞게 복수개가 적절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50)는 봉분 부분(60)이 FRP와 인조잔디 등의 구조체(70)와 장식부재(80)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 시공 후의 모습이 종래의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천연잔디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묘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봉분을 구비한 납골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분묘나 납골묘의 봉분 부분을 콘크리트나 FRP 또는 플라스틱 재료 등의 구조체와, 인조잔디, 페인트칠, 타일, 석판, 고무판, 슁글 등의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벌초나 사초 작업이 거의 요구되지 않으며, 묘지의 유지보수에 대한 관리가 매우 용이한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통적인 분묘와 유사한 형태의 봉분 부분을 구비하면서 묘지 주위의 자연 환경과 잘 어울리고 묘지의 자연적인 훼손이 매우 적으며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봉분을 구비한 묘지에 있어서,
    상기 묘지의 봉분은 콘크리트, FRP,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구조체(30; 70); 및 상기 구조체(30; 70)의 외표면상에 그려지거나 부착되는 장식부재(40; 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40; 80)는 페인트칠을 통해 형성되거나, 인조 잔디, 타일, 석판, 고무판, 슁글(shingl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묘지는 둘레석(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묘(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묘지는 기초가 되는 바닥구조체(51); 상기 바닥구조체(51)의 주면상에 설치되어 유골함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한쪽에 출입구를 갖는 벽체(91)와 상기 벽체(91)의 상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함께 설치된 지붕(9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캡슐구조물(90); 병풍석(52); 및 둘레석(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납골묘(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을 구비한 묘지.
KR2020020007255U 2002-03-12 2002-03-12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KR200278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55U KR200278457Y1 (ko) 2002-03-12 2002-03-12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55U KR200278457Y1 (ko) 2002-03-12 2002-03-12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457Y1 true KR200278457Y1 (ko) 2002-06-14

Family

ID=7305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55U KR200278457Y1 (ko) 2002-03-12 2002-03-12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4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0B1 (ko) 2011-11-22 2012-06-22 변중길 식생매트를 이용한 묘지의 녹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0B1 (ko) 2011-11-22 2012-06-22 변중길 식생매트를 이용한 묘지의 녹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92896T5 (es) Elemento para terreno de tenis sintetico y procedimiento para su realizacion.
US6076292A (en)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KR200278457Y1 (ko) 인조잔디 처리 봉분을 구비한 묘지
KR100188248B1 (ko) 식물 식재용 상자
KR20130085605A (ko) 봉분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묘
US3722155A (en) Cemetery covered by an artificial turf material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200416814Y1 (ko) 모자이크 블록세트
JP3063611U (ja)
JP7333131B1 (ja) 石材墓
JPH09170221A (ja) 緑化ブロック
ES2238900B1 (es) Dispositivo perfeccionado para la proteccion de alcorques.
KR200189881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KR200408604Y1 (ko) 봉분식 납골묘
KR100425011B1 (ko) 가족 납골묘
US1919530A (en) Memorial marker
KR200267695Y1 (ko) 조립식 납골탑
TR2022010854U5 (tr) Prati̇k mezar çi̇mi̇
US2007022708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vering a grave site
CN114412271A (zh) 一种用于旧墓改造和构建集成式塔墓的砌块组及所建塔墓
KR200281416Y1 (ko) 봉분형 납골묘
KR20050119720A (ko) 폐연탄재를 이용한 공동묘지의 친환경적 납골당의 시공법및 그 구조
EP2372048A2 (en) Plastic-walled grave monument
KR200244912Y1 (ko) 봉분식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