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260Y1 -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260Y1
KR200278260Y1 KR2020020009498U KR20020009498U KR200278260Y1 KR 200278260 Y1 KR200278260 Y1 KR 200278260Y1 KR 2020020009498 U KR2020020009498 U KR 2020020009498U KR 20020009498 U KR20020009498 U KR 20020009498U KR 200278260 Y1 KR200278260 Y1 KR 20027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orage tank
oil storage
tube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규
Original Assignee
양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종규 filed Critical 양종규
Priority to KR2020020009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60Y1/ko

Links

Landscapes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류 저장소의 지면에 매설되어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류 저장탱크가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크랙 등으로 인해 유류 저장탱크내의 유류가 누설됨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내에 감지층(5)과 통하여지는 누유검출관(6)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누유검출관과 감지층은 통공(20)에 의해 통하여지도록 구성된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유검출관(6)상에 설치되어 접점(8)이 온, 오프됨에 따라 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9)과, 상기 검출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유의 검출 여부를 검출수단이 검출함에 따라 이를 외부에 나타내는 인디게이터(13)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OIL LEAK DETECTOR OF OIL STORAGE TANK}
본 고안은 유류 저장소의 지면에 매설되어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류 저장탱크가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크랙 등으로 인해 유류 저장탱크내의 유류가 누설됨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류 저장탱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체(1)의 외주면에 방청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청층의 외측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필름(3)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최외측으로는 소정의 두께(약 3.1mm 정도)를 갖도록 FRP(4)가 코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3)과 FRP(4)사이에 FRP의 수축에 따른 감지층(5)이 형성되는데, 상기 감지층에는 본체(1)내에 저장된 유류가 누유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누유검출관(6)이 본체(1)의 상부로 노출되어 입구가 별도의 캡(7)으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유류 저장탱크의 크랙(creak) 등으로 인해 누유가 발생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누유검출관(6)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던 캡(7)을 분리한 다음 별도의 체크봉(도시는 생략함)을 누유검출관내에 직접 삽입하여 꺼낸 후 체크봉상에 뭍어 있는 유류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누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관리인이 수시로 체크봉을 누유검출관내에 삽입하여 누유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였기 때문에 신속한 누유를 확인할 수 없어 누유가 발생된 상태를 방치할 경우 수질 또는 토양오염은 물론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부주의로 누유 확인을 위해 개방하였던 캡을 닫고 방치할 경우에는 누유검출관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므로 인해 누유 감지역할을 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누유검출관내에 누유가 발생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내장하여 누유가 발생됨에 따라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므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내에 감지층과 통하여지는 누유검출관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누유검출관과 감지층은 통공에 의해 통하여지도록 구성된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유검출관상에 설치되어 접점이 온, 오프됨에 따라 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유의 검출 여부를 검출수단이 검출함에 따라 이를 외부에 나타내는 인디게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유류 저장탱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누유검출관상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고안에 적용된 플로터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5 : 감지층
6 : 누유검출관 8 : 접점
9 : 검출수단 10 : 가이드관
11 : 영구자석 12 : 플로터
13 : 인디게이터 14 : 전원선
16 : 알림수단 20 : 통공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누유검출관상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고안에 적용된 플로터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본체(1)에 용접 고정된 누유검출관(6)내에 접점(8)이 온, 오프됨에 따라 누유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검출수단은 누유검출관(6)의 캡(7)에 고정되어 누유검출관(6)내에 수용되는 가이드관(10)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까지 연장되게 설치된 접점(8)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접접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영구자석(11)이 내장된 플로터(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수단(9)의 접점(8)은 누유의 검출 여부를 외부에 나타내는 인디게이터(13)와 전원선(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13)에는 지하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유류 저장탱크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램프(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의 일측에는 상기 인디게이터에 의해 누유가 검출됨에 따라 이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수단(16)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알림수단의 일측으로는 인디게이터(1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17)과 누유의 발생으로 알림수단이 구동함에 따라 이를 조치하고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리셋버튼(18)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알림수단(16)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저를 적용하였고 그 하부에는 부저의 구동을 중단하는 스톱버튼(19)이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유류 저장탱크에 설치된 누유검출관(6)내에 캡(7)에 연결된 검출수단(9)을 각각 설치한 다음 각 검출수단과 연결된 전원선(14)을 인디게이터(13)에 연결한 후 인디게이터의 전원버튼(17)을 누르면 전원선(14)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전원선(14)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플로터(12)가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으면 2개의 접점(8)이 상호 떨어져 있게 되므로 인디게이터(13)의 램프(15)가 꺼진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알림수단(16)인 부저도 울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유류 저장탱크상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코팅층인 FRP(4)가 훼손되어 감지층(5)상에 유류 또는 물이 차이게 되면 유류 또는 물이 통공(20)을 통해 누유검출관(6)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검출수단(9)의 플로터(12)가 부력에 의해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사점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로터(12)가 부력에 의해 상사점까지 상승하면 상기 플로터의 내부에 영구자석(11)이 매설되어 있어 상호 떨어져 있던 접점(8)을 온(On)시키게 되므로 해당 유류 저장탱크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13)의 램프(15)가 점등됨과 동시에 알림수단(16)인 부저가 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어느 유류 저장탱크내에서 누유가 발생되고 있는지를인디게이터(13)를 확인함에 따라 한 눈에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유류 저장탱크의 누유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나면 스톱버튼(19)을 눌러 알림수단(16)인 부저의 울림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누유가 발생된 유류 저장탱크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리셋버튼(18)을 눌러주면 인디게이터(13)가 초기상태로 환원된다.
그러나 만약 누유가 발생된 유류 저장탱크를 조치하지 않고 리셋버튼(18)을 눌러주면 누유가 발생된 유류 저장탱크에 해당하는 램프(15)가 다시 점등됨과 동시에 부저가 울리게 되므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한 다음 리셋버튼(18)을 눌러야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유류 저장탱크의 감지층(5)과 통하여지게 설치된 누유검출관(6)내에 검출수단(9)을 내장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외부에 설치된 인디게이터(13)에 전원선(14)으로 연결하여 여러개 매설되는 유류 저장탱크의 누유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게 되므로 크랙 등으로 인한 누유 발생으로 환경이 오염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관리자가 일일이 누유검출관(6)을 폐쇄하는 캡(7)을 개방한 다음 체크봉으로 누유 여부를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인건비를 절감하게 됨은 물론 부주의로 캡을 개방한 상태에서 방치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3)

  1. 본체내에 감지층과 통하여지는 누유검출관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누유검출관과 감지층은 통공에 의해 통하여지도록 구성된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유검출관상에 설치되어 접점이 온, 오프됨에 따라 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누유의 검출 여부를 검출수단이 검출함에 따라 이를 외부에 나타내는 인디게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누유검출관의 캡에 고정되어 누유검출관내에 수용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까지 연장되게 설치된 접점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접접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영구자석이 내장된 플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게이터내에 누유가 검출됨에 따라 이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KR2020020009498U 2002-03-29 2002-03-29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KR20027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98U KR200278260Y1 (ko) 2002-03-29 2002-03-29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98U KR200278260Y1 (ko) 2002-03-29 2002-03-29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60Y1 true KR200278260Y1 (ko) 2002-06-20

Family

ID=7307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98U KR200278260Y1 (ko) 2002-03-29 2002-03-29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38A (ko) * 2017-08-31 2019-03-08 구정환 누설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내용물 저장 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38A (ko) * 2017-08-31 2019-03-08 구정환 누설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내용물 저장 탱크
KR102018428B1 (ko) * 2017-08-31 2019-11-04 구정환 누설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내용물 저장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0874A (ja) 二重カーカスフレキシブルホース
US8209791B2 (en) Toilet leak alert
FR2594225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s dans des tuyaux souples
US5595456A (en) Water-tight riser for underground storage tank manway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CN207226167U (zh) 一种sf双层罐
KR200278260Y1 (ko)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누설감지장치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US4305068A (en) Detector system
JP4037838B2 (ja) 漏油警報機能付きタンク更生方法及び漏油警報機能付き更生タンク
JP2520906Y2 (ja) 検知・警報システム内蔵マンホール装置
JP2010265994A (ja) 流体搬送用ホース
CN2447473Y (zh) 具有构成夹层内外壁的玻璃钢地下油罐
AU2016100193A4 (en) Double pipe structure
CN113639207B (zh) 一种便于检测的地埋式保温管道及其检测方法
JP4076338B2 (ja) 流体移送用ホース
KR200256502Y1 (ko) 위험물 저장탱크의 누설 감지장치
JP3019252B2 (ja) ガソリンスタンド地下タンク用漏洩検知装置
JP2010002045A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器
KR200269552Y1 (ko) 누설감지형 이중 유류탱크
KR100420529B1 (ko) 위험물 저장탱크의 누설 감지장치
KR200354097Y1 (ko) 이중벽구조를 갖는 유류저장탱크
CN216435157U (zh) 一种设置有检测装置的井盖
CN214738326U (zh) 一种固废填埋场地勘测装置
JPH01367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