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688Y1 - 전동식 이발 기구 - Google Patents

전동식 이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688Y1
KR200277688Y1 KR2020020006795U KR20020006795U KR200277688Y1 KR 200277688 Y1 KR200277688 Y1 KR 200277688Y1 KR 2020020006795 U KR2020020006795 U KR 2020020006795U KR 20020006795 U KR20020006795 U KR 20020006795U KR 200277688 Y1 KR200277688 Y1 KR 200277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moving
fixed
cutting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202002000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688Y1/ko

Links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기구의 손잡이 부분을 동일 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발하는 부위에 관계없이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이발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도록 된 손잡이부 및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의 절단날의 이동방향과 상기 손잡이부는 동일 직선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이발 기구{Electronic hair cutter}
본 고안은 전동식 이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기구의 손잡이 부분을 동일 직선상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발하는 부위에 관계없이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이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이발 기구란, 모터 등의 회전에 의해 보통 2개의 날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동하도록 하여 두발을 절단하도록 하는 기구를 말하는데, 가위나 수동식 이발 기구에 비해 이발 시간의 단축이라는 점 이외에도 사용시의 편리함 때문에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이발 기구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식 이발 기구는 크게 손잡이부(50)와 절단부(60)로 구성되며, 이들은 절단부(60)의 절단날의 이동방향과 손잡이부(50)는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0) 내부에는 전원부, 모터, 기어 등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60)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50) 내부의 모터 및 기어와 맞물려 이동하는 절단날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기어 및 연결부의 구동에 의해 절단부(60)의 절단날(보통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날로 구성됨)이 이동하면서 두발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전동식 이발 기구는 손잡이부(50)와 절단부(60)의 절단날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성되므로, 이발하고자 하는 두발의 부위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 및 팔 전체에 무리를 주게 된다. 예컨대, 귀 근처 등과 같은 두부의 측면부에서는 손잡이부(50)를 감아 쥐는 손 및 손목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팔 근육 전체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발 기구를 장시간 사용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위에서의 손, 손목 및 팔 전체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이발의 질적인 면에서도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이발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못하게 되거나 3-4번 반복해서 모양을 다듬어야 하기 때문에 이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신경을 집중해서 이발해야 하므로 작업상의 피로도가 매우 가중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두부의 특정 부위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잡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 손목 및 팔에 무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이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식 이발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기구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기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손잡이부, 11...모터,
12...구동 기어, 13...베벨 기어,
14...캠, 15...커넥팅 로드,
16...피봇, 17...지지 수단,
21...고정 절단날, 22...이동 절단날,
23...고정수단, 24...凹부,
25...凸부, 26...코일 스프링,
27...빗, 100...전동식 이발 기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도록 된 손잡이부; 및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의 절단날의 이동방향과 상기 손잡이부는 동일 직선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하는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의 상면에 형성되어 편심 회전 운동하는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절단날과, 상기 커넥팅 로드와 피봇에 의해 연결되어 피봇의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두발을 절단하는 이동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에는 상기 이동 절단날의 도면을 관통하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고정 수단이 상기 이동 절단날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전동식 이발 기구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절단날과 이동 절단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에는 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절단날의 이면에는 상기 凹부와 맞물리도록 凸부가 형성되는 전동식 이발 기구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의 상면에 빗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고정 절단날에 고정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빗과 고정 수단을 동시에 고정한 전동식 이발 기구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의 상기 피봇의 상하부에는, 상기 이동 절단날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 수단이 돌출 형성된 전동식 이발 기구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절단날의 凹부의 표면과 상기 이동절단날 사이의 공간에,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전동식 이발 기구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기구(100)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사시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동식 이발기구(100)는,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도록 된 손잡이부(10)와,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날(21,22)이 구비된 절단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20)의 절단날(21,22)의 이동방향과 상기 손잡이부는 동일 직선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 기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이발 기구와 비교해 보면, 종래의 전동식 이발 기구에 있어서는 절단부의 절단날의 이동방향과 손잡이부가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되는 반면,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이발 기구(100)는 절단부(20)의 절단날(21,22)이 모터에 의해 구동될 때 그 이동 방향과 손잡이부(10)가 동일 직선 상에서 평행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에는 배터리 등의 전원과 연결된 모터(11)와, 상기 모터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동 기어(12)와, 상기 구동 기어(12)와 기어 결합하는 베벨 기어(13)와, 상기 베벨 기어(13)의 상면에 형성되는 캠(14)과, 상기 캠(14)과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5)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팅 로드(15)는 후술하는절단부(20)의 이동 절단날(22)과 피봇(16)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에는 모터(11) 및 상기 모터(1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절단날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구동 기어(12), 베벨 기어(13), 캠(14), 커넥팅 로드(15) 및 피봇(16)-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단부(20)는 절단날(21,22)을 구비하는 데, 상기 부호 21은 손잡이부(10)에 고정되는 고정 절단날을 나타내며 상기 부호 22는 피봇(16)에 의해 커넥팅 로드(15)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루 왕복 이동하며 두발을 절단하는 이동 절단날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 절단날(21)은 상기 손잡이부(10)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두발을 쉽게 절단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 절단날(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5)와 피봇(16)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1), 구동 기어(12), 베벨 기어(13), 캠(14) 및 커넥팅 로드(15)를 통해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한 힘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두발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고정 절단날(21)과 이동 절단날(22)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발과 접촉하여 두발을 절단하는 하단 부분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이들 톱니는 두발 절단이 보다 용이하도록 서로 약간 어긋나게 형성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는 본 고안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동 절단날(22)의 상부에는 이동 절단날(22)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동 절단날(22)의 절반 정도를 덮도록 형성하고, 예컨대 판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수단(23)은 나사 등에 의해 상기 고정 절단날(22)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 절단날(21)과 이동 절단날(22)이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도 2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절단날(21)의 표면에는 凹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 절단날(22)의 이면에는 凸부(25)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서, 이동 절단날(22)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경우, 이동 절단날(22)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차단함과 동시에 좌우 방향의 원활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凹부(24)와 凸부(25)가 꼭 들어맞지는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꼭 맞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2의 전동식 이발 기구(100)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보면,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 절단날(21)에 凹부(24)와 이동 절단날(22) 사이의 공간에 코일 스프링을 삽입함으로써 이동 절단날(22)이 좌우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하 방향 특히 하방쪽으로의 흔들림을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고정 수단(23)에 의해 눌리는 힘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 도면을 관통하는 상하방향의 흔들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 및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지지 수단(17)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지지 수단(17)은 이동 절단날(22)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절단날(21)이 손잡이부(10)와 체결되는 부분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凹부(24) 및 凸부(25)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들과 함께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凹부(24) 및 凸부(25)는 절단부(20)측에서, 그리고 상기 지지 수단(17)은 손잡이부(10)측에서 각각 이동 절단날(22)의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차단하게 된다. 이들 양자를 함께 형성한다면 이동 절단날(22)의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보다 확실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5의 실시예와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절단부(20)에 빗(2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두발을 절단하면서 빗(27)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절단과 동시에 두발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다. 상기 빗(27)은 고정 수단(23)의 상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 수단(23)을 고정 절단날(21)에 체결하는 나사로 함께 체결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두부의 특정 부위에 상관 없이 자연스럽게 잡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 손목 및 팔에 무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이발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전동식 이발 기구에 있어서,
    작업시 작업자가 손으로 잡도록 된 손잡이부; 및
    두발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의 절단날의 이동방향과 상기 손잡이부는 동일 직선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하는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의 상면에 형성되어 편심 회전 운동하는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절단날과, 상기 커넥팅 로드와 피봇에 의해 연결되어 피봇의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두발을 절단하는 이동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에는 상기 이동 절단날의 도면을 관통하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고정 수단이 상기 이동 절단날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절단날과 이동 절단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에는 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절단날의 이면에는 상기 凹부와 맞물리도록 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의 상면에 빗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고정 절단날에 고정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빗과 고정 수단을 동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절단날의 표면의 상기 피봇의 상하부에는, 상기 이동 절단날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 수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절단날의 凹부의 표면과 상기 이동절단날 사이의 공간에,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발 기구.
KR2020020006795U 2002-03-08 2002-03-08 전동식 이발 기구 KR200277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95U KR200277688Y1 (ko) 2002-03-08 2002-03-08 전동식 이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95U KR200277688Y1 (ko) 2002-03-08 2002-03-08 전동식 이발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331A Division KR20030072998A (ko) 2002-03-08 2002-03-08 전동식 이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688Y1 true KR200277688Y1 (ko) 2002-06-07

Family

ID=7311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795U KR200277688Y1 (ko) 2002-03-08 2002-03-08 전동식 이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6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229A (ko) * 2020-07-10 2022-01-18 박성진 헤어 커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229A (ko) * 2020-07-10 2022-01-18 박성진 헤어 커트기
KR102504583B1 (ko) * 2020-07-10 2023-03-02 박성진 헤어 커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0208B2 (en) Attachment for hair clippers
JP3017508B2 (ja) ヘアカッター
EP1935586B1 (en) Hair Clipper
JP4869925B2 (ja) 電気毛切断装置
US7281461B2 (en) Hair trimmer for use in self-cutting or on others
JP4337634B2 (ja) 往復直線運動を行う被駆動部材を備えたヘッド部が本体部に対して揺動可能な電動器具
US20210291390A1 (en) Hair clipper with blade angle adjustment
EP1366869A1 (en) An electric shaver
JP2019531126A (ja) 複数のアタッチメントを受容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電気駆動装置
JPH0686415U (ja) 手持ち式作業機
US20060075640A1 (en) Hair clippers
US6789322B2 (en) Electric shaver
KR200277688Y1 (ko) 전동식 이발 기구
JP2011200602A (ja) 電気かみそり
JP3762973B2 (ja) 手持ち式動力切断具
KR20030072998A (ko) 전동식 이발 기구
US3290774A (en) Electric shaver with trimmer
JP5879531B2 (ja) 電気かみそり
JPS63158093A (ja) ヘアカツタ−
JPH04220285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002273072A (ja) 電気かみそり
JPH0243336Y2 (ko)
JP2957752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20210126994A (ko) 커팅날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전기 이발장치
JPS594147B2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