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83B1 - 헤어 커트기 - Google Patents

헤어 커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83B1
KR102504583B1 KR1020200085156A KR20200085156A KR102504583B1 KR 102504583 B1 KR102504583 B1 KR 102504583B1 KR 1020200085156 A KR1020200085156 A KR 1020200085156A KR 20200085156 A KR20200085156 A KR 20200085156A KR 102504583 B1 KR102504583 B1 KR 10250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utting blade
suction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229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20008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5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specially adapted for shearing animals, e.g. sh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46Blades;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4Suction means for collecting severed hairs or for the skin to be shav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커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높이와 폭과 길이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에 이어져 형성된 흡입장치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이 상기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이어지고 상기 헤드부의 측부로부터 소정 폭 돌출된 하부의 고정날부와 상부의 커팅날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팅날부의 상부이고 상기 헤드부의 측부에 상기 커팅날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모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모통기부로부터 상기 흡입장치연결부까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모통기부가 흡입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흡입장치연결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관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헤어 커트기{Hair cutting devices}
본 발명은 헤어 커트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사람 머리카락 또는 애완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커트할 수 있는 커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빗과 같이 커트날이 측면에 설치된 커트기에 있어서,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 등이 커팅과 동시에 커트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배출되고, 머리카락 또는 털의 커팅 구동과 동시에 공기를 기기 내부로 빨아들이므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측으로 세워져 원하는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고, 혼자서도 헤어 커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커트날이 기기의 측부에 형성된 빗형 구조를 갖는 커팅된 헤어 또는 털의 흡입구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헤어 커트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머리카락 또는 애완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커트할 수 있는 전동식 커트기가 많이 개발되어 왔고, 또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헤어커트기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되어 있고,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핸들형의 전단부에 커트날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 커트기는 제3자가 타인의 머리카락을 커트할 때에는 유용하나, 스스로가 머리카락을 커트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형태로 커트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전동 커트기를 애완동물의 털을 커트하는데 사용하기에는 애완동물의 몸체 구조에 맞지 않아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04063호(공개일: 2009년01월12일)의 전동식 헤어커터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발명은, 빗살형의 고정날을 가지며, 모터에 의해 상기 고정날의 한 면에 접하여 왕복동하는 가동날을 이용해 모발을 절단하는 전동식 헤어 커터로서, 상기 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 길이방향을 따라 병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날들의 모발 절단을 위한 구동공간을 제시하는 날 보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사판; 및 상기 가동날의 내측 변에서 홈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판의 주연과 접속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판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날의 왕복진동으로 변환하여 모발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어 커터의 구성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커트날이 커트기의 측부에 형성되어 스스로 머리카락을 커트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원반형이고 소정 각도가 기울어진 사판을 가동날의 후단에 형성된 홈(슈)에 삽입되어 상기 사판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가동날을 기울어진 사판의 각도에 따른 유격만큼 전후로 유동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므로, 상기 사판과 상기 가동날의 홈에서의 유동으로 소임이 크게 발생하고, 상기 사판의 마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들이 그대로 바닥에 떨어지거나 비산되어 주변 환경이 어지럽혀지고, 커트날이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들이 커트기의 가동날 상부를 덮게 되어 커팅되는 머리의 디자인형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53690호(등록일: 2019년12월03일)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흡입기가 구비되는 헤어클리퍼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머리카락을 커트하기 위한 헤어 클리퍼에 커트된 머리카락을 진공흡입하기 위한 진공흡입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커트와 동시에 커트된 머리카락을 진공 흡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이, 미용실에서 사용 시 커트된 머리카락이 고객의 얼굴, 등, 목, 귀 등 신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객의 의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미용실 및 동물병원 미용실에서 사용 시 비산되는 머리카락 또는 반려동물의 털이 이, 미용실 및 동물병원 미용실의 바닥에 산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흡입기가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각기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헤어 클리퍼를 사용하여 머리카락의 커트 시 커트되어 비산되는 머리카락의 비산 방향에 관계없이 진공 흡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진공흡입기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어 커트되는 머리카락의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흡입기가 구비되는 헤어 클리퍼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전단부에 커트날이 형성된 일반적인 전동식 커트기의 상부에 별도의 흡입기를 탈착시키는 구조의 발명으로써, 커트기와 흡입기가 별도의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소지나 보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사용시에 커트기에 흡입기를 부착하는 작업과 사용 후에 흡입기를 커트기에서 해제시키는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사람의 머리카락 또는 애완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커트할 수 있는 측부에 커트날이 형성된 빗형의 커트기와 상기 커트날의 구동에 소음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구조 및 커트와 동시에 머리카락 또는 털이 커트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흡입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머리카락 또는 털의 커팅 구동과 동시에 공기를 기기 내부로 빨아들이므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측으로 세워져 원하는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는 헤어 커트기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04063호(공개일: 2009년01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53690호(등록일: 2019년12월03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머리카락 또는 애완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커트할 수 있는 측부에 커트날이 형성된 빗형의 커트기로써 상기 커트날의 구동에 소음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구조 및 커트와 동시에 머리카락 또는 털이 커트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흡입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머리카락 또는 털의 커팅 구동과 동시에 공기를 기기 내부로 빨아들이므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측으로 세워져 원하는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는 헤어 커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방의 하부에서 상기 길이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빗살형상의 고정날부와; 상기 고정날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부에 대응하는 또는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고정날부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날부에 대해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게 설치된 빗살형상의 커팅날부와; 상기 커팅날부의 상부이고 상기 헤드부의 전방부에 상기 커팅날부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고 통공으로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흡모통기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 이어져 형성된 소정의 길이와 높이와 폭을 갖는 연결목부와; 상기 연결목부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 및 폭과 길이를 갖고 내부에 모터들이 설치되는 동력설치부와; 상기 동력설치부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 및 폭과 길이를 갖고 내부에 기판 등의 전자회로가 설치되고 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제어소재설치부와; 상기 제어소재설치부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내부에 건전지 또는 축전지 등의 전원공급원이 실장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에서 이어져 형성되고 빨아들이는 공기의 양 또는 속도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조절부재가 설치된 공기조절부와 상기 공기조절부의 후단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진공흡입장치 등과 연결하기 위한 흡입장치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연결목부, 동력설치부, 제어소재설치부, 손잡이부, 공기조절부 및 흡입장치연결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싱 형상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형상의 내부에는 상기 흡모통기부로부터 상기 흡입장치연결부까지 이어진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관로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트기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헤어 커트기의 구조를 빗형 구조로 측부에 커트날을 위치시키는 구조로 사람의 머리카락을 혼자서도 자유롭게 커트하여 원하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커트날의 구동을 커트날과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매커니즘을 단순한 로드와 유니버셜조인트와 가튼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작동시에 커트날 부위의 소음이 최소화되고 소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커탕과 동시에 커트기 내부로 머리카락과 털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모구조를 커트기의 내부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작업시에 주변환경이 깨끗하고 콤팩트한 흡모 일체형 빗형 커트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헤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동력설치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동력설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공기조절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커트날 구동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동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커트날 구동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동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에서 설명이 없거나 또는 설명을 생략한 부분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들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당연히 예측할 수 있는 부분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케이싱의 이음부분 또는 당연히 필요한 개폐부분 등에 관한 설명들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서 제시한 구조들은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인체공학적 또는 공기(유체) 역학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의 하부에서 상기 길이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빗살형상의 고정날부(150)와;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접촉하여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부에 대응하는 또는 짧은 폭을 갖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돌출 폭보다 짧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날부(150)에 대해서 좌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빗살형상의 커팅날부(160)와; 상기 커팅날부(160)의 상부이고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부에 상기 커팅날부(160)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통공으로 상기 헤드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흡모통기부(130)와;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부에 이어져 형성된 소정의 길이와 높이와 폭을 갖는 연결목부(200)와; 상기 연결목부(200)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 및 폭과 길이를 갖고 내부에 모터들이 설치되는 동력설치부(300)와; 상기 동력설치부(300)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 및 폭과 길이를 갖고 내부에 기판 등의 전자회로와 외부에 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제어소재설치부(400)와; 상기 제어소재설치부(400)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내부에 건전지 또는 축전지 등의 전원공급소재가 설치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손잡이부(500)의 후단에서 이어져 형성되고 빨아들이는 공기의 양 또는 속도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조절부재가 설치된 공기조절부(600)와 상기 공기조절부(600)의 후단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진공흡입장치 등과 연결하기 위한 흡입장치연결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헤드부(100)는 기본적으로 개폐가 불가능한 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날부(150)와 커팅날부(160)는 상기 헤드부(100)의 측부에서 삽입하여 착탈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혜드부(100)는 예를 들어 일측에 설치된 힌지 등을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는 상측헤드부(110)와 하측헤드부(120)의 구성으로, 상기 흡모통기부(130)는 상측헤드부(1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부(150) 및 커팅날부(160)는 상기 하측헤드부(12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하측헤드부(120)에 설치된 고정날부(150)와 커팅날부(160)는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내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의 소정의 위치에 커팅 후의 머리카락 또는 털의 길이가 희망하는 길이로 남도록 하기 위한 헤어길이조절구(미도시)를 탈부착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장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목부(200), 동력설치부(300) 및 제어소재설치부(400)를 상기 헤드부(100)와 상기 손잡이부(500)의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것은, 손잡이부(500)로부터 커팅날부(160)까지의 길이를 일정 정도 유지시켜 사용자의 커팅 편의를 최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100)로부터 손잡이부(500)까지, 연결목부(200), 동력설치부(300) 및 제어소재설치부(40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굳이 구분되지 않고 전체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로 유지되는 실시예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소재설치부(400)의 케이싱 외부에는 전원의 온/오프스위치(410) 및 동력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속도제어스위치(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00)의 케이싱 외표면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논슬립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부(600)는 케이싱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회전시켜 케이싱 내부의 통공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장치연결부(700)는 진공청소기 또는 독립된 흡입장치의 관(호스 등)에 공기가 새지 않도록 체결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의 길이방향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는, 힌지부(190)의 회동 수단 등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소정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갖고 전방에 형성된 흡모통기부(130)를 갖고, 내부에 상기 흡모통기부(130)와 연결되어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받아들이는 헤드부의 흡모관로(180)가 형성된 상측헤드부(110)와, 일측의 상기 힌지부(190)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상측헤드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헤드부(110)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고 소정의 높이를 갖고 전방으로 소정의 폭 돌출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날부(150)와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날부(150)에 대해서 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된 커팅날부(160)를 포함하고 일측에 헤어길이조절구를 탈착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장착부(121)가 형성된 하측헤드부(120)를 포함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갖고 상기 헤드부의 흡모관로(180)와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흡모관로(180)에서 받아들이는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연결목부의 흡모관로(280) 및 하부에 상기 커팅날부(160)와 연결되어 커팅날부(160)의 좌우 직선운동을 수행시키는 동력전달부재가 설치된 연결목부(200)와; 상기 연결목부(2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연결목부(20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상기 연결목부의 흡모관로(280)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설치부의 흡모관로(380)가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부(160)를 구동시키는 모터(310), 모터축(320), 상기 모터축(320), 상기 모터축(320)에 연결된 회전판(330) 및 상기 회전판에 편심되게 설치된 편심축(340)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가 설치된 동력설치부(300)와; 상기 동력설치부(3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은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상기 동력설치부의 흡모관로(380)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어소재설치부의 흡모관로(48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소재가 탑재된 기판(430) 및 스위치(410)(420)가 설치된 제어소재설치부(400)와; 상기 제어소재설치부(4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은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상기 제어소재설치부의 흡모관로(480)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의 흡모관로(580)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510)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외표면에 논슬립부가 형성된 손잡이부(500)와; 상기 손잡이부(5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은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의 흡모관로(580)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조절부의 흡모관로(680)가 구비되고 흡입되는 공기의 양 또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재(610)(620)가 설치된 공기조절부(600)와; 상기 공기조절부(600)의 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높은 높이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상기 공기조절부의 흡모관로(680)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흡입장치연결부의 흡모관로(780)가 형성되고 진공청소기 또는 별도의 흡입장치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흡입장치연결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헤드부(100)와 상기 연결목부(200)의 사이이고 저부에는 상기 헤드부(100)의 상측헤드부(110)와 하측헤드부(120)를 상기 힌지부(190)를 중심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측분리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헤어길이조절구를 탈착시킬 수 있는 길이조절구장착부(121)와 대응하여 헤어길이조절구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하측결합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설치부(300)의 동력발생부로부터 상기 헤드부(100)의 커팅날부(160)에 이어지는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동력발생부의 모터(310), 모터축(320), 회전판(330) 및 편심축(340)에 의해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커팅날부(160)로 전달하여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고정 설치된 편심축(34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되 상기 편심축(340)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유동연결부재(810)와,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와 예를 들면,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제2 결합부재(820)가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860)에 끼워져 좌우 이동이 자유로운 커팅날체결부재(8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 및 동력발생부의 실시예 및 그 작용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부(100), 연결목부(200), 동력설치부(300), 제어소재설치부(400), 손잡이부(500), 공기조절부(600) 및 흡입장치연결부(700)는 내부가 비어있고 개폐가 가능하고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10)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는, 헤드부(100)의 전방의 양측에 설치된 안전펜스부(170)의 내측으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 설치된 다수의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을 갖고 상기 톱니형의 날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날몸체부와 상기 고정날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팅날부(160)의 좌우 유동운동을 안내하는 적도 하나의 가이드돌기(151)를 포함하는 고정날부(150)와,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부(16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다수의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을 갖고 동력전달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기 가이드돌기(151)가 삽입되어 좌우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홈(161)이 형성된 커팅날몸체부를 갖는 커팅날부(160)와; 상기 헤드부(100)의 상측헤드부(110)의 전방이고 상기 커팅날부(160)와 헤드부(100)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팅날부(160)에서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흡입하는 통공이 상기 커팅날부(1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흡모통기부(130)로부터 흡입되는 머리카락 또는 털을 받아서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헤드부의 흡모관로(180)로부터 연결목부(200)의 흡모관로(280), 동력설치부(300)의 흡모관로(380), 제어소재설치부(400)의 흡모관로(480), 손잡이부(500)의 흡모관로(580), 공기조절부(600)의 흡모관로(680) 및 흡입장치연결부(700)의 흡모관로(780)까지 이어져 형성된 지는 흡모관로(280)까지 하나의 관로(20)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흡모관로(180)까지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 내부로 갈 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의 흡입장치로부터 빨아들이는 속도를 흡모통기부(130)로부터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헤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헤드부(100)는, 힌지부(190)를 중심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전방에 길이 방향의 통공으로 형성된 흡모통기부(130)와; 상기 흡모통기부(130)와 이어져 통공 및 중공부가 형성된 헤드부의 흡모관로(180)를 포함하는 상측헤드부(110)와; 상기 상측헤드부(110)의 하부에 상기 힌지부(190)를 중심으로 형성된 하측헤드부(120)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저면에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되고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로 형성되고, 돌출된 부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15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헤드부(120)의 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 또는 고정부재(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돌출 폭보다 작은 폭으로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부(150)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151)을 수용하여 커팅날부(160)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61)을 갖고 후단부에 커팅날체결부재(840)의 체결부(85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162)가 형성된 커틸날부(160)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헤드부(100)의 상측헤드부(110)와 하측헤드부(120)이 힌지부(190)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상기 고정날부(150)과 커팅날부(150)의 교체, 수리 및 청소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고정날부(150)의 하측헤드부(120)에의 고정 수단(152), 상기 커팅날부(160)의 상기 고정날부(150)에 대한 좌우 유동 가이드수단(151)(161) 및 상기 커팅날부(160)의 커팅날체결부재(840)와의 결합수단(850)(16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동력설치부 및 흡모관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설치부(300)는, 상측케이싱(350)과 하측케이싱(360)을 포함하는 케이싱(10)의 일부인 동력설치부(300)의 내부 공간 일부로 구성되고, 모터(310), 상기 모터(310)의 회전축인 모터축(320), 상기 모터축(320)의 단부에 고정설치된 소정 직경의 원판 형상의 회전판(330) 및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부에서 편심이 되게 하향 고정 설치된 소정 길이의 편심축(340)이 내부에 설치된 동력발생부(370)와; 케이싱(10)의 일부인 동력설치부(300)의 내부 공간 일부로 구성된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설치부의 흡모관로(3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모관로(380)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발생부(370)가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동력설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설치부는, 도 5의 실시예에서 흡모관로(380)가 하나만 형성된 구성에서, 도 6의 실시예는 동력발생부(370)의 주변에 다수개의 흡모관로(380)(381)(382)(383)이 형성된 구성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0)의 흡모관로(180)으로부터 흡입장치연결부(700)의 흡모관로(780)까지 케이싱(10) 내부에 관로(20)가 형성되되 그 관로는 하나의 과로일 수 있고, 케이싱 내부의 환경에 따라 다수의 관로를 설치하여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흡모관로를 통한 머리카락 또는 털의 후방 배출을 위해 상기 흡입장치연결부(700)에 연결되는 진공청소기 또는 별도의 흡입장치의 경우, 특히 별도의 흡입장치를 사용할 경우 흡입장치의 온/오프 스위치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제어수단을 연계시켜서,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온/오프스위치의 제어와 상기 흡입장치의 스위치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공기조절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공기조절부(600)는, 상기 흡입장치연결부(700)에 연결된 흡입장치에서 커팅되는 머리카락 또는 털을 빨아들이는 흡기의 세기 또는 흡기 속도를 사용 환경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절부(600)는 케이싱(10)의 공기조절부의 흡모관로(680)의 후단부에 관로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610)와 상기 고정부재(610)의 전방에 말착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부재(610)의 홀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고정부재(610)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조절부재(6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기조절부(6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관로(20)를 타라 흐르는 공기의 배출의 양 또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를 당연히 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커팅날부 구동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동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에 위치한 고정날부(150)는 하측헤드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팅날부(160)은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밀착되게 위치하고 그 후단면부에 동력전달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동력설치부(3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10) 및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인 모터축(320)과, 상기 모터축(32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소정 직경의 원판형상의 회전판(330)과,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하양 고정 설치된 소정 길이의 편심축(34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330)의 직경 또는 편심축(340)의 회전판(3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커팅날부(160)의 좌우 유동폭에 관련된 것이므로, 적합하게 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의 편심축(340)에는 상기 편심축(340)과 직각으로 연결되되 수평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게 제1 결합부재(345)를 이용하여 연결된 소정 길이의 유동연결부재(810)와;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와 수평으로 이어져 결합되되 회동이 자유롭게 제2 결합부재(820)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커팅날부(16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850)를 갖는 소정 길이의 커팅날체결부재(840)와;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의 양측에서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가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드지지부재(860)(8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가 정지 상태에서 구동을 시작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모터(310)에 의해 회전할 회전판(330)에 고정 설치된 편심축(340)이 헤드부(100)의 커팅날부(16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여있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가 구동을 시작하여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9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에 회전이 자유롭게 제1 결합부재(345)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된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의 위치가 회전판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제2 결합부재(820)에 의해 연결된 커팅날체결부재(840)가 상기 가이드지지대(860)(870)에 예를 들어, 우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소정 거리 이송되면서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에 결합된 커팅날부(160)가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8 (C)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18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에 회전이 자유롭게 제1 결합부재(345)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된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의 위치가 회전판 방향으로 소정 거리 더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제2 결합부재(820)에 의해 연결된 커팅날체결부재(840)가 상기 가이드지지대(860)(870)에 예를 들어, 우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소정 거리 더 이송되면서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에 결합된 커팅날부(160)가 우측으로 소정 거리 더 이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8 (D)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27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에 회전이 자유롭게 제1 결합부재(345)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된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커팅날부(160)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제2 결합부재(820)에 의해 연결된 커팅날체결부재(840)가 상기 가이드지지대(860)(870)에 예를 들어, 좌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소정 거리 이송되면서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에 결합된 커팅날부(160)가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8 (E)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36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에 회전이 자유롭게 제1 결합부재(345)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된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의 위치가 커팅날부(160)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더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연결부재(810)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제2 결합부재(820)에 의해 연결된 커팅날체결부재(840)가 상기 가이드지지대(860)(870)에 예를 들어, 좌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소정 거리 더 이송되면서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에 결합된 커팅날부(160)가 좌측으로 소정 거리 더 이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상기 도 8의 커팅날부의 구동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등의 동력발생부는 실제로는 측단면도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나 설명의 편의상 방향을 저면도로 바꾸어 도시를 했고, 그 것을 기초로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의 주요부인 커팅날부 구동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동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에 위치한 고정날부(150)는 하측헤드부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팅날부(160)은 상기 고정날부(150)의 상면에 밀착되게 위치하고 그 후단면부에 동력전달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동력설치부(3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10) 및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인 모터축(320)과, 상기 모터축(32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소정 직경의 원판형상의 회전판(330)과,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하양 고정 설치된 소정 길이의 편심축(34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330)의 직경 또는 편심축(340)의 회전판(3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커팅날부(160)의 좌우 유동폭에 관련된 것이므로, 적합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30)의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와 소정의 폭 및 소정의 판상의 두께를 갖는 회동부재프레임(881)과 상기 회동부재프레임(881)의 내측에 상기 편심축(340)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폭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공부(88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부에 결합부재(88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부(882)에 상기 편심축(340)이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재프레임(881)이 상기 회전판(330)에 대해서 수평이고 상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회동부재(880)와; 상기 회동부재(880)의 결합부재(883)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88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설치된 소정 길이의 유동부재(884)와; 상기 유동부재(884)가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팅날부(160) 및 고정날부(150)와 상기 회전판(330)의 사이이고 상기 회전판(330)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드지지부재(890)와;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재(890)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330)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유동부재(884)에 고정 설치된 커팅날체결부재(840)와; 상기 커팅날체결부재(840)에 고정설치되어 커팅발부(160)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8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가 정지 상태에서 구동을 시작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모터(310)에 의해 회전할 회전판(330)에 고정 설치된 편심축(340)이 헤드부(100)의 커팅날부(160)에 가장 가까운 위치 및 상기 회동부재(880)의 통공부(882)의 중앙부위에 놓여있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헤어 커트기가 구동을 시작하여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9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이 상기 회동부재(880)의 통공부(88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통공부(88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부재(880), 유동부재(884), 커팅날체결부재(840)이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재(890)에서 슬라이드되어 예를 들면, 우측으로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840)에서 모터축(820)의 거리만큼 직선 이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18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이 상기 회동부재(880)의 통공부(88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통공부(882)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부재(880), 유동부재(884), 커팅날체결부재(840)이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재(890)에서 슬라이드되어 예를 들면, 우측으로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840)에서 모터축(820)의 거리만큼 더 직선 이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9의 (D)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27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이 상기 회동부재(880)의 통공부(88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통공부(882)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부재(880), 유동부재(884), 커팅날체결부재(840)이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재(890)에서 슬라이드되어 예를 들면, 좌측으로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840)에서 모터축(820)의 거리만큼 직선 이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도 9의 (E)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회전판(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축(340)이 360도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편심축(340)이 상기 회동부재(880)의 통공부(88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통공부(882)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부재(880), 유동부재(884), 커팅날체결부재(840)이 상기 슬라이드지지부재(890)에서 슬라이드되어 예를 들면, 좌측으로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840)에서 모터축(820)의 거리만큼 더 직선 이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날부(150)와 상기 커팅날부(150)의 톱니형 빗살구조의 날의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의 흡기 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일어서게 되고, 커트된 머리카락 또는 털은 상기 흡모통기부(130)의 흡기를 따라서 내부의 관로(20)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측부에 커팅부가 설치된 빗형의 헤어 커트기에 있어서, 커트날의 구동시 소음을 줄이고 내부 부재들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헤어 커트기의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커팅시 흡입장치에 의해 머리카락 또는 털이 상향으로 일어서게되어 원하는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고,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헤드부
110: 상측헤드부
120: 하측헤드부
200: 연결목부
300: 동력설치부
400: 제어소재설치부
500: 손잡이부
600: 공기조절부
700: 흡입장치연결부
800: 회동부재

Claims (7)

  1.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헤어 커팅수단이 일측부에 구비된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와 이어져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고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에 이어져 형성된 흡입장치연결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00)는 하측헤드부(120)와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측헤드부(12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상측헤드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헤드부(120)의 일측부에 톱니형의 빗살구조의 날이 상기 하측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방향으로 이어지고 상기 하측헤드부의 측부로부터 소정 폭 돌출된 하부의 고정날부(150)와 상부의 커팅날부(1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측헤드부(110)는 상기 하측헤드부의 커팅날부의 상부이고 상기 상측헤드부의 측부에 상기 커팅날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커팅시에 머리카락 또는 털을 상향으로 향하게 하고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모통기부(130)와, 상기 흡모통기부(130)와 이어지는 통공과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모통기부(130)에서 빨아들인 머리카락 또는 털을 이송시키는 흡모관로(18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헤드부(110) 및 하측헤드부(120)의 후방에 설치된 힌지(190)에 의해 상기 상측헤드부가 하측헤드부에 대해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분리와 결합을 할 수 있는 상측분리부(111)가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모관로(180)는 상기 흡모통기부(130)로부터 내부로 갈 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손잡이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흡모관로(180)로부터 상기 흡입장치연결부(700)까지 형성되어 상기 흡모통기부(130)가 흡입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흡입장치연결부(700)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관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부 및 커팅날부는 상기 하측헤드부의 측부에서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 모터축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축의 단부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소정 거리 편심된 위치에 고정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편심축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 소정 길이의 유동연결부재와; 상기 유동연결부재의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커팅날부의 후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팅날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체결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커팅날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 모터축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축의 단부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소정 거리 편심된 위치에 고정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장홀이 형성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기 회전판과 수평으로 설치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동부재의 장홀에 수직이고 상기 회전판과 수평인 소정 길이의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를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지지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의 단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커팅날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체결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커팅날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된 머리카락 또는 털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케이싱 내의 관로는 2개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상기 흡입장치연결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관로로 흡기되는 공기의 양 또는 흡기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기.
KR1020200085156A 2020-07-10 2020-07-10 헤어 커트기 KR10250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56A KR102504583B1 (ko) 2020-07-10 2020-07-10 헤어 커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56A KR102504583B1 (ko) 2020-07-10 2020-07-10 헤어 커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29A KR20220007229A (ko) 2022-01-18
KR102504583B1 true KR102504583B1 (ko) 2023-03-02

Family

ID=800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56A KR102504583B1 (ko) 2020-07-10 2020-07-10 헤어 커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5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88Y1 (ko) * 2002-03-08 2002-06-07 이기철 전동식 이발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40Y2 (ja) * 1977-11-30 1983-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ヘア−カツタ
KR890004256Y1 (ko) * 1989-04-27 1989-06-26 주식회사 금성사 레이저 광속 주사계의 광속 검지장치
KR20000017811A (ko) * 1999-12-17 2000-04-06 김상수 자동헤어커터기
KR100883962B1 (ko) 2007-07-06 2009-02-17 주식회사 이화창 전동식 헤어 커터
KR102053690B1 (ko) 2019-08-14 2019-12-09 김현정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흡입기가 구비되는 헤어 클리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88Y1 (ko) * 2002-03-08 2002-06-07 이기철 전동식 이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29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547B2 (en) Beard trimmer with internal vacuum
JP5063970B2 (ja) 可搬式動力作業機
CN1104309C (zh) 发须去除装置
US5435066A (en) Cutting device and assembly
KR100459740B1 (ko) 외과 깁스 톱
US6968593B1 (en) Hand-held deep cleaner
US10814506B2 (en) Hair clipping device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2504583B1 (ko) 헤어 커트기
EP1601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a workpiece
WO2009035153A1 (en) Cutter
RU2389601C1 (ru) Машинка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KR20130109053A (ko)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CN111657780A (zh) 立式集尘器
US20090107413A1 (en) Two handle vacuum cleaner for animal grooming
WO2001083172A1 (en) Electric hair-clipper
US20100024223A1 (en) Cast saw
GB2318079A (en) Haircutting device with suction attachment
KR200488685Y1 (ko) 털 혹은 모발을 흡입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발 기구
WO2004076140A1 (en) Planer with improved chip removal
US10524967B2 (en) Orthopedic cast removal apparatus
CN217703514U (zh) 一种宠物理毛器
CN213655199U (zh) 鼓风机
US20240122159A1 (en) Pet Grooming Device and a Vacuum Cleaner Thereof
CN101190529A (zh) 一种可自动收集发屑的电动推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