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608Y1 - 회전수문 - Google Patents

회전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608Y1
KR200277608Y1 KR2020020005190U KR20020005190U KR200277608Y1 KR 200277608 Y1 KR200277608 Y1 KR 200277608Y1 KR 2020020005190 U KR2020020005190 U KR 2020020005190U KR 20020005190 U KR20020005190 U KR 20020005190U KR 200277608 Y1 KR200277608 Y1 KR 20027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luice
vandal
rotati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후석
Original Assignee
오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후석 filed Critical 오후석
Priority to KR2020020005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608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로나 하천수로 그리고 공업용수로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수문의 개폐효율과 안전성(安全性) 및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토사나 뻘 제거와 차후 개, 보수를 용이하게 배가 시켜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문의 형태는 상, 하 직선운동으로 수문을 개폐(開閉)하는데 토사나 뻘이 수문에 유입되어 수문의 개폐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개폐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좀더 변형된 형태로는 주로 농수로에 사용하는 간혈회전식 수문이 있는데 이것은 수로의 폭이적고, 유량이 적은 곳에 적합하며 설치 공간이 크게 차지해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고안은 먼저 수로의 양쪽 벽면에 로울러가이드레일(07)을 설치하고 그 레일을 타고 수문(水門)의 수문로울러(05)가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 수문기어(02)가 회전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반달수문(01)은 수문기어(02)에 수문연결판(03)과 수문고정볼트(04)로 연결되어 수문기어(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수로 바닥 면에 토사나 뻘이 쌓이면 반달수문(01)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뻘제거판(09)으로 토사나 뻘을 제거하며, 수문기어(02)에 부착되어 있는 뻘이나 토사는 수로 상부에 위치한 자동세정장치(13)로 제거하며, 반달수문의 개,보수시에는 수로 상부로 회전시켜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하였으며, 정확한 위치의 제어를 위하여 드럼브레이크(16)와 리미트박스(19)가 설치되며,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개도계(18)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반달형 회전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회전수문{a rotation floodgate}
본 고안은 농수로나 하천수로 그리고 공업용수로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수문의 형태는 상, 하 직선운동으로 수문을 개폐하는데, 토사나 뻘이 수문에 유입(流入)되어 수문의 개폐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개폐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좀더 변형된 형태로는 주로 농수로에 사용하는 간혈회전식 수문이 있는데 이것은 수로의 폭이적고, 유량(流量)이 적은 곳에 적합하며 설치공간이 크게 차지해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그리고 수문의 개,보수시 주로 수밀고무의 마모가 주원인인데 수밀고무의 교체를 위해 수문을 인양하여 교체하며, 또는 수로의 유수(流水)를 차단한 후 작업자가 수로에 들어가 개, 보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문으로 유입된 토사나 뻘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방호스나 기타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있으나 제거 또한 수월하지 않아 수문에서 가장 큰 문제점을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수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성능이 개선된 수문을 공급코자 수문의 원리를 변형시키고 기능을 보강하여 성능을 백분 발휘하여 내구성(耐久性)과 개, 보수가 용이한 수문의 공급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문을 수로의 상부면(上部面) 까지 회전시켜 수밀고무의 교체 및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문의 제공.
수문의 수로의 바닥 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수문이 회전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수문의 제공.
수문기어에 부착되어 있는 뻘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한 수문의 회전을할 수 있도록 자동세정장치가 구비된 수문의 제공.
수문의 정확한 정지위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개도계와 리미트박스가 구비된 수문의 제공.
수압(水壓)에 의한 수문의 회전방지 및 고정 그리고 급속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용 브레이크가 구비된 수문의 제공.
수문기어의 제조 및 조립에 있어 수문기어가 분활성형 가공되어 수문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수문의 제공.
수문이 레일을 타고 기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로(水路)를 개폐할 수 있는 수문의 제공.
제1도는 본 고안 수문의 개, 보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수문의 개, 보수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수문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수문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수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수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수문의 기어 조립 및 설치도면.
제8도는 본 고안 수문의 "가"부 상세도.
제9도는 본 고안 수문의 "나"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 : 반달수문
02 : 수문기어
02-1 : 분활기어A
02-2 : 분활기어B
03 : 수문연결판
04 : 수문고정볼트
05 : 수문로울러
06 : 측면수밀고무
07 : 로울러가이드레일
08 : 구동기어
09 : 뻘제거판
10 : 전면수밀고무
11 : 기어연결판
12 : 위치고정핀
13 : 자동세정장치
14 : 구동지지베어링블록
15 : 구동모터
16 : 드럼브레이크
17 : 감속기
18 : 개도계
19 : 리미트박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그 구성을 도1에서부터 도9까지 도시하였다.
도1,2는 본 수문의 개, 보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4는 수문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5,6은 수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수로의 양쪽 벽면에 로울러가이드레일(07)을 설치되고, 이 레일을 타고 반달수문(01)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문로울러(05)가 회전하며 이때 회전의 구동력은 반달수문(01)의 양 측면에 수문연결판(03)의 양쪽 바깥쪽에 있는 수문기어(02)가 수문고정볼트(04)에 의해 취부되어, 구동기어(08)에 의해 수문기어(02)가 회전하면 반달수문(01) 또한 회전하여 수문을 개폐하게 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의 개,보수시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수문기어(02)를 회전하면 회전기어(02)에 부착된 반달수문(01)이 회전하는데 이때 지상면 까지 회전하면 외수측의 수문면이 하늘을 보게 되는데 구동모터(15)를 정지시키면 드럼브레이크(16)가 고정하여 마모나 파손에 의한 수밀고무(06,10)의 교체나 반달수문의 개,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세정장치(13)에 의하여 세척 또한 가능하다.
도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을 닫을 시 에는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 수문기어(02)를 회전하면 회전기어(02)에 부착된 반달수문(01)이 회전하는데 이때 개도계(18)의 눈금을 보면서 닫히는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된 리미트박스(19)의 리미트점이 되면 구동모터(15)가 정지하면서 드럼브레이크(16)가 구동 축을 잡아 수문의 위치를 결정해준다. 이때 양측 면의 측면수밀고무(06)와 수로의 바닥 면에 밑착된 전면수밀고무(10)에 의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수문기어(02)의 회전시 자동으로 자동세정장치(13)가 수문기어(02)의 기어 면에 고압으로 물을 살수하여 뻘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한 수문의 회전을 돕는다.
도5,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을 열시 에는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 수문기어(02)를 회전하면 회전기어(02)에 부착된 반달수문(01)이 회전하는데 이때 개도계(18)의 눈금을 보면서 열린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된 리미트박스(19)의 리미트점이 되면 구동모터(15)가 정지하면서 드럼브레이크(16)가 구동 축을 잡아 수문의 위치를 결정해준다. 이때 수로 바닥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반달수문(01)이 회전하면서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뻘제거판(09)으로 끌어내게 되고 반달수문(01)은 수로의 바닥 면에 깊숙이 묻혀 수문을 열게되며 수문기어(02)의 회전시 자동으로자동세정장치(13)가 수문기어(02)의 기어 면에 고압으로 물을 살수하여 뻘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한 수문의 회전을 돕는다.
도7은 수문기어(02)의 구성 및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먼저 기어를 목형으로 형틀을 만들어 주강으로 성형한 다음 가공하여 제작하는데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와 같이 밀접하게 부착한 다음 기어연결판(11)과 동시에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에 구멍을 뚫고 위치고정핀(12)으로 기어가 분해되지 않도록 한 다음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를 기어연결판(11)과 용접하여 수문기어(02)를 제작한다.
반달수문(01)의 구동은 먼저 구동모터(15)에서 동력을 전달하면 감속기와 2단 기어 비를 거처 구동기어(08)로 전달되는데 구동기어(08)는 수문기어(02)와 물려 있어 수문기어(02)가 회전하며 수문기어(02) 내측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반달수문(01)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반달수문(01)의 양측 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문로울러(05)는 로울러가이드레일(07)의 안내 면을 타고 회전운동을 하며 수문기어(02)와 반달수문(01)은 로울러가이드레일(07)로 지지된다.
그리고 회전수문(01)이 수압이나 기타의 부하에 밀리거나 하강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15)의 전단에 회전방지용 드럼브레이크(16)를 구비하였으며 정전시 수문의 급격한 하강을 막기 위하여 구동모터(15)에 브레이크 "B"TYPE(전기의 공급 차단 시 작동)을 사용하고 드럼브레이크(16) 또한 "B"TYPE를 사용하여 급속하강을 방지하였다.
반달수문(01)의 회전시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개도계(18)를 구비하여 반달수문(01)을 직접보지 않고 개도계(18) 만으로도 개폐의 량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달수문(01)이 완전히 닫히고 완전히 열렸을 때 더이상 작동되지 않도록 리미트박스(19)에서 리미트 점을 임의로 설정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수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수로의 양쪽 벽면에 로울러가이드레일(07)을 설치하고 그 레일을 타고 수문의 수문로울러(05)가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 수문기어(02)가 회전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반달수문(01)은 수문기어(02)에 수문연결판(03)과 수문고정볼트(04)로 연결되어 수문기어(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수로바닥면에 토사나 뻘이 쌓이면 반달수문(01)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뻘제거판(09)으로 토사나 뻘을 제거하며, 수문기어(02)에 부착되어 있는 뻘이나 토사는 수로 상부에 위치한 자동세정장치(13)로 제거하며 반달수문의 개,보수시에는 수로 상부로 회전시켜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하였으며 정확한 위치의 제어를 위하여 드럼브레이크(16)와 리미트박스(19)가 설치되며,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개도계(18)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8)

  1. 반달수문(01)을 수로의 상부면 까지 회전시켜 수밀고무의 교체 및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와.
    반달수문(01)의 수로의 바닥 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반달수문(01)이 회전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와.
    수문기어(02)에 부착되어 있는 뻘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히 반달수문(01)이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자동세정장치(13)가 구비된 장치와
    수문의 정확한 정지위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개도계(18)와 리미트박스(19)가 구비된 장치와
    수압에 의한 반달수문(01)의 회전방지 및 고정 그리고 급속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용 드럼브레이크(16)가 구비된 장치와
    수문기어(02)의 제조 및 조립에 있어 수문기어(02)가 분활성형 가공되어 반달수문(01)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장치와
    반달수문(01)이 로울러가이드레일(07)을 타고 수문기어(02)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로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수문의 개,보수시 구동기어(08)의 회전에 의해 수문기어(02)를 회전하면 수문기어(02)에 부착된 반달수문(01)을 지상 면까지 회전시켜 마모나 파손에 의한 수밀고무(06,10)의 교체나 반달수문의 개,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수로바닥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반달수문(01)을 회전시켜 반달수문(01)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뻘제거판(09)으로 수로 바닥 면에 쌓여 있는 토사 나 뻘을 제거하면서 반달수문(01)을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4. 제1항에 있어서
    수문기어(02)의 회전시 뻘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히 수문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자동세정장치(13)가 수문기어(02)의 기어 면에 고압으로 물을 살수하며 수문기어(02)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5. 제1항에 있어서
    반달수문(01)의 회전시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개도계(18)를 구비하여 반달수문(01)을 직접보지 않고 개도계(18) 만으로도 개폐의 량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달수문(01)이 완전히 닫히고 완전히 열렸을 때 더이상 작동되지 않도록 리미트박스(19)에서 리미트 점을 임의로 설정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수문(01)이 수압이나 기타의 부하에 밀리거나 하강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15)의 전단에 회전방지용 드럼브레이크(16)를 구비하여 정전시 수문의 급격한 하강을 막기 위하여 구동모터(15)에 브레이크 "B"TYPE(전기의 공급 차단 시 작동)을 사용하고 드럼브레이크(16) 또한 "B"TYPE를 사용하여 회전방지 및 급속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7. 제1항에 있어서
    수문기어(02)의 목형으로 형틀을 만들어 주강으로 성형한 다음 가공, 제작하여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와 같이 밀접하게 부착한 다음 기어연결판(11)과 동시에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에 구멍을 뚫고 위치 고정핀(12)으로 기어가 분해되지 않도록 한 다음 분활기어A(02-1)와 분활기어B(02-2)를 기어연결판(11)과 용접하여 수문기어(02)를 분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8. 제1항에 있어서
    반달수문(01)의 양측 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문로울러(05)가 로울러가이드레일(07)의 안내 면을 타고 회전운동을 하며 수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
KR2020020005190U 2002-02-18 2002-02-18 회전수문 KR20027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90U KR200277608Y1 (ko) 2002-02-18 2002-02-18 회전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90U KR200277608Y1 (ko) 2002-02-18 2002-02-18 회전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608Y1 true KR200277608Y1 (ko) 2002-06-14

Family

ID=7308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90U KR200277608Y1 (ko) 2002-02-18 2002-02-18 회전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6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615A (zh) * 2018-06-27 2018-11-06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地下水库半圆弧旋转闸门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615A (zh) * 2018-06-27 2018-11-06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地下水库半圆弧旋转闸门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63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CN209779855U (zh) 一种污水管网净化处理装置
KR101230778B1 (ko)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일체형 펌프게이트
KR200277608Y1 (ko) 회전수문
KR101055171B1 (ko) 스크린 파쇄기 및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758365B1 (ko) 스크린 일체형 수문 배수장치
KR20100010477U (ko) 수문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101876279B1 (ko)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32446Y1 (ko) 기어식 회전수문
CN110656627A (zh) 一种自动旋转防堵塞的底格栏栅
KR100596023B1 (ko) 회전식 수문장치
CN216238872U (zh) 可闭式雨水箅子
CN203820485U (zh) 格栅除污机
CN109653168B (zh) 一种多功能景观闸门及该闸门排污、截污和泄水方法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1194279B1 (ko) 힌지식 수문 액추에이터
CN219908847U (zh) 一种农田灌溉水道水闸
KR200308734Y1 (ko) 반달회전수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CN217536880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利闸装置
CN212153313U (zh) 一种水利闸门提升装置
CN219280632U (zh) 一种装配式农田水利涵闸结构
US4142823A (en) Current power plant
CN218521885U (zh) 一种环境治理的土壤防干旱用引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