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94Y1 - 공압식 핑거 - Google Patents

공압식 핑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94Y1
KR200277294Y1 KR2020020007130U KR20020007130U KR200277294Y1 KR 200277294 Y1 KR200277294 Y1 KR 200277294Y1 KR 2020020007130 U KR2020020007130 U KR 2020020007130U KR 20020007130 U KR20020007130 U KR 20020007130U KR 200277294 Y1 KR200277294 Y1 KR 200277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ain body
inner space
ai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구
구서
Original Assignee
김형구
구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구, 구서 filed Critical 김형구
Priority to KR2020020007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94Y1/ko

Link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식 핑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후면벽에 의해 후방이 막히고 전방이 개방된 실린더형태의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선단부에 고정된 제 1죠오(jaw)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피스톤과 결합한 상태로 본체의 전방 외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제 1죠오와 쌍을 이루는 제 2죠오를 갖는 피스톤로드와; 외부의 공기펌프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시 공기펌프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여 피스톤이 공기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피스톤과 더불어 내부공간내에 구비되어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며 공기압에 의해 이송된 피스톤을 공기압이 제거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공압식 핑거는, 상호 대응하며 쌍을 이루는 죠오를 압축공기의 힘으로 좁히거나 벌릴 수 있어, 종전에 손의 힘으로 직접 할 수밖에 없던 각종 죔작업이나 벌림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매우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압식 핑거{Finger using air-pressure}
본 고안은 공압식 핑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어져 있는 부분을 죄거나 또는 조여져 있는 부분을 벌릴 수 있는 죠오를 구비한 공압식 핑거에 관한 것이다.
공장자동화 설비가 구축되어 있다 하더라도 기계가 할 수 없는 작업이 있기 마련이며 이러한 작업은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한다. 각종 생산라인에서 사람이 직접 해야만 하는 작업은 그 작업의 내용에 따라 수만 가지가 있을 것이고 그 중에는 예컨대 각종 파이프라인에 클램프를 채우는 작업도 포함된다.
도 1은 공압식 핑거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고무튜브에 연결파이프를 끼우고 고무튜브와 연결파이프와의 연결부위에 클램프를 끼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튜브(T)에 연결파이프(P)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무튜브(T)의 내부에 연결파이프(P)를 압입하고, 고무튜브의 외주를클램프(C)로 죄어 클램프(C)로 하여금 연결파이프에 대해 고무튜브를 압착시켜야 한다.
상기 클램프(C)는 고무튜브(T)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결파이프(P)와 고무튜브(T)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클램프(C)의 양단부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내경을 확장한 상태로 그 내부에 고무튜브의 죌부분을 위치시킨 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 클램프는 기본적으로 강한 조임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클램프(C)에 화살표 f방향의 힘을 가하여 내경을 확장시키는 작업을 손으로 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손이 아프며 비능률적인 일이다. 더우기 상기 클램핑작업을 한 두 개가 아닌 수 백개씩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고 손가락을 다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상호 대응하며 쌍을 이루는 죠오를 압축공기의 힘으로 좁히거나 벌릴 수 있어, 종전에 손의 힘으로 직접 할 수밖에 없던 각종 죔작업이나 벌림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매우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공압식 핑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공압식 핑거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47:공압식 핑거 13,41:제 1죠오(jaw)
15,43:제 2죠오 17:손잡이부
19:제어밸브 21:레버
23:공기구멍 25:공기압입구
27:제 1공기튜브 29:제 2공기튜브
31:피스톤로드 33:내부공간
35:피스톤 37:스프링
39:연결캡 49:연결부재
51,59:본체 53:지지턱
55:가압팁 57:후면벽
63:내부유로
T:고무튜브 C:클램프
P:연결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후면벽에 의해 후방이 막히고 전방이 개방된 실린더형태의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선단부에 고정된 제 2죠오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피스톤과 결합한 상태로 본체의 전방 외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제 2죠오와 쌍을 이루는 제 1죠오를 갖는 피스톤로드와; 외부의 공기펌프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시 공기펌프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여 피스톤이 공기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피스톤과 더불어 내부공간내에 구비되어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며 공기압에 의해 이송된 피스톤을 공기압이 제거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구측 내주면에는 그 내경이 피스톤의 외경보다 작아 피스톤이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루프형태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내부공간에서 피스톤이 이동하는 동안 피스톤에 의해 밀리는 공기가 본체 외부로 배기 되도록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수단은 피스톤과 후면벽의 사이에 위치되어 피스톤이 상기 지지턱 측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가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피스톤로드를 감싸며 지지턱과 피스톤사이에 위치되어 피스톤이 지지턱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탄성가압력을 가하여 피스톤로드가 내부공간측으로 최대한 삽입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는 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작동식밸브로서 외부의 공기펌프와 본체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튜브에 설치되어, 레버를 누를 때 압축공기가 내부공간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레버를 놓을 때 내부공간에 공급되어 있던 압축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는 3포트 2위치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며 공기펌프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내부 형성되어 있는 연결캡이 고정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연결캡과 제어밸브를 연결하여 연결캡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제어밸브까지 유동시키는 제 1공기튜브와, 상기 제어밸브와 내부공간을 연결하여 제어밸브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 2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죠오 및 제 2죠오의 대향면은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고, 그 끝단부에는 죄거나 벌릴 대상물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11)는, 후단부의 공기압입구(25)를 통해 외부의 공기압축기(미도시)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 중앙에는 손잡이부(17)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2죠오(1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죠오(13,15)는 평상시에는 이격된 상태로 있다가 제어밸브(19)가 동작함에 따라 상호 근접하여,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대상물(미도시)을 죈다.
상기 제어밸브(19)는 레버(21)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식 공압밸브로서, 본체(51)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사용자가 손잡이부(17)를 파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 레버(21)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51)의 후단부에는 내부공간(도 3의 33)을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구멍(23)의 후방에는 연결캡(39)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캡(39)은 본체(51)에 고정된 상태로 공기압입구(25)를 통해 외부의 공기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압축공기를 제 1공기튜브(27)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 1공기튜브(27)를 통해 제어밸브(19)에 도달하여 있는 압축공기는 레버(21)가 눌리면 순간적으로 제어밸브(19)를 통과하여 제 2공기튜브(29)를 거쳐 본체(51) 내부로 공급된다.
도면부호 49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연결부재(49)는 그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공지의 공압용 요소로서, 본체(51)와 제 2공기튜브(29)를 연통시키고 제어밸브(19)에 대해 제 1,2공기튜브(27,29)를 연통시키며, 연결캡(39)의 내부 유로(63)에 제 1공기튜브(27)를 연통시킨다.
한편, 상기 제 1,2죠오(13,15)에 있어서, 제 2죠오(15)는 본체(51)의 전방 선단부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2죠오(15)는 제 1죠오(13)와 쌍을 이루는것으로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후술할 피스톤로드(31)가 본체(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 1,2죠오(13,15)의 대향면은 상호 평행하고 본체(51)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도 3의 θ)을 이룬다. 제 1,2죠오(13,15)를 이와 같이 경사지도록 한 것은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고려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로드(31)는 본체(5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봉형부재이다. 상기 피스톤로드(31)의 본체(51)에 삽입된 단부에는 후술할 피스톤(35)이 고정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반대측 단부에는 제 1죠오(1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죠오(13)는 제 2죠오(15)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어밸브(19)의 레버(21)가 눌린 동안 제 2죠오(15)측으로 이동하고, 레버(21)를 놓으면 후술하는 스프링(도 3의 37)의 탄성력에 의해 제 2죠오(15)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 1죠오(13) 및 제 2죠오(15)의 하단부 대향면에는 가압팁(55)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팁(55)은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부재로서 대상물과 직접 접하며 예컨대 도 1의 클램프(도 1의 C)의 양단을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11)는 평상시 제 1,2죠오(13,15)가 상호 벌어진 상태로 대기하다가 제어밸브(19)를 동작시키면 벌어져 있던 제 1,2죠오(13,15)가 상호 근접해 죠오 사이에 끼워져 있는 부재를 죄는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공압식 핑거(11)를 작동하기 전의 평상시 상태이고, 도 4는 제어밸브(19)를 통해 핑거를 작동시킨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51)의 내부에 후면벽(57)에 의해 막힌 실린더형태의 내부공간(3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33)에는 피스톤(35) 및 스프링(37)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5)은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이 내부공간(33)의 내주면과 면접하여 밀폐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35)에는 피스톤로드(3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31)는 피스톤(35)과 결합한 상태로 본체(51)의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7)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피스톤(35)과 후면벽(57)의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35)을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본체(51)의 내부에는 지지턱(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53)은 스프링(37)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는 피스톤(35)이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중앙부를 통해 피스톤로드(31)를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33)의 후면벽(57)과 근접한 부위에 해당하는 벽면에는 공기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구멍(23)은 피스톤(35)의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공간(33)내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공기가 자연스럽게 출입하도록 마련한 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35)이 지지턱(53)에 지지된 상태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가압되므로 평상시 피스톤로드(31)는 본체(51)로부터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대향하고 있는 제 1,2죠오(13,15)의 대향면의 최대 간격은 피스톤로드(31)의 길이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51)의 후단부에는 연결캡(39)이 나사결합한다. 상기 연결캡(39)은 마치 캡너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중앙부에 외부의 공기탱크와 연결되는 공기압입구(25)를 가진다. 또한 측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연결부재(49)를 통해 제 1공기튜브(27)와 연통한다.
결국 공기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공기압입구(25)를 통해 연결캡(39)으로 압입된 후 제 1공기튜브(27)를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동하여 제어밸브(19)에 도달하여 있다. 상기 제어밸브(19)는 공지의 레버식 3포트 2위치밸브로서 평상시에는 자체내의 스프링에 의해 닫혀 있으며 레버(21)를 누르면 열려 내부로 유체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 2공기튜브(29)는 그 일단이 제어밸브(19)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부재(도 4의 49)를 통해 내부공간(33)에 연결된다. 이 때 내부공간(33)으로 연결되는 공기통로는 지지턱(53)과 피스톤(35)의 사이에 위치한다.
여하튼 압축공기가 제어밸브(19)에 도달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밸브(19)의 레버(21)를 누르면 제어밸브(19)가 개방되고 제어밸브(19)에 의해 막혀있던 공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공기튜브(29)를 통해 내부공간(33)으로 공급되어 피스톤(35)을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피스톤(35)이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죠오(13)은 제 2죠오(15)측으로 근접하여 대상물을 죄거나 오므린다. 아울러 피스톤(35)이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37)은 압축되고, 피스톤(35)과 후면벽(57)사이에 있던 공기는 공기구멍(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태에서 레버(21)를 놓으면 제어밸브(19)는 자체내의 스프링에 의해 닫히고 내부공간(33)내에 압입되어 피스톤(35)을 가압하던 압축공기 및 제 2공기튜브내의 압축공기는 제어밸브(19)를 통해 밴트된다.
그동안 상기 피스톤(35)은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밀려 지지턱(53)까지 이동하고, 이 때 외부의 공기는 공기구멍(23)을 통해 내부공간(33)으로 빨려들어간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핑거(47)는 제 1실시예와 달리 대상물을 벌리는 동작을 한다. 즉,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벌어져 있는 대상을 죄는 동작을 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공압식핑거는 그와 반대로 벌리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핑거(47)의 제 1,2죠오(41,43)는 그 배면이 상호 접하며 가압팁(55)은 각각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2죠오(41,43)의 세부 형상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그 방향에 있어서 가압팁(55)이 외부를 향하여 있는 점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47)는, 속이 빈 파이프형태를 취하는본체(59)와, 상기 본체(59)의 내부공간(도 6의 33)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된 피스톤(도 6의 35)과, 상기 피스톤(35)과 더불어 내부공간(33)에 설치되어 피스톤(35)을 후방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37)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본체(59)내에는 피스톤로드(31)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1)는 본체(59)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구멍(23)은 본체(51)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있다. 상기 공기구멍(23)을 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35)이 왕복운동 할 때 내부공간(33)내에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핑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압식 핑거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이고, 도 7은 제어밸브의 레버를 눌러 동작시킨 상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59)의 내부에는 피스톤(35)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5)은 본체(59) 내부공간(33)의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접촉면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다.
상기 피스톤(35)은 제 2공기튜브(29)와 내부공간(33)의 연결부위보다 전방측에 위치한다. 즉, 도 5에서 제 2공기튜브(29)와 본체(59)의 연결부인 연결부재(49)는 피스톤(35)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되어야 내부공간(33)에 압입된 압축공기가 피스톤(35)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체(59)의 개방구측에는 피스톤(35)이 본체(59)로부터 이탈되지않도록 하는 지지턱(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31)는 그 일단이 내부공간(33)내의 피스톤(35)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59) 외부로 연장되어 본체(59)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2죠오(43)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1)의 외측 단부에는 제 1죠오(41)가 고정되어 있음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37)은 상기 지지턱(53)과 피스톤(35)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7)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지지턱(53)에 대해 피스톤(35)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죠오(41)는 스프링(37)에 의해 제 2죠오(43)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어밸브(19)의 레버(21)를 누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19)에 의해 막혀있던 공기의 통로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는 제어밸브(19)를 통과한 후 내부공간(33)으로 압입되어 피스톤(35)을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피스톤(35)이 상기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프링(37)은 압축되고 제 2죠오(43)에 대해 제 1죠오(41)가 이격되며 대상부위를 벌리게 된다. 상기 피스톤(35)이 이동하는 동안 지지턱(53)과 피스톤(35)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는 공기구멍(23)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레버(21)를 놓으면 제어밸브(19)는 자체내의 스프링에 의해 닫히고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이 때 내부공간(33) 및 제 2공기튜브(29)내에 있는 공기는제어밸브(19)를 통해 배기되고 상기 피스톤(35)은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동안 외부의 공기는 공기구멍(23)을 통해 본체(59)의 내부로 빨려들어감은 상기와 같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공압식 핑거는, 레버(21)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제 1,2죠오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어, 단순히 죄거나 벌리는 작업에 하나의 공구로서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2죠오를 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피스톤을 왕복식으로 구성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공지의 공압모터 및 상기 공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를 적용하여 공압모터의 작동에 따라 제 1,2죠오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공압식 핑거는, 상호 대응하며 쌍을 이루는 죠오를 압축공기의 힘으로 좁히거나 벌릴 수 있어, 종전에 손의 힘으로 직접 할 수밖에 없던 각종 죔작업이나 벌림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매우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에는 손잡이부(17)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후면벽(57)에 의해 후방이 막히고 전방이 개방된 실린더형태의 내부공간(33)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51,59)와;
    상기 본체(51,59)의 전방 선단부에 고정된 제 2죠오(15,43)와;
    상기 본체(51,59)의 내부공간(33)내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35)과;
    상기 내부공간(33)내에서 피스톤(35)과 결합한 상태로 본체의 전방 외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제 2죠오(15,43)와 쌍을 이루는 제 1죠오(13,41)를 갖는 피스톤로드(31)와;
    외부의 공기펌프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시 공기펌프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본체의 내부공간(33)으로 공급하여 피스톤(35)이 공기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19)와;
    상기 피스톤(35)과 더불어 내부공간(33)내에 구비되어 피스톤(35)을 탄성지지하며 공기압에 의해 이송된 피스톤을 공기압이 제거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구측 내주면에는 그 내경이 피스톤(35)의 외경보다 작아 피스톤(35)이 내부공간(33)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루프형태의 지지턱(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51,59)에는 내부공간(33)에서 피스톤(35)이 이동하는 동안 피스톤(35)에 의해 밀리는 공기가 본체 외부로 배기 되도록 내부공간(33)을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구멍(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피스톤(35)과 후면벽(57)의 사이에 위치되어 피스톤(35)이 상기 지지턱(53) 측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31)가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1)를 감싸며 지지턱(53)과 피스톤(35)사이에 위치되어 피스톤(35)이 지지턱(53)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탄성가압력을 가하여 피스톤로드(31)가 내부공간(33)측으로 최대한 삽입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스프링(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19)는 레버(21)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작동식밸브로서 외부의 공기펌프와 본체의 내부공간(33)을 연결하는 튜브에 설치되어, 레버(21)를 누를 때 압축공기가 내부공간(33)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레버(21)를 놓을 때 내부공간(33)에 공급되어 있던 압축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는 3포트 2위치 밸브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1,59)의 후단부에는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며 공기펌프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63)가 내부 형성되어 있는 연결캡(39)이 고정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연결캡(39)과 제어밸브(19)를 연결하여 연결캡(39)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제어밸브(19)까지 유동시키는 제 1공기튜브(27)와,
    상기 제어밸브(19)와 내부공간(33)을 연결하여 제어밸브(19)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내부공간(33)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 2공기튜브(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죠오(13,41) 및 제 2죠오(15,43)의 대향면은 본체(51,59)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고, 그 끝단부에는 죄거나 벌릴 대상물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팁(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핑거.
KR2020020007130U 2002-03-11 2002-03-11 공압식 핑거 KR200277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30U KR200277294Y1 (ko) 2002-03-11 2002-03-11 공압식 핑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30U KR200277294Y1 (ko) 2002-03-11 2002-03-11 공압식 핑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972A Division KR20030073421A (ko) 2002-03-11 2002-03-11 공압식 핑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94Y1 true KR200277294Y1 (ko) 2002-06-01

Family

ID=7307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130U KR200277294Y1 (ko) 2002-03-11 2002-03-11 공압식 핑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25B1 (ko) 2009-04-03 2014-02-03 데쎄엔에스 항공기용 고정 하푼 및 그러한 하푼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25B1 (ko) 2009-04-03 2014-02-03 데쎄엔에스 항공기용 고정 하푼 및 그러한 하푼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554A (en) Power driven hose clamp tool
US7334709B1 (en) Pneumatic caulking gun
US6729104B2 (en) Pneumatic crimping and capping handheld tool
US4170125A (en) Tool for crimping ferrules on conduits
JP2009536296A (ja) 作業シリンダを負荷するための方法、作業シリンダを負荷するための制御部、作業シリンダおよびその使用
JPS61219546A (ja) 短行程の把持作動装置
WO2004067971A1 (ja) 流体圧シリンダ
US4351097A (en) Hydraulic pliers for snap rings
US5431089A (en) Force generating mechanism
JP2001246589A (ja) 手持ち型マルチサイクル・バキュームポンプ・ピックアップ工具
TW200422118A (en) Nut-plate riveter
KR200277294Y1 (ko) 공압식 핑거
US6896248B1 (en) Clamping device
US3654686A (en) Clamping tool
US4919017A (en) Hose clamp tool
KR101756321B1 (ko) 고무 호스용 브라켓 조립장치
KR20030073421A (ko) 공압식 핑거
US6736031B1 (en) Pliers for disassembling a pipe fastening clamp
US4488713A (en) Pneumatic clamping device
WO2005102616A1 (ja) ロッドの保持装置
WO2005080167A1 (en) Master cylinder bleeding tool
JP2004011685A (ja) 流体圧シリンダおよびクランプ装置
CN109532041A (zh) 用于形成密封连接的工具系统
JP3044591B2 (ja) ブーツの自動組付け装置と該装置を用いたブーツの自動組付け方法
US6817075B1 (en) Device for mounting and/or dismantling hoses onto or from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