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83Y1 -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 Google Patents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83Y1
KR200276283Y1 KR2020020004098U KR20020004098U KR200276283Y1 KR 200276283 Y1 KR200276283 Y1 KR 200276283Y1 KR 2020020004098 U KR2020020004098 U KR 2020020004098U KR 20020004098 U KR20020004098 U KR 20020004098U KR 200276283 Y1 KR200276283 Y1 KR 200276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n mower
shaft
rotary tool
tool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운
Original Assignee
홍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운 filed Critical 홍용운
Priority to KR2020020004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83Y1/ko

Link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여러 가지 공구를 끼울 수 있는 공구대를 구비하게 됨에 따라, 상기 공구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예초기의 헤드 연결부 끝에 끼워져 조립되는 자루(12) 내부에는 샤프트(14)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내측 끝에는 예초기의 와이어(36)와 조립되는 체결부를 두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끝에는 공구(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2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THE WEEDER USING A ROTARY TOOL PLATE}
본 고안은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예초기의 헤드 연결부에 탈/부착될 수 있는 공구대를 구비하게 되면서 벌초작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초기는 작업자가 등에 멜 수 있도록 형성된 엔진부 그리고, 상기 엔진부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지면상의 풀이나 잡초 및 목초를 자를 수 있게 커터가 장착되는 예초기 헤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에는 예초기 헤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일정한 직경의 환봉으로 이루어진 예초기 헤드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예초기 헤드 연결부에는 엔진에서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서 예초기 헤드의 커터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소정의 목적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예초기는 고가이지만 분묘의 벌초작업을 위해 각 가정에서 하나씩 구비하고 있으나, 벌초작업 이외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벌초작업 이외의 작업으로 벌목과 구멍 뚫기 작업 및 연삭작업과 같이 다른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각각 드릴 및 연삭기 등의 적당한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이러한 장비는 대부분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예초기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여러 가지 공구를 끼울 수 있는 공구대를 구비하게 됨에 따라, 상기 공구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를 구비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예초기 헤드 연결부 끝에 끼워져 조립되는 자루(12)는 내부로 샤프트(14)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내측 끝에는 예초기의 동력전달부재(36)와 조립되는 체결부를 두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끝에는 공구(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2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의 중앙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구대 14: 샤프트
16: 체결부 20: 홀더
22: 공구 30: 예초기 헤드 연결부
36: 동력전달부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10)는, 예초기 헤드연결부(30)에 끼워져 조립되는 자루(12) 내부로 샤프트(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예초기에 구비된 동력전달부재와 결합되면서 예초기의 두동력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타측 끝에는 다양한 공구(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20)가 장착되어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초기 헤드 연결부(30) 끝과 결합되는 자루(12)에는 외측으로 손잡이(13)가 구비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와의 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의 끝은 관체로 되어있고, 내부에는 엔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36)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자루(12)는 예초기의 관체 내부로 끼워지게 되며 서로 결합부분에는 일측으로 각각 나사구멍(15,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구멍(15,32)으로는 나비볼트(34)에 의해서 체결된다.
다음, 상기 자루(12)의 내부에는 양측으로는 베어링(18)이 장착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샤프트(14)가 끼워지고 상기 베어링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14)의 후방에는 내부에 사각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6)를 가지고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의 동력전달부재(36)와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36)는 와이어로 되어 있으며 그 끝부분에는 사각봉체로 되어 상기 체결부(16)의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6)와 동력전달부재의 형태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각으로 되어 있으나, 다각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전방 끝은 자루(12)의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홀더(2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홀더(20)는 다양한 커터 및 드릴, 연삭숫돌과 같이 회전하는 공구(22)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구(22)의 자루부분을 용이하게 장착 혹은 분리시킬 수 있는 콜릿 척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초기 이외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예초기로부터 예초기 헤드를 분리한다. 즉,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에 구비된 나비볼트(34)를 해체시키고 통상의 커터가 장착된 예초기 헤드(도면에 미도시)를 분리시킨다. 이후,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공구대(10)를 상기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에 장착시킨다. 이때는, 공구대의 자루(12) 후방을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의 관체 내부로 끼움과 동시에 샤프트(14)의 체결부(16) 내측으로 예초기의 엔진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부재(36)가 끼워지게 한다. 이후, 전술한 나비볼트(34)를 상기 자루(12)와 예초기 헤드 연결부(30)에 형성된 각 나사구멍(15,32)으로 체결하여 서로를 결합시킨다.
다음, 상기 공구대(10)의 전방 홀더(20)에 선택된 공구(22)를 장착한 다음 상기 예초기 엔진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구(2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공구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공구대는 예초기의 엔진구동력으로서 회전하는 모든 공구를 장착시키고 다양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예초기의 효율성을 상승시키며 하나의 기기로서 다수의 기기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고,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야외에서 드릴링, 그라인딩, 커팅작업등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예초기의 헤드 연결부(30)와 조립되는 자루(12) 내부로 샤프트(14)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후방 끝에는 예초기의 동력전달부재(36)와 조립되는 체결부(16)를 두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전방 끝에는 공구(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2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6)는 사각으로 된 동력전달부재(36)의 끝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사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는 콜릿 척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KR2020020004098U 2002-02-08 2002-02-08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KR200276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98U KR200276283Y1 (ko) 2002-02-08 2002-02-08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98U KR200276283Y1 (ko) 2002-02-08 2002-02-08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83Y1 true KR200276283Y1 (ko) 2002-05-21

Family

ID=7311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98U KR200276283Y1 (ko) 2002-02-08 2002-02-08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97B1 (ko) * 2011-04-19 2013-06-27 대한민국 예초기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드릴링장치
KR101735452B1 (ko) 2015-11-26 2017-05-15 (주)빨리퍼 예초기 구동 전달용 복합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97B1 (ko) * 2011-04-19 2013-06-27 대한민국 예초기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드릴링장치
KR101735452B1 (ko) 2015-11-26 2017-05-15 (주)빨리퍼 예초기 구동 전달용 복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093A (en) Multi-purpose landscaping device for use with a hand-held rotary power tool
JP4122484B2 (ja) 草刈り機
CA2437102C (en) Optical alignment system for power tool
AU2013100820A4 (en) Head for a trimmer and attachment therefor
EP2580954B1 (en) Machine with main pole
US9636817B2 (en) Outdoor multi-use hand tool
JP2010041941A (ja) 電池パックが着脱可能な刈払機
US20100122516A1 (en) Adapter for landscape trimmers
KR200276283Y1 (ko) 예초기에 장착되는 회전 공구대
US6874303B1 (en) Grass trimmer drivable by power tool
JPH11510057A (ja) 芝生及び庭園用携帯動力工具
JP2011045266A (ja) 園芸用器具の継手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園芸用器具
WO2021120859A1 (en) Electric cultivator
CN112913450A (zh) 一种手持式多功能除草刨地两用装置
KR100662731B1 (ko) 예초기 및 그의 결합 방법
US20020032966A1 (en) Transmission for trimmer/mower
KR101679806B1 (ko) 예초기를 이용하는 버섯종균 삽입구멍 천공용 드릴장치
JP3128800U (ja) 刈払機
KR102547624B1 (ko) 다목적 양손 예초기
CN207505355U (zh) 用于对土壤进行处理的动力工具
CN106717170B (zh) 一种除草钻头及除草机
KR200224982Y1 (ko) 모터를 이용하는 전동기구
EP1508267B1 (en) Device for cutting vegetation or for other applications, with electric motor and reducing gear
KR20080098780A (ko) 다목적 농기계
KR200191222Y1 (ko) 잔디깎이 보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