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39Y1 - 원주형 밀봉 용기 - Google Patents

원주형 밀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39Y1
KR200276239Y1 KR2020020006922U KR20020006922U KR200276239Y1 KR 200276239 Y1 KR200276239 Y1 KR 200276239Y1 KR 2020020006922 U KR2020020006922 U KR 2020020006922U KR 20020006922 U KR20020006922 U KR 20020006922U KR 200276239 Y1 KR200276239 Y1 KR 200276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ed container
sealed
coffe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주
Original Assignee
넥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솔테크(주) filed Critical 넥솔테크(주)
Priority to KR2020020006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39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상부와 하부 및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원주(Cylinder) 형태를 한 밀봉 용기에 있어서, 원주의 길이와 지름(Length by Diameter)의 비가 0.5(1/2) 이상이며, 산소 불투과성이며 성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며, 기호식품류를 담기에 적당하며, 가열된 물과 수증기의 압력하에서 내용물이 추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용기의 상부는, 내용물의 추출시 수증기와 물을 공급 하는 오리피스를 삽입하여 고압의 수증기를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용기 하부에는 산소 및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코팅된 필터 페이퍼로 밀봉되어 있으며, 그 필터 페이퍼는 일정한 압력이 도달 되면 필터의 섬유사이에 도포된 도막이 파열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되어있으며 필요시 재충전(Refill)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원주형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주형 밀봉 용기{A Cylinder Formed Sealed Container}
커피는 많은 사람들의 기호식품이며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마시고 있다. 커피를 원두로부터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커피의 원두를 분쇄하여 상압에서 커피드립으로 더운물을 중력으로 흘려내려 추출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커피 드립을 통한 방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태리의 고안가가 소위 에스프레소라고 하는 커피를 맛있게 추출방법을 고안하였는데 그 것이 널리 호응을 받아 한국에서도 이 에스프레소 커피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그것은 고압의 증기와 고온의 물로 순간적으로 커피를 용해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그 추출하는 방법은 커피를 고은 분말로 분쇄하여,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폐쇄된 용기(10)에 넣고 고압의 증기와 고온의 물로써 순간적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목적하지 않은 카페인이나 커피유등은 잔존되고, 커피의 향은 진하게 추출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여 카트리지 같은 용기에 커피를 포장하여 간단하게 추출 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미국 특허 US2968560(GB938617)은, 2개의 격실을 형성하는 내부필터를 구비하며, 추출전 그 상부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시스템에 의해서 추출되도록 한 카트리지를 기술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형의 단점은, 상기 면의 두께로 인하여 추출시의 완벽한 청결과 추출의 완료를 용이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비교적 위험한 관통시스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US4136202(CH6O5293)의 카트리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우선적으로 파열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개봉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려면 사용된 재료들이 매우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하므로 카트리지의 가격과 사용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 US5948455의 카트리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물리적으로 파열되는 하부를 갖는다. 이 또한 카트리지의 개봉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려면 사용된 재료들이 매우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재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압력하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형 커피의 분야에서 기호음료의 준비용 카트리지를 사용에는 다수의 이유, 즉 위생, 최적의 커피보존, 사용상의 편리, 얻어진 커피의 우수한 품질관리 및 추출조건의 양호한 재현성이 존재한다. 다수의 가용한 카트리지 중에서, 실제로는 주입된 물의 압력의 영향하에서 개봉되는 밀봉 카트리지만이 상기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카트리지는 그 추출과 개봉 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과 기계가 전문가에게만 운영되며 보편화 되지 않은 주요한 이유는 추출기가 고가이며, 추출 방법이 복잡하다는 데에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 밀봉 용기(10)를 이용한 추출 시스템의 장점은 누구나 에스프레소 커피를 포함한 여러 가지 목적한 추출물을 간단하고 쉽게 추출 할 수 있다는 점과 저렴한 가격에 일회용 혹은 수회용(재활용)의 밀봉 용기(10)를 제작할 수 있고, 그 내용물을 추출하는 기계 역시, 기존의 수백만원 하는 기계와 달리,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에 제작 할 수 있으며, 균일한 커피를 일정한 양으로 포장하여, 동일한 온도와 압력 및 동일한 시간의 조건으로 추출한다면, 항상 일정한 향과 맛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 및 추출 시스템은 가정용, 사무실용, 업소용 및 자동판매기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본 고안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용 밀봉용기의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면 1]은 본 고안의 용기를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도1a는 용기의 기본형을 보여준다. 도1b는 반절두형 원추체(Fruostum)로서 도1a 용기의 변형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1c의 모습은 상부와 몸체의 접합 요철을 보여준다. 도1d는 하부의 배출구와 펄프 페이퍼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면 2]는 본 고안의 용기가 여러 가지로 변형 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몸체와 하부 분리형으로서 각자 적당한 용도에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3] 도3a는, 변형된 상부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오리피스용 구멍과 차단막 및 위치 확인용 홈 등을 보여준다. 도3b는 본 고안의 용기의 상부의 변형된 모습을 보여준다. 상부에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기능성 물체를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3c는 하부의 배출구의 그릴과 필터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원주형 용기(시린더-카트리지) 20 : 상부
21 : 오리피스 삽입구멍 22 :요철
23 : 차단막(Film or Sheet) 25 : 방향 확인 홈
27 : 기능성 물질 보관 공간 분리막 29 : 기능성 물질 보관 공간
30 : 몸체 및 하부 일체형, 30a : 몸체, 30b : 하부
31 : 배출구, 하부의 구멍 33 : 필터 페이퍼
35 : 턱(Lip) 37 : 접착층
상부(20)와 몸체(30) 두 부분, 혹은 상부(20), 하부(30b) 및 몸체(30a) 등 둘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원주(Cylinder) 형태를 한 조립식 밀봉 용기(10)에 있어서, 그 몸체(30) 한쪽 끝에는 턱(35)이 달려있고, 상부(20)의 테두리 지름이 몸체(30)의 턱(35)의 지름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그 상부(20)의 테두리와 몸체(30)의 턱(35)이 함께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용기(10)의 길이와 지름(Length by Diameter)의 비가 0.5(1/2) 이상이며, 성형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 혹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기호식품류를 담기에 적당하며, 그 기호식품은 소정의 추출기로부터 공급된, 가열된 물과 수증기의 압력하에서 내용물이 추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용기(10)의 상부(20)는 여러개의 구멍(21)이 있어, 내용물의 추출시 수증기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삽입하여, 고압의 수증기를 불어 넣을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용기(10) 하부(30b)에는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나 있어 추출액을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고, 그 구멍들은 산소 및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차단막이 코팅된 필터 페이퍼(33)로 밀봉되어 있으며, 그 필터 페이퍼(33)는 일정한 압력이 도달 되면 필터의 섬유사이에 도포된 도막이 파열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되어있으며, 필요시 재충전(Refill)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원주형 밀봉용기(10)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많은 사람들의 기호식품이며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마시고 있다. 커피를 원두로부터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커피의 원두를 분쇄하여 상압에서 커피드립으로 더운물을 중력으로 흘려내려 추출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커피 드립을 통한 방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태리의 고안가가 소위 에스프레소라고 하는 커피를 맛있게 추출방법을 고안하였는데 그 것이 널리 호응을 받아 한국에서도 이 에스프레소 커피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즐기고 있다. 그것은 고압의 증기와 고온의 물로 순간적으로 커피를 용해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그 추출하는 방법은 커피를 고은 분말로 분쇄하여,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폐쇄된 용기(10)에 넣고 고압의 증기와 고온의 물로써 순간적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목적하지 않은 카페인이나 커피유 등은 잔존되고, 커피의 향은 진하게 추출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여 카트리지 같은 용기에 커피를 포장하여 간단하게 추출 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미국 특허 US2968560(GB938617)은, 2개의 격실을 형성하는 내부필터를 구비하며, 추출전그 상부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시스템에 의해서 추출되도록 한 카트리지를 기술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형의 단점은, 상기 면의 두께로 인하여 추출시의 완벽한 청결과 추출의 완료를 용이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비교적 위험한 관통시스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US4136202(CH605293)의 카트리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우선적으로 파열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카트리지의 개봉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려면 사용된 재료들이 매우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하므로 카트리지의 가격과 사용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 US5948455의 카트리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물리적으로 파열되는 하부를 갖는다. 이 또한 카트리지의 개봉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려면 사용된 재료들이 매우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재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압력하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형 커피의 분야에서 기호음료의 준비용 카트리지를 사용에는 다수의 이유, 즉 위생, 최적의 커피보존, 사용상의 편리, 얻어진 커피의 우수한 품질관리 및 추출조건의 양호한 재현성이 존재한다. 다수의 가용한 카트리지 중에서, 실제로는 주입된 물의 압력의 영향하에서 개봉되는 밀봉 카트리지만이 상기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카트리지는 그 추출과 개봉 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과 기계가 전문가에게만 운영되며 보편화 되지 않은 주요한 이유는 추출기가 고가이며, 추출 방법이 복잡하다는 데에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밀봉 용기(10)를 적용한데에는 여러 가지의 이유와 장점이 있다. 그 것을 열거하여 본다면,
첫 번째로 손쉬운 추출이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를 소정의 추출기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시는 누구나 설정된 조건의 스위치만 작동하면 훌륭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다. 이 손쉬운 추출과 저렴한 추출기의 보급은 에스프레소 커피의 대중화에 기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된다.
두 번째는 재현성으로서 누가 추출해도 동일한 맛을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포장시 동일한 커피를 동일하게 계량된 량을 포장 하여 동일한 기계와 조건에서 추출 하는 것으로 달성 될 수 있다..
세 번째는 본 고안의 용기(10)를 재사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인데, 본 고안의 용기는 분리와 세척과 재충진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는 사용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커피를 재충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 특징은 자동판매기나 전문 업소의 대량 이용에 적당하다. 또한 재포장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량으로 공급되는 기성품보다, 본인의 기호에 맞게 선택한 향의 커피로 다량을 포장하여 두었다가 임의의 시간에 추출하여 마실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임의의 목적한 향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인데, 소량사용자 혹은 커피 메니어에게 적합한 기능이다.
네 번째는 본 고안의 용기를 사용함이 더욱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점이다.
재포장의 경우에도, 용기에 개별 포장이 되어 있어, 대기나 산소와 접촉이없어, 원두를 분쇄 후 개봉하여 사용되는 커피 보다 장기 보관에 따른 변질에 대한 관리도 쉽다는 점이다.
다섯 번째는 보관과 관리가 더욱 위생적이란 점이다.
여섯 번째는 본 용기를 통한 추출기계는 요구되는 기능이 간단하여, 기존의 수백만원씩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기 보다 더욱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여 대중성이 커서 저변확대의 가능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주형 밀봉 용기(10)는 제조가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며, 기호음료, 특히 1∼15기압의 압력하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인스탄트 추출 준비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고,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되는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특히, 밀봉된 조립식 용기(10)에 위생적으로 커피를 포장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누구나 쉽게 추출 할 수 있으며, 용기를 재사용 할 수 있으며, 그 추출기를 저렴한 가격에 생산하여 보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주는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는 상부(20)와 하부(30b) 그리고 그 상부(20)와 하부(30b)를 지지해주는 몸체(30a)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20)는 몸체(30)와 단단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각기 대응하는 형태의 요철(22)로 홈이 파져있거나 상호 접착 혹은 용융되어 치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밀봉 용기(10)의 내부를 더욱 기밀(Air Tight)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20)와 하부(30b) 및 몸체(30)의 결합에 하나 이상의 요철(22)을 만들어 줄 수 도 있다.밀봉 용기(10)를 더욱 기밀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20)와 하부(30b) 및 몸체(30)의 사이 혹은 요철(22) 사이에 100℃의 열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과 탄성 및 내마모성을 가진 접착제(37) 혹은 코팅액(37)을 발라줄 수 도 있다. 그 코팅액(37)으로는 라텍스,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아크릴 고무 혹은 이 복합체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이 요철(22)은 가요성과 탄력성을 가진 소재로 성형된 용기를 쉽게 분리 혹은 조립할 수 있게 하여 내용물이 기밀한 상태로 소정의 기간동안 변질 없는 보관이 가능하게 하여준다.
상부(20)의 주변에는 여러개의 구멍(21)이 나 있다. 그 구멍(21)들은 단단한 필름(23)으로 코팅되어 폐쇄되어있으나, 내용물의 추출시 증기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삽입함으로 파열되고, 고압의 증기와 가열수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필름(23)은 공기 투과율이 낮은 것으로 선택하여 부착한다. 공기 투과율이 낮은 필름(23)은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알콜(EVOH) 혹은 폴리비닐리덴크로라이드(PVDC) 등의 필름 혹은 이 복합 필름을 사용 할 수 있다. 용기(10)와 필름(23)을 강하게 접착시키기 위하여 필름(23)의 표면에는 용제성 접착제(37) 혹은 핫멜트(Hot Melt) 접착제(37)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기에 적당하고 좋은 접착제(37)가 시중에 널리 공급되고 있어 접착제(37)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30b)는 몸체(30)와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있거나, 몸체(30a)와 단단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각기 대응하는 형태의 요철(22)로 홈이 파져있거나 상호접착(37) 혹은 용융되어 결합되어있고, 밑면에는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나있다. 그 배출구(31)들은 연화점이 낮은 포리머 메트릭스로 코팅된 필터 페이퍼(33)로 단단하게 접착되어 폐쇄되어있으나, 내용물의 추출시 고열의 수증기와 소정의 압력이 전달되었을 경우, 추출액이 배출구(31) 밑으로 배출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회용이 아닌 수회용의 경우 하부(30b)에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만을 뚫어 놓을 수도 있다.
몸체(30)는 상부(20)와 하부(30b)를 강하게 부착시켜 지지하고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시켜 내용물의 추출시 외부로부터 주입된 고압의 증기를 견딜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은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혹은 각각 나뉘어 질 수 도 있다.
본 고안의 용기는 소정의 압력하에서 추출되도록 설계되고, 기호음료의 추출용 물질을 포장하며, 상부(20)와, 몸체(30), 상부(20)와 같거나 보다 작은 하부(30b)를 갖는 밀봉 원주형 밀봉 용기(10)에 관한 것으로, 이 밀봉 용기(10)는 20기압의 압력을 견뎌낼 수 있으며, 공기 투과율이 낮으며, 연화점이 100℃이상의 소재중 선택하여 구성되면서 하부(30b)는 추출 과정의 개시점에서 추출액의 압력 혹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파열하에서만 파열된다.
본 출원의 추출시스템은 밀봉 용기(10)가 소정의 조건하에서 추출되도록 한다. 상부(20)의 경우, 오리피스(주입기)에 의해서 컵의 상부(20)의 구멍(21)에 부착된 필름(23)을 먼저 파열시키며, 밀봉 용기(10)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데에는 추출용 가열수와 증기압의 영향하에서, 커피액이 추출되고, 그 열과 압력으로 파열되는 하부(30b)에 부착된 필터 페이퍼(33)가 부착되어 있다.
필터 페이퍼(33)에는 낮은 연화점을 가지며 물에 불용성인 포리머 메트릭스의 코팅액이 발려져 있다. 또한 코팅액은 소정의 기간 동안 내용물을 보호 할 수 있도록 산소 투과율이 낮은 포리머로 구성된 코팅액으로 되어 있다. 이 포리머는 검로진, 단마르 검, 셀룰로스계 수지, 젤라틴, 아교, 카제인, 키토산류, 한천 등 천연소재의 포리머 혹은 이의 유도체 등이나, 합성수지의 공중합체 중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이의 혼합물이나 유도체를 이용 할 수 있다. 이 코팅액은 전술한 포리머 메트릭스로 코팅되어있어, 소정의 온도에서 압력이 전달되면 코팅액이 연화되어, 필터 페이퍼(33) 섬유 사이의 코팅액이 파열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게 설계되어 있다. 추출액은 그 파열된 섬유사이를 통과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압력의 증가시 하부(30b)의 필터 페이퍼(33)가 파열되고, 그리고 추출후 밀봉 용기(10)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최소의 커피 그라운드 찌꺼기 또는 포장재료를 남기면서 유지된다. 밀봉 용기(10)는 추출공정시 15∼19기압에 달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필터 페이퍼(33)를 포함한 하부(30b)의 차단막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전달된 증기의 압력으로 파열 시키는 방법 이외에 강제적으로 파열 시키는 방법을 사용 할수 있다. 그것은 추출하기 전에 밀봉 용기(10)의 하부(30b)에 배치한 여러개의 작은 핀으로써 배출구를 뚫어 추출액의 배출구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밀봉 용기(10)에는 기호음료의 준비용 물질이 채워진다. 이 물질은로우스트(Roast) 및 그라운드 커피(Ground Coffee)가 바람직하지만, 또한 차, 가용성 커피, 그라운드 커피와 가용성 커피의 혼합물, 초콜렛, 허브를 포함한 한약재 또는 그이외의 탈수된 식용물질 일 수 있다. 그라운드 커피의 경우, 1컵을 추출하기 위하여 약 5∼10그람을 필요로 한다. 고로 밀봉 용기(10)는 1∼2컵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5∼20 미리리터의 내용적을 필요로 한다.
밀봉 용기(10)의 주요부, 즉 상부(20), 하부(30b) 및 몸체(30)를 성형할 수 있는 소재는 플라스틱,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레진, 고밀도 폴리에틸렌 레진, 폴리프로피렌 레진, 폴리스틸렌 레진, ABS 레진, 폴리카보네이트 레진, 폴리아세탈 레진, 폴리아크릴 레진, 폴리에스터 레진 등의 소재 중에 연화점이 100℃가 넘는 수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알루미늄 주물, 알루미늄 쉬이트 또는 임의의 다층 플라스틱과, 판지/ 알루미늄/ 플라스틱 또는 판지/ 플라스틱, 펄프몰드와 같은 부직포 층과 같은 다층 쉬이트로 100㎛ 이상의 두께로 성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의 상부(20)는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부(20)에는, 일회용의 경우, 도면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 겔을 넣을 수 있는 기능성 공간(29)[Functional Space]을 마련하여 저장기간 동안 밀봉 용기(10) 내의 흡습과 산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실리카 겔을 동봉 할 수 있다. 이 공간(29)과 용기 내부 사이에는 물은 차단되고 산소와 수분은 통과하는 포리머 막(27)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막은 공기 투과율이 높은 포리머 막으로서 널리 상업화되어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용기내에 본 기능을 가진 막의 부착으로 더욱 오랜 기간동안 내용물을 보관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의 하부(30b)는 반드시 평면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의 배출구(31)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30b)의 안쪽에는 소정의 두께를 한 필터 페이퍼(33)가 접착되어 있다. 필터 페이퍼(33)는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 파열되는 낮은 온도의 연화점을 가진 포리머 메트릭스로 구성된 막으로 코팅되어 있다.
그라운드 커피가 유동층 상에서 분산되고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기와 산소의 투과를 막는 코팅이 되어있고, 소정의 압력에서 코팅된 막이 파열 되는 특성을 가진, 걸름(Filtering)을 주기능으로 하는 직포(Woven) 또는 부직포(Non-Woven)섬유가 제공된다. 이러한 층은 용기(10)의 하부(30b)에 배치되어, 접합 또는 용착될 수 있다. 이 필터 페이퍼(33)는 20∼150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필터 페이퍼(33)는 커피 그라운드의 분산과 배출을 줄이기에 바람직한 하부(30b)의 바닥(33)에 위치하도록 하며, 한편 이와 동시에 커피층의 균질한 추출을 보장하도록 한다.
또한 추출액이 배출시 하부(30b)에 있는 필터 페이퍼(33)는 걸름 기능에 더하여 커피내에 존재하는 커피유(Coffee Oil)를 흡착하여 그 불필요물의 배출량을 줄여준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는 준비될 내용물의 용적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내용물은 5∼200ml까지 가변 할 수 있으며, 용기(10)의 직경은 20∼50mm이고 용기의 길이는 10∼100m/m사이에서 결정 될 수 있다. 이 밀봉 용기(10)는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사용 후 세척이 가능하다. 세척한 용기(10)는 내용물을 재충진하고재조립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제 1도a는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의 기본형을 보여준다. 상부(20)와 몸체(30)는 외부의 힘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20)에는 가열수 및 증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구멍(21)이 뚫어져 있다. 그 구멍(21)은 견고한 막(23)(필름 혹은 쉬이트)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이 막(23)은 내용물의 추출시 오리피스(물주입기)에 의해서 먼저 강제로 파열된다. 몸체(30)의 바닥에는 추출액이 배출 될 수 있도록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뚫려져 있고 바닥의 내부측에는 펄프 페이퍼(33)가 부착되어져 있다. 밀봉 용기(10)는 로우스트 커피(Roasted Coffee) 등을 수용하고 상부(20)와 하부(30b) 및 몸체(30)에 의해서 밀폐된다. 제1 도b는 제1도a의 내용과 같으며 하부(30)의 지름(R3)이 상부(20)의 지름(R1, R2)보다 작은 데에 특징이 있다. 절두삼각원추형(Fruostum)으로 성형되어 추출액이 모여져 배출 될 수 있도록 된 점 이외에는 제 1도a에 도시한 것과 일치한다. 하부(30b)에는 추출액이 배출 될 수 있도록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뚫려져 있고, 내부측에는 필터 페이퍼(33)가 부착되어져 있다. 도1c는 상부(20)와 몸체(30a)의 접합부분의 요철(22)을 보여준다.
제 2도a,b,c와 d의 여러 모양의 밀봉 용기(10)는 몸체(30a)와 하부(30b)가 분리된 점 이외에는 제 1도a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다. 분리형의 하부(30b)에는 추출액이 배출 될 수 있도록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뚫려져 있고 하부(30b)의 안쪽에는 필터 페이퍼(33)가 부착되어져 있다. 밀봉 용기(10)는 로우스트 커피 분말(Roasted Coffee Ground) 등을 수용하고 밀폐된다. 제 2도의 각기 다른 디자인의 밀봉 용기(10)들은 각기 그 모양에 적합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는 분리하여 세척 후, 재조립, 재충전 및 재사용에 적합하다. 성형시 사용된 재료는 제 1도의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도b의 밀봉 용기(10)는 상부(20)에 기능성 물질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공간(29)을 마련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공간(29)은 물은 통과하지 못하나 산소 및 습기는 통과할 수 있는 기능성 차폐막(27)으로 밀봉 된다. 이 공간(29)에는 특히 산소 및 습기 흡수제인 실리카겔 등을 담아 놓을 수가 있다. 제 3도a의 모습은 제 3도b 용기(10)의 위에서 보이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위에는 가열 온수와 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오리피스를 삽입 할 수 있는 구멍(21)과 그 구멍(21)을 차단시키는 차단막(23)과 밀봉 용기(10)에 위치한 오리피스 삽입구(21)의 방향을 확인 할 수 있는 방향표시용 확인 홈(25) 등을 보여준다. 도3c의 모습은 하부(30b)의 배출용 구멍(31)의 그릴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3d의 모습은 요철(22)과 스토파(22)의 모습을 확대한 것이다. 성형된 재료는 제 1 도의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는 소정의 압력 조건 혹은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만 개봉되는 형태이고. 사용후 분리가 가능하여, 분리후 세척, 재충진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추출기의 설계, 밀봉 용기(10)의 제조 및 사용의 편리성에 있어서 종래의 수동식 추출기 및 카트리지형 추출방식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며, 동일한 맛의 구현이 가능하고 보다 경제적이다.
이 재조립이 가능한 밀봉 용기(10)를 이용한 추출 시스템의 장점은 누구나 에스프레소 커피를 포함한 여러 가지 목적한 추출물을 간단하고 쉽게 추출 할 수 있다는 점과 저렴한 가격에 일회용 혹은 수회용(재활용)의 밀봉 용기(10)를 제작할 수 있고, 그 내용물을 추출하는 기계 역시, 기존의 수백만원 하는 기계와 달리,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에 제작 할 수 있으며, 균일한 커피를 일정하게 계량된 양으로 포장하여, 동일한 온도와 압력 및 동일한 시간의 조건으로 추출한다면, 항상 일정한 향과 맛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밀봉 용기(10) 및 추출 시스템은 가정용, 사무실용, 업소용 및 자동판매기에서도 응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상부(20)와 몸체(30) 두 부분, 혹은 상부(20), 하부(30b) 및 몸체(30a) 등 둘 이상의 부분 중 어느 한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분할과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원주형 밀봉용기(10)에 있어서, 기호식품류를 담기에 적당하며, 그 기호식품은 소정의 추출기로부터 가열된 물과 수증기의 압력하에서 내용물이 추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밀봉용기(10)의 상부(20)에 몇 개의 구멍(21)을 내어 필름이나 쉬이트(23)로 폐쇄시키고, 내용물의 추출시, 그 구멍(21)에 오리피스를 삽입하여 쉬이트(23)를 파열함으로서 고압의 수증기와 가열수를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밀봉 용기(10)의 하부(30b)에는 여러개의 작은 직경의 배출구(31)가 나 있어 추출액을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고, 그 배출구(31)들은 산소 및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차단막이 코팅된 필터 페이퍼(33)로 밀봉되어 있으며, 그 필터 페이퍼(33)는 소정 온도의 압력이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필터 페이퍼(33)의 섬유사이에 도포된 도막이 파열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2. 제1항의 용기(10) 재질에 있어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부직포, 펄프 몰드, 플라스틱/알루미늄 복합체, 플라스틱/부직포 복합체, 플라스틱/펄프몰드 복합체, 다층 쉬이트중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선택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3. 제1항의 용기(10) 재질에 있어서, 용기(10) 벽면의 두께가 최소한 100∼2,000 미크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4.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상부(20)와 몸체(30) 혹은 몸체(30a) 및 하부(30b)가 따로 분리되도록 하여, 세척 및 재충진, 재조립 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5.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상부(20)와 몸체(30) 혹은 몸체(30a) 및 하부(30b)가 따로 분리되도록 된 용기(10)의 접합 부위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22)이 부착되어 내부가 기밀하며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6.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용기(10)의 내부에 기능성 공간(29)을 마련하고, 그 공간(29)에 실리카 겔 등 기능성 물질을 넣어서 수분과 산소를 흡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7.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오리피스 삽입구(21)의 방향을 확인 할수 있는 방향표시용 확인 홈(25)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8.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용기(10)의 직경은 20∼50mm 이고 용기의 길이는 10∼100m/m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9.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용기(10)가 20기압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10.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용기(10)의 몸체(30)에 턱(35)이 달려 있어, 그 턱(35)의 지름(R1)이 몸체(30)의 지름(R2)보다 크고, 상부(20)의 지름(R1)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11. 제1항의 용기(10)에 있어서, 몸체(30a)의 지름(R2)이 하부(30b)의 지름(R3)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KR2020020006922U 2002-03-08 2002-03-08 원주형 밀봉 용기 KR200276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22U KR200276239Y1 (ko) 2002-03-08 2002-03-08 원주형 밀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22U KR200276239Y1 (ko) 2002-03-08 2002-03-08 원주형 밀봉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73A Division KR100491203B1 (ko) 2002-02-15 2002-02-15 원주형 밀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39Y1 true KR200276239Y1 (ko) 2002-05-18

Family

ID=730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22U KR200276239Y1 (ko) 2002-03-08 2002-03-08 원주형 밀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913A (ko) * 2002-06-01 2002-07-12 김정한 개별 낱개 포장된 원두커피용 무인 자동판매기
KR100768076B1 (ko) * 2006-10-23 2007-10-17 김해광 먼지떨이용 집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913A (ko) * 2002-06-01 2002-07-12 김정한 개별 낱개 포장된 원두커피용 무인 자동판매기
KR100768076B1 (ko) * 2006-10-23 2007-10-17 김해광 먼지떨이용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744B1 (ko) 액상식품 추출용 밀봉 용기
JP5595921B2 (ja) 容器
US8178139B2 (en) Spherical capsule for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of the capsule
US6740345B2 (en) Beverage making cartridge
EP1966060B1 (en)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CN100569157C (zh) 用于从胶囊分配具有不同泡沫水平的饮料的系统和方法
JP4338097B2 (ja) 注入された飲料を調製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カプセル
CN103327856B (zh) 通过离心作用制备饮料的胶囊和方法
KR101073728B1 (ko) 음료의 조제를 위한 카트리지 및 방법
US6777007B2 (en) Pod and method for making fluid comestible
RU2735591C2 (ru) Система и капсул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WO2003082065A1 (en) Sealed container for extracting liquid food and extractor of the sealed container
EP0615921A1 (en) Rigid cartridge for coffee or the like
US20110027426A1 (en) Product tablet and related pack
MX2015003161A (es) Cartuchos, sistemas y metodos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WO2005051147A1 (en) Disposable coffee maker
EP2694403A1 (en) Capsule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CN116529178A (zh) 用于制备饮料的胶囊和系统
KR20210092741A (ko) 오버사이즈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 제조용 캡슐
KR200276239Y1 (ko) 원주형 밀봉 용기
KR100491203B1 (ko) 원주형 밀봉 용기
KR200293112Y1 (ko) 액상식품 추출용 밀봉 용기
KR100456809B1 (ko) 압력유체를 이용한 액상식품 추출용 기능성 밀봉용기
KR100510403B1 (ko) 측면에 두려빠진 홈을 가진 밀봉용기
KR100445730B1 (ko) 수용성 음료나 식품이 밀봉된 용기를 이용한 추출방법 및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