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18Y1 -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18Y1
KR200276118Y1 KR2020020002637U KR20020002637U KR200276118Y1 KR 200276118 Y1 KR200276118 Y1 KR 200276118Y1 KR 2020020002637 U KR2020020002637 U KR 2020020002637U KR 20020002637 U KR20020002637 U KR 20020002637U KR 200276118 Y1 KR200276118 Y1 KR 200276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batteries
electronic produc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쑤 왕
Original Assignee
웬-쑤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쑤 왕 filed Critical 웬-쑤 왕
Priority to KR2020020002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18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 다수개의 전지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자제품의 홈으로 끼워 넣어지는 다수개의 전지들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전지중 한 전지가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지로 사용되어진다. 주전지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면, 다른 전지가 주전지로 대체되어 사용된다. 이로써, 전력은 중단없이 공급할 수 있게된다. 더욱이, 배터리는 전자제품 외부로 분리될 수 있어 배터리 교체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Standby Batery of an Electric Device}
본 고안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에 추가되는 전자제품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제품은 전력공급을 위한 주전지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주전지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 바로 재충전될 수 없다는 결점을 지니고 있다. 비록 상기 전자제품이 보조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하더라고, 사용자는 무의식적으로 보조배터리 소지를 종종 잊어버리게 된다. 비록 보조배터리가 준비되어있더라도, 사용자는 보조배터리를 미소지하여, 주전지의 전력이 모두 소모하였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수 없음을 깨 닫게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전지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면, 다른 전지가 주전지로 대체되어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보조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 및 5의 보조배터리 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조립사시도
도 10 내지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4 내지 1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응용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보조배터리 전력충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충전회로도
도 21은 보 고안의 보조 배터리 충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2는 도 21의 전력충전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23은 보 고안의 배터리 승압 회로도
도 24는 본 고안의 배터리의 감압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휴대폰 101 : 상부 버클링 홈
102 : 하부 버클링 홈 103 : 충전홈
11 : 홈 12 : 전도성 조인트
20 : 보조배터리 21 : 하우징
22, 22', 23, 23' : 전지 211 : 상부버클
212 : 하부 버클 213 : 홈
214 : 프레임 221, 231 : 금속 터미널
241, 242 : 금속편
본 고안의 전자제품은 휴대폰, 무선 무전기(intercoms),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회중전등, 디지털 카메라, 충전기 등을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휴대폰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3은 휴대폰과 보조배터리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폰(10)의 후면에는 보조배터리(20)를 동일한 장소에 장착할 수 있도록 홈(11)을 갖는다. 상기 보조배터리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내부에 고정되어있는 다수개의 전지(22, 23)로 구성된다. 하우징(21)의 상부 끝단에는 상부 버클(211)을 갖고, 하우징 하부 끝단에는 하부 버클(212) 갖는다. 상기 상부 버클은 홈(11)의 상부 끝단에 있는 상부 버클링 홈과 맞물려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버클은 홈(11)의 하부 끝단에서 하부 버클링 홈(102)과 맞물려질 수 있다. 하우징(21) 내부에는 전지(22, 23)를 넣을 수 있도록 안이 움푹 패인 홈(213)을 갖는다. 각각의 전지 상부 끝단에는 두 개의 금속 조인트(221, 231)를 갖는다. 상기 금속 조인트가 홈(11)의 전도성 조인트(12)와 일직선으로 맞물리게되면, 휴대폰(10)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2는 휴대폰(10)이 보조배터리로 조립되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전지(22)가 주전지일 경우에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었다면 전지(22, 23)를 서로 교환하면 된다. 그러면, 보조배터리(20)는 전력 공급을 위해 주전지로 사용된다. 상기 전지들이 모두 교환된 후에, 주배터리(22)로의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보조배터리(20) 전력이 모두 소모되면, 두 개의 전지는 서로 교환된다.
도 4에서는 보조배터리(20)와 위에 언급된 배터리와의 다른점인 하우징(21) 내부 표면에 설치되어있는 회로기판(24)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로기판(24)은 네 개의 금속편(241, 242)을 갖고, 상기 금속편은 두 세트로 나뉘어져 두 개의 금속조인트(221, 231)와 접촉된다. 두 개의 금속편(243)은 휴대폰(10)의 전도성 조인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우징(21) 상부 끝단에 노출된다 (도 5 참고). 도 5에서는, 스위치(25)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21) 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25)를 통하여 하나의 전지가 선택된다. 상기 스위치 회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보조배터리(20)의 두 개의 전지(22, 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두 전지(22, 23)의 금속터미널(221, 231) 위치는 동일한 위치가 아니다.
도 8에서는 보조배터리(20) 내부에 있는 전지(23)의 금속터미널(231)이 휴대폰(10)의 전도성 조인트(12)에 접촉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배터리(23)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20)는 180°회전하여, 휴대폰(10) 후면에 장착된다. 이렇게 되면, 휴대폰(10)의 전력은 전지(22)로부터 얻게된다.
다음으로, 배터리(20)의 전지 수는 2개보다 많을 수도 있다. 그 예로써, 네개의 전지(22, 23, 22', 23')를 사용하는 하우징(21)을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다.
배터리(20)은 종 또는 횡으로 배열되어질 수도 있다. 그 예로써, 도 11에서는 횡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전지(22, 23)를 도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21)은 네 개의 밀봉 면에 홈 모양으로 만들어진 상자를 갖는다. 두 개의 측면 프래임(214)은 전지들이 하우징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0) 전지(22, 23)는 하우징(21) 내부에 밀봉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다만, 하우징(21) 표면 위로 금속 터미널(221, 231)만이 노출된다.
더 나아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0)는 두 개의 전지(22,23)를 갖으며, 상기 전지들은 하우징(21)없이 휴대폰(10)에 사용된다. 또한, 두 개의 전지(22, 23)의 상·하부 버클링 블록(22, 223, 232, 102)에 맞물려질 수 있도록, 휴대폰(10)은 상·하부 버클링 홈(101, 102)을 반드시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유사하게, 보조배터리는 다른 휴대용 제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도 15에서는 보조배터리(20)와 무전기(3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전지(22, 23)는 무전기의 삽입홈으로 끼울 수 있다.
도 16에서는 보조배터리(20)를 노트북 컴퓨터(40) 삽입홈(41)으로 끼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7에서는 보조배터리(20)를 팸 탑 프로세서(50) 삽입홈(41)으로 끼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8에서는 보조배터리(20)를 충전기(60) 삽입홈(61)으로 끼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회전전등, 디지털 카메라, 그 외 휴대용 제품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9에서는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20)를 도시하고 있다. 충전 회로(도 20 참조)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있는 두 개의 전지(22, 23) 사이에 설치되어, 금속성 조인트(221, 231)는 서로 다른 끝단에 설치된다. 상기 회로에서, 다이오드(D1)는 두 개의 배터리 설치공간을 통과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전지(22)의 전력은 전지(23)로 흐르는 반면, 전지(23)의 전력은 전지(22)로 흐를 수 없다.
도 21에서는 충전 가능한 보조 배터리(20)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폰(10)에 부착한 후, 휴대폰(10) 하단 면 내부에 있는 충전 홈(103) 측면에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40)에 눌러 충전 헤드(30)를 충전함으로써, 두 개의 전지(22, 2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로써, 두 개의 전지(22, 23)는 동시에 충전된다. 상기 회로는 도 22에 도시하고 있다.
다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 회로가 배터리(20)에 설치된다. 배터리(22)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 스위치(S1)를 누르기만 하면, 전지(23)의 전압이 전지(22)에 공급되어, 전지(22)가 부스트 전압으로 끊임없이 작동하도록 해준다.
도 24에서는 상기 회로 내부에 장착된 감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저항(R)이 감압 회로 내부에 설치되므로, 출력 전압이 동작 전압보다 낮을 경우, 휴대폰은 중단될 것이다. 이 때, 스위치 S2를 누르면 배터리 출력은 감압없이 전력 공급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전압공급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주전지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면, 다른 전지를 주전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전자제품의 사용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전지; 두 개의 금속 전도성 조인트를 갖는 각각의 상기 전지; 두 개의 전도성 조인트를 갖는 전자제품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두 개의 전도성 조인트와 둘 중 어느 전지가 접촉함으로써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지는 하우징 내로 수용되어, 금속 전도성 조인트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하우징 후면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4. 전자제품의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지; 두 개의 금속 전도성 조인트를 갖는 각각의 상기 전지; 두 개의 전도성 조인트를 갖는 전자제품으로 구성하여 전자제품의 두 개의 전도성 조인트와 둘 중 어느 전지가 접촉함으로써 전력이 공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하우징 후면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한 배터리 극성의 위치가 다른 하나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KR2020020002637U 2002-01-28 2002-01-28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KR200276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37U KR200276118Y1 (ko) 2002-01-28 2002-01-28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37U KR200276118Y1 (ko) 2002-01-28 2002-01-28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18Y1 true KR200276118Y1 (ko) 2002-05-21

Family

ID=7311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37U KR200276118Y1 (ko) 2002-01-28 2002-01-28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1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51B1 (ko) 2004-02-24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듀얼 셀 배터리 구조를 갖는 단말기
KR100844321B1 (ko) * 2005-06-18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1765137B1 (ko) * 2014-10-07 201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이용한 개인 휴대 장치의 보조 배터리
WO2020153727A1 (ko) * 2019-01-21 2020-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2009681B2 (en) 2019-01-21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comprising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charg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51B1 (ko) 2004-02-24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듀얼 셀 배터리 구조를 갖는 단말기
KR100844321B1 (ko) * 2005-06-18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1765137B1 (ko) * 2014-10-07 201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이용한 개인 휴대 장치의 보조 배터리
WO2020153727A1 (ko) * 2019-01-21 2020-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2009681B2 (en) 2019-01-21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comprising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charg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542B1 (en) Mobile charger
US20050024011A1 (en) Charger for cellular phone
KR20040014442A (ko) 휴대폰용 백업 밧데리
US7379296B1 (en) Notebook computer with replaceable battery holder module
JP2008112654A (ja) 二次電池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KR200276118Y1 (ko) 전자제품의 보조배터리
CN103094936A (zh) 卡片式无线定位终端充电系统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US8877368B2 (en) Thin battery
CN211830260U (zh) 一种基于级联模式的变容移动电源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US9059457B2 (en) Thin battery
US20020195992A1 (en) Rechargeable battery
CN212518486U (zh) 一种模块化移动电源
GB2387067A (en) A standby battery for an electric, portable device which can be easily transported with the device and supplies uninterrupted power when a main cell exhausts
CN210297281U (zh) 一种充电宝
CN212062819U (zh) 一种充电宝扩展插口
CN214411596U (zh) 一种可扩大容量的储能电源装置
CN113271809B (zh) 电力屏幕保护装置
CN203014445U (zh) 移动电源
CN211127213U (zh) 一种卡扣式充电背夹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JP3134484U (ja) 多用途充電ソケットを備えた充電器
JP3143535U (ja) 携帯式電子製品の二次電池
US2014018520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