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39Y1 - 음식물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음식물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39Y1
KR200275939Y1 KR2020020003250U KR20020003250U KR200275939Y1 KR 200275939 Y1 KR200275939 Y1 KR 200275939Y1 KR 2020020003250 U KR2020020003250 U KR 2020020003250U KR 20020003250 U KR20020003250 U KR 20020003250U KR 200275939 Y1 KR200275939 Y1 KR 200275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oading box
vehicle
waste colle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균
Original Assignee
김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균 filed Critical 김문균
Priority to KR2020020003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39Y1/ko

Links

Landscapes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함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 배출판을 설치하여 적재함를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적재함의 측면 앞쪽에 보조투입구를 설치하여 상부의 투입도어가 고장일 경우에 보조투입구로 투입할 수 있으며, 수시로 물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적재함(10)의 내부바닥 양측에 전후로 가이드레일(36)을 설치하고, 상부는 수직이고 하부는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적재함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배출판(30)과, 상기 적재함의 내측 전면하부와 상기 배출판의 하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판을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33)와, 차량의 적재함 후측의 배출도어(17) 하부에 설치된 오수탱크(40)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 앞쪽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키는 보조투입구(20)와, 상기 적재함의 측부에 설치된 물탱크(41)들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저렴한 가격에 제조할 수 있고, 또 음식물쓰레기를 한 번에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장치의 고장이나 규격용기가 없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지 못할 때는 보조투입구를 통해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설된 물탱크를 통해 차량의 내외 부착된 오물 수시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수거차량{The food garbage vehicl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 배출판을 설치하여 적재함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재함의 측면 앞쪽에 보조투입구를 설치하여 상부의 투입도어가 고장일 경우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킬 규격용기가 없을 때 보조투입구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며, 수시로 물청소를 하여 항상 깨끗한 차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분리 수거를 제도화한 요즘 쓰레기의 양이 많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량의 증가에 의한 수입대체효과 및 공해방지효과를 동시에 얻고 있다. 그러나 대형 음식점과 같은 곳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여전히 그 처리에 대한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가 그대로 버려질 경우 많은 시일이 걸려야 자연 분해되고 또 분해과정에서 많은 가스와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로인한 많은 해충이 발생 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매립시킬 때에는 침출수에 의해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요즘은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발효시켜 사료나 거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어야 한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무겁기 때문에 이를 적재함 까지 들어올리기가 힘이들고, 또 음식물쓰레기를 탑재하기 위해 들어올릴 때 함유된 수분이 작업자에게 떨어지게 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수거작업이 매우 난해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그로인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를 기피하게 되어 음식물쓰레기가 그대로 방치되거나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게 되어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공해가 날로 증가하게 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요즘은 음식물쓰레기차량을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통해 음식물을 수거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은 후측에 덤프장치가 설치된 적재함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적재함의 측면 앞쪽에는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팅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 및 실린더에 의해 투입구를 자동개폐하는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적재부 측면에서 상부로 음식물쓰레기를 상차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함의 후측에는 실린더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배출도어가 설치되어 적재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배출도어를 개방시키고 덤프장치를 작동시켜 적재함의 앞쪽을 들어올리므로써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은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적재함의 앞쪽을 들어올려 배출시키는 덤프방식이기 때문에 써브 프레임 및대형 실린더를 사용해야하므로 적재함의 제작비가 많이 들고, 또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에 고르게 적재하지 못하여 적재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짜낼 수 없기 때문에 수분이 차량의 외부로 새게되고 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에서는 별도의 수분제거장치를 설치해야하는 폐단을 낳게 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로 투입시킬 때 80ℓ,120ℓ,240ℓ의 규격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규격용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상차시킬 수 없으며, 특히 리프팅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이 수거작업을 하다보면 음식물쓰레기가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어 차량이 매우 지저분해지게 되고, 또 음식물쓰레기 배출후 차량의 내부에 음식물이 내벽에 부착되게 되는데, 이를 곧바로 제거해주지 않으면 부착된 음식물쓰레기가 굳어 나중에는 잘 떨어지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이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차량의 적재함 내부 앞쪽에 전후로 작동하는 배출판을 설치하여 적재함을 덤프시키지 않고도 음식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의 측면 앞쪽에 보조투입구를 설치하여 리프팅장치의 고장이나 규격용기가 없을 때 보조투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의 하부에 별도의 물탱크를 설치하여 이 물탱크의 물로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시로 제거토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단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배출판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적재함 12 - 리프팅장치 14 - 투입구
15 - 개폐도어 16 - 실린더 17 - 배출도어
18 - 실린더 20 - 보조투입구 21 - 개폐도어
24 - 고정장치
30 - 배출판 31 - 경사부 32 - "ㄷ"형 찬넬
33 - 유압실린더 34 - 로드 35 - 롤러
36 - 가이드레일 40 - 오수탱크 41 - 물탱크
43 - 호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은,
적재함의 측면 앞쪽에는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팅장치와, 상면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 및 실린더에 의해 투입구를 자동개폐하는 개폐도어가 설치되고, 적재함의 후측에는 실린더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배출도어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내부바닥에 전후로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부는 수직이고 하부는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에 안내되어 적재함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배출판과; 상기 적재함의 내측 전면하부와 상기 배출판의 하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판을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 앞쪽에는 리프팅장치(12)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리프팅장치(12)에 의해 상차된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함(10)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입구(14)에는 실린더(16)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개폐도어(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함(10)의 후측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도어(17)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장치(12)가 설치된 반대측면 즉 운전수대 후측에 위치한 적재함(10)측면에는 보조투입구(20)가 설치되고 이 보조투입구(20)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도어(21)는 여닫이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닫이식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개폐도어(21)와 적재함(10)의 사이에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이 개재되어 밀봉력을 향상시켰다. 또 개폐도어에는 고정장치(24)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도어(2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의 내부 전방에는 적재함(10)의 넓이 및 높이와 같은 면적의 배출판(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판(30)은 상부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최전방으로 초기상태에서는 상면의 투입구(14)전방에 위치하고, 하부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부(31)를 이룬다. 그리고 양측 및 상하단부에는 도 4a,4b에서와 같이 배출판(30)을 보강하기 위해 또는 적재함(10)내부를 전후진 할 때 적재함(10)의 내측면에 안내 및 지지를 받기 위해 "ㄷ"형 찬넬(32)을 결합시켰고, 이 "ㄷ"형 찬넬(32)이 적재함(10) 내측면과 밀착된다. 또한 적재함(10)의 내부 전면하부에는 유압실린더(3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유압실린더(33)의 로드(34)선단은 배출판(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유압실린더(33)의 방향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유압실린더(33)의 길이는 초기상태의 배출판(30)을 적재함(10)의 후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배출판(30)의 하부가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로드(34)가 연결된 부위가 초기상태에서 대략 적재함(10)의 중앙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 배출판(30)의 경사부(31) 선단에는 양측 하부로 롤러(35)가 설치되어 있고, 적재함(10) 내부 바닥면 양측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36)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판(30)이 전후진할 때 가이드레일(36)을 타고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10) 하부 및 후측에 설치된 배출도어(17)의 하부에 오수탱크(40)를 설치하고 적재함(10)의 바닥 중앙부 및 전후부에 대략 12개의 구멍군으로 이루어진 구멍을 천공하여 적재함(10)내부에서 발생된 오수가 오수탱크(40)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또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 앞쪽 하부에 물탱크(41)를 설치하였다. 이 물탱크(41)에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이 물탱크(41)의 상부에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호스(4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시로 차량을 청소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물탱크(41)는 도 6,도 7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서 상부에 벨브(411a)(413a)가 각각 설치된 물유입구(411) 및 에어입구(413)가 있고, 하부 또한 벨브(412a)가 설치된 물배출구(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유량을 알 수 있는 유량계(4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량계는 투명한 고무튜브를 측면부에 상하 수직으로 관통연결하여 투명한 고무튜브에 표시된 수위를 측정하여 물탱크내(41)의 유량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운반하는 적재함(40)은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식물쓰레기에는 많은 염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함(10)의 내부와 배출판(30) 등의 각 장치들이 일반금속으로 되어 있으면 쉽게 부식되어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녹이 슬지않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능하다면 가볍고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작동상태도이다.
차량에 설치된 리프팅장치(12)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상차시켜 상면에 설치된 투입구(14)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시키면 적재함(10)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적재된다. 음식물쓰레기가 어느정도 적재되면 배출판(30)의 유압실린더(33)가 작동하여 배출판(30)을 전진시킨다. 배출판(30)이 전진하면 적재함(10)의 배출도어(17)와 적재함(10)사이의 음식물쓰레기는 압착되어 탈수되게 되며 탈수된 오수는 바닥의 구멍을 통하여 적재함(10) 하부 및 후측에 설치된 오수탱크(40)로 저장된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유압실린더(33)를 후퇴시켜 배출판(3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 다시 음식물쓰레기를 상차하여 투입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차곡차곡 적재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은 탈수시켜 오수탱크(40)에 저장한다.
만일 리프팅장치(12)가 없거나 규격용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음식물쓰레기를 상차시켜 투입시킬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하면, 이때에는 측면에 형성된 개폐도어(21)를 개방시켜 이 보조투입구(20)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수거작업이 완료되면 매립지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를 만드는 공장 또는 발효처리장 등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고, 오수탱크(40)의 오수 또한 별도의 처리장치로 배수시킨다. 이때에는 적재함(10)의 배출도어(17)를 개방시키고 유압실린더(33)를 작동하여 배출판(30)을 적재함(10)의 후측으로 밀어 내부에 적재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배출시키면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들이 비교적 완벽하게 배출되게 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 또는 수거후에 음식물쓰레기가 차량의 내,외부에 묻거나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호스(43)를 들고 물펌프를 작동시켜 물탱크(41)의 물을 분사시키므로 부착된 음식물쓰레기들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항상 깔끔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는 배출판이 설치되어 종래와 같이 적재함을 덤프시켜 배출시키지 않고 적재함을 수평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배출하도록 된 구조이므로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 음식물쓰레기를 한 번에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등 배출효과 또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측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된 보조투입구가 설치되어 있어 리프팅장치의 고장이나 규격용기가 없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지 못할 때 이 보조투입구를 통해 투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중에 차량의 외부에 음식물쓰레기 및 오물이 부착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킨 후 적재함에 음식물쓰레기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물탱크의 물로서 수시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 또는 오물이 굳어 잘떨어지지 않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을 항상 끼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적재함(10)의 측면 앞쪽에는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팅장치(12)와, 상면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4) 및 실린더(16)에 의해 투입구(14)를 자동개폐하는 개폐도어(15)가 설치되고, 적재함(10)의 후측에는 실린더(18)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배출도어(17)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적재함(10)의 내부바닥 양측에 전후로 가이드레일(36)을 설치하고, 상부는 수직이고 하부는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6)에 안내되어 적재함(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배출판(30)과,
    상기 적재함(10)의 내측 전면하부와 상기 배출판(30)의 하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판(30)을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재함(10) 하부와 후측에 설치된 배출도어(17)의 하부에 오수탱크(40)를 설치하고, 적재함(10)의 바닥에 오수탱크(40)로 오수가 유입되는 구멍을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 앞쪽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키는 보조투입구(20) 및 개폐도어(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이면서 차량의 측부에 물탱크(41) 및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고 이 물탱크(41)의 상부에 물을 분사하는 호스(43)가 연결되어 수시로 차량을 청소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2020020003250U 2002-02-01 2002-02-01 음식물 수거차량 KR200275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50U KR200275939Y1 (ko) 2002-02-01 2002-02-01 음식물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50U KR200275939Y1 (ko) 2002-02-01 2002-02-01 음식물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939Y1 true KR200275939Y1 (ko) 2002-05-18

Family

ID=7307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250U KR200275939Y1 (ko) 2002-02-01 2002-02-01 음식물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42B1 (ko) 2007-11-20 2008-03-17 용 도 배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압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42B1 (ko) 2007-11-20 2008-03-17 용 도 배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압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6167A (en) Portable system for dewatering contents of sanitary sewer traps
CN1974349B (zh) 带有污水箱的垃圾车转运厢
CN103010624A (zh) 垃圾车转运厢
KR200180304Y1 (ko) 음식물 수거차량
KR200275939Y1 (ko) 음식물 수거차량
CN102923424A (zh) 垃圾车车厢
KR100341103B1 (ko) 슬러지 처리장치
CN211365784U (zh) 一种用于湿垃圾的地埋式水平垃圾压缩站
KR102036528B1 (ko) 침출수 유출 방지형 적재함
KR100294949B1 (ko) 음식물쓰레기수거차량
KR100457491B1 (ko) 다목적 음식물쓰레기 수거차
CN102874525A (zh) 垃圾车车厢
CN102874526A (zh) 垃圾车车厢
KR200289100Y1 (ko) 일체형 물받이가 구비된 슬러지 케이크 저장용 케이크 호퍼
CN211140418U (zh) 一种便于垃圾污水处理的垃圾分类房
KR100370712B1 (ko)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유출 방지장치
CN215709003U (zh) 污水处理防堵塞的垃圾车
KR100273467B1 (ko) 사전 압축식 재활용쓰레기 수거차량
KR100831066B1 (ko) 음식물쓰레기수거차량
KR101984013B1 (ko) 슬러지 케이크 저장호퍼용 슬러지 케이크 배출 가이드장치
CN102862770A (zh) 垃圾车车厢
CN102874523A (zh) 垃圾车车厢
CN205873008U (zh) 一种垃圾脱水及污水臭气防治系统
CN102887313A (zh) 垃圾车车厢
KR200213922Y1 (ko)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유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