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11Y1 -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911Y1 KR200275911Y1 KR2020010031164U KR20010031164U KR200275911Y1 KR 200275911 Y1 KR200275911 Y1 KR 200275911Y1 KR 2020010031164 U KR2020010031164 U KR 2020010031164U KR 20010031164 U KR20010031164 U KR 20010031164U KR 200275911 Y1 KR200275911 Y1 KR 2002759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air
- opening
- combustion chamber
- air inlet
- Prior art date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연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연소 장치는 연소실, 노즐 및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을 갖는다.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은 연소실내에 분무된 연료에 연소용 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확실한 착화와 화염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압입 통풍기, 노즐이 설치된 연소실 벽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압입 통풍기를 통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지는 밀폐된 윈드 박스, 노즐의 외측에 설치되는 그리고 복수의 제1통기공들이 천공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분할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케이싱 및 제 1 통기공들을 통해 케이싱 각각의 분할 공간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1차 공기조절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소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유해성 각종 물질의 다량 배출로 인한 지구의 환경오염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고 이러한 공해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산업용 보일러는 화로로부터 다량의 질소산화물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연소 과정중에 형성되는 질소산화물은 광학적 스모그를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현재는 이의 배출량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연소에 의해 화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 있어서 완전연소는 상기 산업용 보일러의 기본적인 요건으로 되었다. 이에 덧붙여 배기 가스속의 미연분의 종래 최대함유량의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 질소산화물을 줄일 수 있는지가 산업용 보일러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산업용 보일러 화로내에서 버너의 연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질소산화물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기술로서는, 배기가스를 연소용 공기에 혼합하여 화염부의 온도를 저하시켜 그에 따른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배가스 재순환 방식과, 주연소 영역에서 발생된 질소산화물을 재연소 영역에 공급된 연료와 공기를 이용하여 N2화하는 재연소 방식 그리고 화로내 다단연소 방식 등이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첫 번째 방식은, 배기 덕트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팬에 의해 뽑아내 순환 덕트를 통하여 연소용 공기에 혼입하는 것으로, 불활성 가스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용량이 증가해 화염온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두 번 째 방식은 연소실의 거대화 및 부수 설치에 따른 복잡함뿐만 아니라, 설비투자비용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버너 내부의 공기 역학적인 고려에 의한 구조변경만으로 부가적이 구조 없이 질소산화물을 저감할 수있는 공기 역학적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조절하여 연소시 질소와 산소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가스의 생성을 절감시켜주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소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 장치에서의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연소실
120 : 노즐
122a : 제 1 공급라인
122b : 제 2 공급라인
132 : 압입 송풍기
134 : 윈드 박스
136 : 케이싱
136a,136b : 파티션 플레이트
138a : 제 1 분할 공간
138b : 제 2 분할 공간
138c : 제 3 분할 공간
139 : 제 1 통기공
140 : 제 1 공기 유입관
142 : 제 2 공기 유입관
144 : 제 3 공기 유입관
160 : 개폐부재
160a,160b,160c : 제 1 내지 제 3 개폐링
166 : 작동자
168 : 회전축
169 : 유압모터
172 : 슬라이드 댐퍼
174 : 조작바
176 : 핸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연소 장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내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과; 상기 연소실내에 분무된 연료에 연소용 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확실한 착화와 화염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공기 흐름 조절이 가능한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은 압입 통풍기와; 상기 노즐이 설치된 연소실 벽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압입 통풍기를 통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지는 밀폐된 윈드 박스와; 상기 노즐의 외측에 설치되는 그리고 복수의 제1통기공들이 천공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분할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케이싱 및; 상기 제 1 통기공들을 통해 상기 케이싱 각각의 분할 공간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1차 공기조절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1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제 1 통기공들과 대응되는 제 2 통기공들이 천공 형성된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제 1 통기공들의 개폐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자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 1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개폐링과; 상기 제 2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2 개폐링 및; 상기 제 3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3 개폐링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자는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과;상기 윈드 박스 외부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노즐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분할된 공간들로 유입된 각각의 연소용 공기를 상기 연소실의 연소영역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유입관들을 구비한다. 이 공기 유입관들은 상기 1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1차 공기 유입관과; 상기 2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2차 공기 유입관 및; 상기 3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3차 공기 유입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공기 유입관은 유입구와 파티션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연소실로 제공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조절하는 2차 공기조절수단을 갖는다. 이 2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선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댐퍼와;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댐퍼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윈드 박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바와; 상기 조작바의 타단에 설치되는 핸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1차 분할 공간, 2차 분할 공간 그리고 3차 분할 공간으로 공급되어지는 연소용 공기의 배분은 20:40:40일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소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 장치에 의한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는 멀티 버너(지역난방)에 적합한 것으로, 연소실(110)과 노즐(120) 그리고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연소용 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120)은 상기 연소실(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120)에는 제 1 및 제 2 공급라인들(122a,122b)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공급 라인(122a)을 통해서는 연료(오일)가, 제 2 공급 라인(122b)을 통해서는 스팀이 공급된다.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연소실(110)내에 상기 노즐(120)을 통해 분무된 연료(오일+스팀)에 연소용 공기를 3단으로 공급하여 확실한 착화와 화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공기 흐름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 연소용 공기 공급수단은 압입 통풍기(132), 윈드 박스(wind box;134), 케이싱(136), 제 1 내지 제 3공기 유입관(140,142,144), 1차 공기조절수단 및 2차 공기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윈드 박스(134)는 상기 노즐(120)이 설치된 연소실(110) 벽면에 설치되며, 압입 통풍기(132)를 통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진다. 이 윈드 박스(134)에는 다수의 노즐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유입관들(140,142,144)은 상기 노즐(120)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110)의 주연소 영역(A), 재연소 영역(B) 그리고 후연소 영역(C)을 통한 다단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연소용 공기를 다단으로 제공(분사)한다.
상기 케이싱(136)은 상기 노즐 외측에 설치된다. 이 케이싱(136)은 2개의 파티션 플레이트(partition plate;136a,136b)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분할 공간(138a,138b,138c)으로 구획되며, 이 각각의 분할 공간(138a,138b,138c)에는 케이싱(136)에 천공 형성된 복수의 제1통기공(139)들을 통해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어진다.
상기 1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제 1 통기공(139)들을 통해 상기 케이싱(136) 각각의 분할 공간들(138a,138b,138c)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부재와 이 개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재(160)는 상기 제 1 통기공(139)들과 대응되는 제 2 통기공(162)들을 갖으며, 상기 케이싱(136)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밀착 결합된다. 이 개폐부재는 제 1,2,3 분할공간들(138a,138b,138c)의 제1통기공(139)들을개폐하기 위한 제 1,2,3 개폐링(160a,160b,160c)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자(166)는 어느 하나의 개폐링과 연결되는 회전축(168)과, 이 회전축(168)을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169)로 이루어지며, 유압모터(169)는 상기 윈드 박스(134)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2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공기 유입관들(140,142,144)의 유입구와 파티션 플레이트들(136a,136b)과의 간격(x;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조절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관(140,142,144)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2차 공기조절수단은 슬라이드 댐퍼(172), 조작바(174) 그리고 핸들(1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댐퍼(172)는 상기 공기 유입관(140)의 선단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작바는 상기 슬라이드 댐퍼(172)와 연결되고, 타단은 윈드박스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핸들(176)은 조작바(174)의 타단에 설치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핸들(174)을 잡고 조작바(174)를 당기면, 슬라이드 댐퍼(172)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구(140a,140b,140)와 파티션 플레이트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입구와 파티션 플레이트의 간격이 좁혀지면, 1차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상기 2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유입구 선단과 파티션 플레이트(136a,136b) 사이의 간격(실질적으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 고안의 연소 장치(100)에서의 연소용 공기 공급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입 통풍기(132)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덕트를 통해 상기 윈드 박스(134)로 제공되고, 윈드 박스(134)로 제공되는 연소용 공기는 상기 케이싱(136)의 제1통기공(139)들을 통해 케이싱(136)의 제 1 내지 제 3 분할 공간들(138a,138b,138c)로 분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할 공간들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1차 공기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다. 분할 공간들로 제공된 연소용 공기는 각각의 분할 공간들(138a,138b,138c)과 연통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공기 유입관들(140,142,144)을 통해 상기 연소실(110)의 연소공간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입관들(140,142,144)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2차 공기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어진다.
본 고안의 연소 장치에 의하면, 연소용 공기는 1차적으로 케이싱(136)에 설치된 개폐링들(160a,160b,160c)에 의해 공기량이 조절되고, 2차적으로 상기 공기 유입관(140,142,144)들의 선단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드 댐퍼(172)들에 의해 조절된 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입관들(140,142,144) 각각을 통해 연소실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소장치(100)는 연소실(110)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1차 및 2차로 조절함으로써, 연소시 질소와 산소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가스인 질소 산화물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1차 분할 공간, 2차 분할 공간 그리고 3차 분할 공간으로 공급되어지는 연소용 공기의 배분은 20:40:40 의 공급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건은 공정에 따라 10% 유량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연소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은 압입 송풍기로부터 윈드 박스로 유입된 연소용 공기가 각각의 분할 공간과 대응되는 케이싱 외주면에 설치된 개폐링에 의해 그 공급량이 조절된 뒤, 다시 공기 유입관의 선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댐퍼에 의해 2차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주연소 영역, 재연소 영역 그리고 후연소 영역으로 공기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소장치는 화염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형성시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연소 장치에 있어서:연소실과;상기 연소실내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과;상기 연소실내에 분무된 연료에 연소용 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확실한 착화와 화염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공기 흐름 조절이 가능한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 수단은압입 통풍기와;상기 노즐이 설치된 연소실 벽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압입 통풍기를 통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지는 밀폐된 윈드 박스와;상기 노즐의 외측에 설치되는 그리고 복수의 제1통기공들이 천공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분할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케이싱 및;상기 제 1 통기공들을 통해 상기 케이싱 각각의 분할 공간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1차 공기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1차 공기조절수단은상기 제 1 통기공들과 대응되는 제 2 통기공들이 천공 형성된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재 및;상기 제 1 통기공들의 개폐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는상기 제 1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개폐링과;상기 제 2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2 개폐링 및;상기 제 3 분할 공간의 제 1 통기공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 3 개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작동자는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과;상기 윈드 박스 외부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노즐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분할된 공간들로 유입된 각각의 연소용 공기를 상기 연소실의 연소영역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유입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 유입관들은상기 1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1차 공기 유입관과;상기 2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2차 공기 유입관 및;상기 3차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3차 공기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 유입관은 유입구와 파티션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연소실로 제공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조절하는 2차 공기조절수단을 포함하더;;상기 2차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공기 유입관의 선단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댐퍼와;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댐퍼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윈드 박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바와;상기 조작바의 타단에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1차 분할 공간, 2차 분할 공간 그리고 3차 분할 공간으로 공급되어지는 연소용 공기의 배분은 20:4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164U KR200275911Y1 (ko) | 2001-10-12 | 2001-10-12 | 연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164U KR200275911Y1 (ko) | 2001-10-12 | 2001-10-12 | 연소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911Y1 true KR200275911Y1 (ko) | 2002-05-18 |
Family
ID=7311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1164U KR200275911Y1 (ko) | 2001-10-12 | 2001-10-12 | 연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911Y1 (ko) |
-
2001
- 2001-10-12 KR KR2020010031164U patent/KR2002759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90084A (en) | Method for reducing burner exhaust emissions | |
EP2294336B1 (en) | Low nox burner | |
JPH0814510A (ja) | 微粉炭バーナ及びその使用方法 | |
CN110056862B (zh) | 低氮氧化物燃烧器 | |
US4551090A (en) | Burner | |
US4400151A (en) | Controlled flow, split stream burner assembly | |
JP2009144948A (ja) | 給湯器 | |
AU2005229645A1 (en) | After-air nozzle for two-stage combustion boiler, and a two-stage combustion boiler, boiler and combus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S6217507A (ja) | 燃料燃焼装置 | |
US6558153B2 (en) | Low pollution emission burner | |
US20060183068A1 (en) | Combustion system with high turn down ratio | |
CN211694881U (zh) | 低氮燃气燃烧器 | |
CN108518673B (zh) | 涡喷式燃烧机 | |
KR200275911Y1 (ko) | 연소 장치 | |
JP5707897B2 (ja) | 微粉燃料焚きボイラ装置 | |
JP4103722B2 (ja) | 多段式管状火炎バーナ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 |
KR200267512Y1 (ko) | 연소 장치 | |
KR200421616Y1 (ko) | 저녹스 가스버어너 | |
KR100578110B1 (ko) | 액체 및 가스용 배가스 재순환 3단버너 | |
CN114543094A (zh) | 具有内部废气再循环的燃料焚烧燃烧器 | |
CN109058992B (zh) | 一种微通道分布超低氮燃烧器 | |
JP2011052871A (ja) | 燃焼装置 | |
WO2021027094A1 (zh) | 一种套筒窑上燃烧室的燃烧装置 | |
CN2499707Y (zh) | 一种低污染燃气燃烧器 | |
KR102351918B1 (ko) | 전 혼합식 가스 버너 연소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