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70Y1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770Y1 KR200275770Y1 KR2020010040254U KR20010040254U KR200275770Y1 KR 200275770 Y1 KR200275770 Y1 KR 200275770Y1 KR 2020010040254 U KR2020010040254 U KR 2020010040254U KR 20010040254 U KR20010040254 U KR 20010040254U KR 200275770 Y1 KR200275770 Y1 KR 2002757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key
- key input
- input device
- key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일반적인 키보드(keyboard)등과 같은 키입력장치에서 키배열의 비직선적인 문제와 키 타이핑(typing)에 대한 이중입력의 문제를 해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크기를 줄이고 소정의 단수로 분리하여 접고정식으로 형성한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입력판넬, 부분입력판넬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펼침시 지지·고정되어 평탄판을 형성하고 접힘 후 고정되어 접힘형체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고정걸개, 및 부분입력판넬의 접힘 및 펼침부위에 위치하는 키들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판별하며 각 부분입력판넬의 키입력 상태를 종합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성이 용이한 정보통신기기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고정형태의 키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정보통신기기들의 사용상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고, 정도통신기기의 입력에 획기적인 변화를 주어 정보통신기기의 발전을 한 차원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일반적인키보드(keyboard)등과 같은 키입력장치에서 키배열의 비직선적인 문제와 키타이핑(typing)에 대한 이중입력의 문제를 해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크기를 줄이고 소정의 단수로 분리하여 접고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를 제시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세계의 곳곳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고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때에 맞게 찾아볼 수 있도록 되었다. 인터넷에는 없는 정보가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한 정보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쇼핑, 은행, 배달, 예약, 게임, 영화상영, 티켓구입 등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일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비단 인터넷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개인휴대통신 즉 핸드폰의 발달로 이제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통신이 가능해졌으며, 보다 가볍고 기능이 확대된 대용량인 노트북컴퓨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 기술과 통신의 발달은 꿈의 정보전송기술로 일컬어 지는 IMT-2000 기술의 발달로 보다 대용량의 정보 및 쌍방향 전송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더욱이 위성통신과의 연계속에 종래 공상과학에서나 가능했던 얘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도 1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키입력장치는 키의 수가 평균적으로 103키∼105키 정도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몇몇 키의 수에 차이가 날수는 있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키입력장치는 이 정도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노트북 컴퓨터의 키입력부분의 키는 보통 88∼90키 정도가 평균적이다.
일반적인 키입력장치가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보다 많은 키를 구비시키고 있는 데 비해 노트북 컴퓨터의 키입력부 키의 수가 작은 이유는, 사용상의 편리를 위해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산술용 아라비아 숫자 부분과 기타 보조키들을 배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될 수 있는 한 크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중복적이고 그 쓰임이 적은 키는 배제시키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무선 키입력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키입력장치는 키입력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의 편리성을 기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무선 키입력장치 역시 이동의 편리를 위해 키의 중복성을 피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노트북컴퓨터 키입력장치 정도의 크기로 출하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렇게 다양한 종래의 키입력장치 중 키의 수를 줄인 키입력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키입력장치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아무래도 키입력장치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문자열 및 숫자열의 키들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스페이스바(space bar) 및 엔터(enter)키, 그 외 보조적인 키도 키입력장치의 사용에 있어서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평소 키입력에 있어서 이러한 중앙의 문자열키 및 숫자열키에 지능감각과 사람의 손이 적응하게 된다.
따라서 처음 키입력(타이핑)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문자열키들의 위치를 외우게 된다. 그리고 반복되는 문서의 작성 등을 통하여 키입력장치 상 키의 위치가 지능적·감각적으로 익혀지게 되고 사람의 손가락 또한 이러한 키의 위치에 익숙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정보통신기기의 최첨단격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PDA(20)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보통신의 총아로 발전하고 있는 개인휴대단말이다.
일반적으로 PDA(20)에는 중앙에 화면(201)이 있고, 화면(201)의 하단부(202)에는 도시한 PDA(20)를 조종하기 위한 기능키(function key)들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PDA(20)에는 화면(201)은 터치패널(touch panel) 형태로 작동하여 PDA(20)를 조종할 수 있는 라이트펜(write pen)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라이트 펜은 화면에 설정된 조종버튼을 선택하거나 또는 필요한 문자를 화면상에 필기(writing)함으로써 이를 인식할 수 있고 필요한 조종을 수행할 수 있게도 된다.
PDA(20)의 기능은 다양하다. 정보의 보고인 인터넷의 활용은 물론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워드프로세서의 실행으로 필요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 개인간의 휴대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반도체칩의 저장용량 증가, 다양한 정보처리기능 및 신호처리기능의 발달에 힘입어 보다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 편집기능 또한 획기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PDA(20)나 이에 준하는 최첨단 정보장치나 기기들은 다양한 기능이 수행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각종 문자 등을 입력하는 부분은 문제점이 많다.일명 핸드폰으로 불리는 개인휴대폰은 약 10∼20 여개의 문자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보통인데, 제품에 따라 사용상의 차이는 있지만 문자메일 등을 보낼 때 같은 키를 중복 사용함으로써 메일내용을 편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PDA(20)의 경우도 하단부(202)의 몇몇 키를 중복 사용하거나 화면(201)상에 설정될 수 있는 패치패널 형태의 키, 또는 접거나 펼치는 커버 등에 작은 문자키들을 형성하고, 이를 손이나 라이트펜으로 누름으로써 문자입력과 필요한 데이터나 문서를 편집할 수 있을 뿐이다.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인 PDA(20)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발된 후 상용화된 것은 최근의 몇 년의 일이다. PDA(20)가 상용화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까닭은 그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가정의 책상에 놓인 데스크탑 컴퓨터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의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휴대성이 좋으면서도 무게 또한 가벼워 언제 어디서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PDA(20)는 핸드폰이 개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것처럼 수년 내 필수적인 생활 도구의 하나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업무에 있어서 노트북이나 PDA(20) 등 보다 가볍고 작으며 휴대가 간편한 정보통신기기는 사람들에게 아주 큰 인기를 누리고 필수적으로 사용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통신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데이터의 입력 및 문서의 작성과 전송 등은 많은 작업 중에서도 더욱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기능이 많이 확장되어 인터넷 및 각종 정보의 입력, 문서의 작성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PDA(20)나 핸드폰 등에는 키의 부족 등에 따라 문서의 편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몇몇 키를 중복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간단한 메모입력 등에 적합할 뿐, 많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문서를 작성하는 등의 고도의 작업에는 불편할 뿐 아니라 불가능한 일이다. 위와 같은 문서의 작성이나 많은 데이터의 입력에는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키입력장치가 알맞지만, 이러한 키입력장치를 개인이 휴대하는 것은 거의 힘든 일이며, 이동성과 휴대성이 좋은 PDA(20)나 핸드폰에 큰 키입력부분을 형성할 수도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키의 크기(면적)를 줄일 수도 없는 일이다.
즉 사람의 손가락에 맞도록 구조적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키입력장치는 그 성격상 키의 숫자와 크기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휴대성이 좋은 다양한 정보통신기기들이 소형화되가는 추세에 있지만 사람의 손가락에 맞추어 구조화되어 있으므로 무한정 줄일 수 없다. 즉 키입력장치의 키들은 일정 접촉면적을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접촉면적을 줄이게 되면 타이핑의 속도와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의 손에 익숙한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휴대성과 이동성이 간편한 새로운 키입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경향은 저장용량의 비약적인 발전, 소형경박화되는 신물질의 개발 등과 맞물려 점점 소형화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그 처리능력은 현재의 데스크탑 컴퓨터의 성능을 능가하리라는 예상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핸드폰, PDA, 노트북 등 종래 정보통신기기의 구분개념이 무너지고 휴대성이 보편화되면서 통신 및 컴퓨터의기능이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소형의 정보통신기기에서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문서를 타이핑할 수 있는 시기가 도래되고 있다. 또한 이미 방송과 통신의 개념이 무너진 상태에서는 개인의 휴대단말기에서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방송을 시청하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며 위성과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는 상황에서는 보다 새로운 개념의 키입력장치 도입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계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에서 키배열의 비직선적인 문제와 키 타이핑에 대한 이중입력의 문제를 해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크기를 줄이고 소정의 단수로 분리하여 접고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키입력장치를 새롭게 구성하고 입력키의 작동형태를 변화시키면 휴대성이 이동성이 간편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키입력장치의 설계가 요구된다.
도 1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정보통신기기 PDA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의 신호처리회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1∼304 : 부분입력판넬
320 : 접고정걸개
340 : 신호처리회로
341 : 일반입력부 342 : 이중입력판단부
343 : 신호전송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입력판넬, 부분입력판넬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펼침시 지지·고정되어 평탄판을 형성하고 접힘 후 고정되어 접힘형체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고정걸개, 및 부분입력판넬의 접힘 및 펼침부위에 위치하는 키들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판별하며 각 부분입력판넬의 키입력 상태를 종합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의 신호처리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일실시예에 따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4개의 부분입력판넬(301∼304), 다수의 접고정걸개(320), 그리고 키입력장치 내부에 신호처리회로(34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부분입력판넬(301∼304)에는 키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입력키(key)들이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입력판넬(301∼304)은 접고정걸개(320)들에 의해 결합고정되어 평탄면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평판형태의 키입력장치에는 접고정에 따른 굴곡이 없으므로 키 타이핑의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부분입력판넬(301∼304)은 서로 이웃하는 부분 즉 접혀지고 펼쳐지는 부분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가 맞는 상태이다. 따라서 접혔던 상태에서 펼치게 되면 각 부분입력판넬(301∼304)들의 이음새가 서로 맞물려서 하나의 평평한 판(plate)을 이루기 때문에,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처럼 평평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키입력장치 내부의 신호처리회로(3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입력부(341), 이중입력판단부(342) 그리고 신호전송부(343)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입력부(341)는 일반적인 키 즉 부분입력판넬(301∼304)에 의해 분할되지 않는 키들의 입력(타이핑)이 있을 시 이러한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다음단의 신호전송부(343)로 전달시킨다. 이중입력판단부(342)는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가 성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의 주요구성부로, 분할된 키들의 타이핑 상태에 따른 신호를 파악하여 입력을 판단하는 부분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신호전송부(343)는 키의 입력상태를 외부기기와의 신호 전송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외부기기와 케이블 등을 통해 키 타이핑 상태를 입력시킨다. 아울러 각 부분입력판넬(301∼304) 들간사이에는 일정한 신호선로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인 키입력을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를 4분할했을 경우, 제1부분입력판넬(301)과 제2부분입력판넬(302)이 펼쳐져 고정된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도 5는 실선을 중심으로 나누어진 두 부분입력판넬(301, 302)을 접고정시킨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종래 시도되었던 분할식 키입력장치에서의 키배열에 따른 비직선성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펼친 후 고정시켰을 때 일반적인 평판형태 키입력장치의 키배열 상태가 형성되는, 진정한 의미의 키입력장치라 할수 있다. 즉 일반적인 키입력장치가 도 1 및 도 3의 펼쳐 고정시킨 상태의 배열을 하고 있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자연스럽게 타이핑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킨 것이며, 따라서 키입력장치가 평판(plate)의 상태이든, 아니면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처럼 분할 또는 고정되는 형태이든, 키를 타이핑할 수 있는 상태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배열을 이루어야 함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시도되었던 키입력장치는 키배열의 비직선성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가 어려워 취소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분리된다. 그러나 이렇게 분리하여 부분적인 키입력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부분의 키들에 의한 요철성이 접힌 상태에서 두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키입력장치가 접혀지더라도 요철상태의 키들이 두께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되지 않는다. 아울러 분할된 키입력장치의 접힘모양 또한 좋지 못하다.
위와 다른 경우로 점선과 같이 분할하더라도 각각 분할된 부분의 남는 공간을 여백으로 처리하여, 분할된 각 키입력장치의 모양을 사각형태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키 타이핑을 위해 도 1과 같은 평판형태로 형성시키는 경우 여백으로 처리한 공간이 분할된 각 키입력장치를 이격시키게 되므로 일반적인 평판형의 키입력장치에서와 같은 키배열을 이룰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키입력장치로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펼친 후 고정하여 완성시키더라도 일반적인 키입력장치와 같은 키 배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부들을 두고 있으며, 접히는 경우의 키배열에 대한 비직선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에서는 제1부분입력판넬(301)과 제2부분입력판넬(302)의 분할에 의해 「F4」, 「R」, 「D」, 「X」, 「Alt」의 키가 기계적 구조적으로 이분되어 있다. 하지만 키 타이핑에 의해 해당 키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신호처리회로(340)의 이중입력판단부(342)에 의해 키 타이핑이 판단된 다음 입력된다. 일례로 「R」키를 타이핑하는 경우 「R」키의 좌측부분(301에 속한 부분)만이 타이핑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우측부분(302에 속한 부분)만이 타이핑될 수 있고, 그것도 아니면 「R」키의 중앙 분리선부분이 타이핑되어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이 미세한 시간격 차이를 두고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손가락의 타점부위가 좌우측으로 분리된 「R」키의 어느 한 부분만을 타이핑하는 경우는 키 타이핑의 신호를 입력시키는 데 문제가 없게 된다. 하지만 좌우측이 거의 미세한 시간간격을 두고 타이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한번의 타이핑인지 또는 두 번의 타이핑인지를 판단해 주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이중입력판단부(342)는 분할된 키들의 양측부분에서 입력신호를 받고 이들 신호의 간격이 어느정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시킴으로써 한번의 타이핑으로 취급하며, 어느 정도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두 번의 타이핑으로 판단하여 입력시킴으로써 분할된 구조에 따른 키입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접히는 부분의 키 부위에, 타이핑상태를 입력시킬 수 있는 미세필림(thin film) 등의 형태로 넣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분할되는 키입력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중입력판단부를 포함시키므로써 키입력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외에도 키들을 열감응, 터치패널, 조밀한 미세직교라인 등의 형성 등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도 일정면적의 키들과 키들의 배열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단순히 일반적인 키입력장치를 분할하여 결합시키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키입력장치가 갖는 키들의 일정면적과 배열상의 특이성(비직선성)을 유지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중입력판단부 등의 중요구성부들을 구비하여 키들의 비직선적 배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일반 은행현금카드나 3.5' 플로피디스켓 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분입력판넬(301∼304)을 형성하여 접을 수 있고, 그 크기도 담배갑이나 플로피 디스켓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 등 크기와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키들의 자체면적을 키타이핑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줄이는 경우 그 크기 더욱더 줄일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단부에는 마우스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기능의 마우스패널(360)을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4분할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2분할이나 3분할 필요에 따라서는 5분할 이상도 가능하다. 아울러 특별한 상황에서는 세로로 길게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며, 가로와 세로의 복합형태에 따른 분할도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자체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휴대성과 이동성에 최대의 효율을 기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사용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리모트 전송부들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밑부분에 보조 받침대 등을 형성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도 기할수 있다.
본 고안의 접고정식 키입력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키입력장치가 갖는 휴대 및 이동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키 배열의 비직선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의 입력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분할의 수와 키타이핑의 입력상태를 다양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성이 용이한 정보통신기기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고정형태의 키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정보통신기기들의 사용상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점점 기능이 향상되면서도 경박단소화되어 가는 정도통신기기의 입력에 획기적인 변화를 줆으로써, 정보통신기기의 발전을 한 차원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2)
-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입력판넬;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입력판넬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펼침시 지지·고정되어 평탄판을 형성하고 접힘 후 고정되어 접힘형체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고정걸개; 및상기 부분입력판넬의 접힘 및 펼침부위에 위치하는 키들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판별하며 상기 각 부분입력판넬의 키입력 상태를 종합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는상기 부분입력판넬의 분할되지 않는 복수 키들의 타이핑상태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입력부;상기 부분입력판넬의 분할된 복수 키들의 타이핑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타이핑 횟수를 결정하여 입력하는 이중입력판단부; 및상기 일반입력부 및 상기 이중입력판단부로부터의 입력 상태를 상기 키입력장치에 연결하는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254U KR200275770Y1 (ko) | 2001-12-26 | 2001-12-26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254U KR200275770Y1 (ko) | 2001-12-26 | 2001-12-26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8685A Division KR20030037495A (ko) | 2001-11-05 | 2001-11-05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770Y1 true KR200275770Y1 (ko) | 2002-05-17 |
Family
ID=7311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254U KR200275770Y1 (ko) | 2001-12-26 | 2001-12-26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770Y1 (ko) |
-
2001
- 2001-12-26 KR KR2020010040254U patent/KR20027577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32841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universal keypad | |
US7057887B2 (en) | Folding keyboard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
US7658562B2 (en) |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 |
US20050002158A1 (en) | Mobile computer with foldable keyboard | |
US6757157B2 (en) | Folding electronic device | |
US20040021681A1 (en) | Dual-touch-screen mobile computer | |
US20050125570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EP1238326A2 (en) | Foldable keyboard for carrying portable device | |
WO1999018491A1 (en) | Pocket computer with full size keyboard | |
JP2002358150A (ja) | 入力装置と共に使用される電子機器支持装置 | |
US20030117374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ar-facing touch typing keyboard | |
US6934518B2 (en) | Mobile phone with a hidden input device | |
CN101518035A (zh) | 手持通信设备上的主要动作菜单 | |
US20060099023A1 (en) | Keyboard and stand for port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 |
US6773179B2 (en) | Input device | |
KR200275770Y1 (ko)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
US6796734B2 (en) | Keyless keyboard and a method of using them | |
JP3289689B2 (ja) | キーボード装置 | |
KR20030037495A (ko) | 접고정식 키입력장치 | |
CN101398703A (zh) | 输入装置和包括所述输入装置的电子设备 | |
US6874960B2 (en) | Keyboard | |
JPH0744306A (ja) | 携帯型コンピュータ | |
US7287921B2 (en) | Key array of keyboard | |
KR200290286Y1 (ko) | 노트북 형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용 도킹 스테이션 | |
JPH10254594A (ja) | 片手入力キーボー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