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50Y1 -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50Y1
KR200275450Y1 KR2020010037709U KR20010037709U KR200275450Y1 KR 200275450 Y1 KR200275450 Y1 KR 200275450Y1 KR 2020010037709 U KR2020010037709 U KR 2020010037709U KR 20010037709 U KR20010037709 U KR 20010037709U KR 200275450 Y1 KR200275450 Y1 KR 200275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gnet
case
open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현
Original Assignee
김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현 filed Critical 김복현
Priority to KR2020010037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50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집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자석을 이용하여 뚜껑을 일정부분까지만 개폐시키면 이후의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뚜껑과 케이스에 대응하는 한쌍의 자석을 설치하므로써 두껑이 일정부분 닫혀지면 자석의 자성에 의해 급격한 속도로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혀지게 하고, 뚜껑이 개폐된 후에는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닫혀지지 않고 개폐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A spectacle case with opening and shurtting easy}
본 고안은 안경집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자석을 이용하여 뚜껑을 일정부분까지만 개폐시키면 이후의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집은 일측을 기점으로 뚜껑이 선회하면서 개폐되고 뚜껑과 케이스의 개폐부 선단에는 후크, 결합돌기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안경집이 기밀을 유지하므로써 수납되는 안경을 외력으로 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안경집을 개방시킬 경우 종래에는 대부분 뚜껑과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사용자가 안경을 꺼낼 수 있을 정도까지 뚜껑을 완전 개방시키는 것이 관례이며 반대로 뚜껑을 닫을 경우 뚜껑과 케이스가 '딸깍' 하는 소리가 들려 완전 결합상태가 될때까지 뚜껑을 눌러 닫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이 완전 개폐될 때까지 필요이상으로 힘을 가해야만 완벽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고, 뚜껑이 개방되더라도 개방된 후 개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고 자연적으로 뚜껑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선회하면서 닫혀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반드시 뚜껑과 케이스의 개폐부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설치하여만 하므로 작업공정 증가 및 이로 인한 제품의 원가 상승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29152호 명칭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등록 고안의 경우 기술평가 결과 등록유지결정을 받아 이미 신규성 및 진보성을 검증받은 상태인 것이다.
본 고안은 선등록고안이 추구하는 목적을 또 다른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다른 실시예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뚜껑과 케이스에 대응하는 한쌍의 자석을 설치하므로써 두껑이 일정부분 닫혀지면 자성에 의해 급격한 속도로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혀지게 하고, 뚜껑이 개폐된 후에는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닫혀지지 않고 개폐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것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안경집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안경집의 완전 개방상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요부인 자석에 의해 뚜껑이 밀폐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케이스와 뚜껑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케이스와 뚜껑의 분리상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3: 요부 5: 뚜껑
6: 철부 10,20: 자석취부편 12,22: 자석
13,23: 보강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에 의해 일목요연하게 제공된다.
본 고안의 케이스(1)는 후면(2) 상부 선단에 요부(3)가 형성되고 요부(3) 양측면에는 뚜껑(5)을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봉(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5)은 케이스(1)의 요부(3)에 결합되는 철부(6)가 형성되고 이 철부(6) 양측면에는 케이스(1)의 힌지봉(4)이 끼워지는 힌지공(7)이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5)은 힌지봉(4)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공지의 안경집(8)에 있어서, 본 고안은 자력을 이용하여 뚜껑(5)이 일정부분 닫혀진 후에는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력을 안경집(8)의 개폐수단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3 과 같이 우선적으로 케이스(1)의 전방 중앙내면에 자석취부편(10)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 자석취부편(10)의 상단에 자석내재홈(11)을 형성한 후 자석내재홈(11)에 자성을 구비한 자석(12)을 내재시킨다.
이와 더불어 뚜껑(5)의 전방 중앙내면에도 자석취부편(20)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 자석취부편(20)의 하단에 자석내재홈(21)을 형성한 후 자석내재홈(21)에 상기 케이스(10)의 자석(12)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또 다른 자석(22)을 내재시킨다.
여기에서 한쌍의 자석(12)(22)은 상호간 극성(N,S극)을 달리하게 내재시켜 자성에 의해 밀착됨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도 2 와 같이 초기상태에 일정한 힘을 가해 뚜껑(5)을 닫으면 절반정도 닫혀짐과 동시에 자성에 의해 뚜껑(5)의 자석(22)이 케이스(1)의 자석(12)으로 당겨지면서 급격한 순간속도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혀지게 된다.
즉 뚜껑(5)이 완전하게 닫혀질 때 까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고, 뚜껑(5)이 닫혀진 후에는 별도의 록킹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절대 뚜껑(5)이 개방되지 않아 내부의 안경이 파손됨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자성에 의해 뚜껑(5)이 급격하게 닫혀짐에 따라 힌지봉(4) 및 힌지공(7)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해결하기 위해 힌지봉(4) 및 힌지공(7)이 형성된 부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보강살(13)(23)을 형성하여 파손없이 안정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선등록 고안에 실시된 밀봉, 스프링 등의 구성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뚜껑(5)을 개방시키면 뚜껑(5)이 힌지봉(4)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에 형성된 보강살(23)의 두터운 저면이 케이스(1)의 후면(2) 상단면에 밀착되면서 저항상태로 개방되고, 거의 개방이 다해지면 보강살(23)의 두터운저면(24)이 케이스(1)의 상단면을 이탈함과 동시에 저항상태가 해제되면서 보다 쉽게 개방이 완료된다.
또한 개방이 완료된 후에는 철부(6)가 요부(3)에 걸려 더이상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고, 뚜껑(5)의 보강살(23) 저면(24)이 케이스(1)의 후면(2)에 거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뚜껑(5)이 자동으로 닫혀지는 일 또한 없게 된다.
즉 개방상태에서 뚜껑(5)에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뚜껑(5)의 보강살(23) 저면(24)이 케이스(1) 상단면을 강제로 넘어서면서 비로서 닫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선등록 고안에서 제공되는 효과를 대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30은 안경이 수납될 때 안경이 파손됨을 방지하는 패드이다.
본 고안은 안경집을 구성하는 케이스 및 뚜껑의 개방부에 한쌍의 자석을 내재시키므로써 초기상태에만 힘을 가해 뚜껑을 닫게 되면 자석의 자성에 의해 순간적인 속도로 완전하게 닫혀짐과 동시에 록킹상태를 유지하여 개폐가 매우 용이하고 별도의 록킹과정이 불필요하며, 개폐가 완료된 후에는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뚜껑이 자연적으로 닫혀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공정 단축 및 원가절감이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안경이 수납되는 케이스(1) 후면(2)에 요부(3)가 형성되고 요부(3) 양측면에 힌지봉(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요부(3)에 뚜껑(5)의 철부(6)가 끼워지되 철부(6) 양단에 형성된 힌지공(7)에 케이스(1)의 힌지봉(4)이 끼워져 상기 힌지봉(4)을 기점으로 선회하면서 뚜껑(5)이 개폐되는 안경집(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 전방 중앙내면에 자석취부편(10)을 형성하고 이 자석취부편(10) 상단에 자석(12)을 내재시키는 한편,
    상기 뚜껑(5) 전방 중앙내면에 자석취부편(20)을 형성하고 이 자석취부편(20) 하단에 상기 케이스(1)의 자석(12)과 밀착되는 또 다른 자석(22)을 내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KR2020010037709U 2001-12-06 2001-12-06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KR200275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09U KR200275450Y1 (ko) 2001-12-06 2001-12-06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09U KR200275450Y1 (ko) 2001-12-06 2001-12-06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50Y1 true KR200275450Y1 (ko) 2002-05-16

Family

ID=731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709U KR200275450Y1 (ko) 2001-12-06 2001-12-06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98B1 (ko) * 2020-07-27 2021-11-02 주식회사 성광옵틱 안경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98B1 (ko) * 2020-07-27 2021-11-02 주식회사 성광옵틱 안경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170B1 (en) Magnetic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temple to an eyeglass hinge
JP3910900B2 (ja) 眼鏡,および補助眼鏡
JP2012509497A (ja) 磁性閉包体により保持される相互交換可能なレンズ片、および相互交換可能なレンズ系を有する眼鏡枠
CA2018533A1 (en) Hinge structure,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JP4054684B2 (ja) 補助眼鏡付き眼鏡
CA2563611A1 (en) Magnet structure of eyeglasses assembly having auxiliary eyeglasses using hinge function
KR200275450Y1 (ko)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JPH0322735Y2 (ko)
KR200354823Y1 (ko) 회동개,폐되는 선셰이드클립
KR200229152Y1 (ko)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KR100630778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100907553B1 (ko) 구조가 간단한 안경케이스
KR100568142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347246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317977Y1 (ko) 회동개폐가능한 안경용 선셰이드클립
JP3116492U (ja) 眼鏡フレーム
KR200317978Y1 (ko) 회동개폐가능한 안경용 선셰이드클립
US20030090621A1 (en) Clever frame/clip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218866Y1 (ko) 클립-온 안경
WO2002054135A3 (en) Hinge for eyeglasses
KR200347245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250340Y1 (ko) 보조렌즈 부착용 무테안경
JPH0655122U (ja) 眼鏡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