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798B1 - 안경 케이스 - Google Patents

안경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798B1
KR102320798B1 KR1020200093050A KR20200093050A KR102320798B1 KR 102320798 B1 KR102320798 B1 KR 102320798B1 KR 1020200093050 A KR1020200093050 A KR 1020200093050A KR 20200093050 A KR20200093050 A KR 20200093050A KR 102320798 B1 KR102320798 B1 KR 10232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lasses
accommodating part
cover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옵틱
Priority to KR102020009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케이스에 관한 발명으로,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으로 형성하되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로 이루어진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구비하는 케이스프레임(110)과, 케이스프레임(110)에 상응하는 박형 판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을 케이스프레임(110) 외측에 부착하여 구비하는 커버패널(120)과, 케이스프레임(110)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내장하여 케이스프레임(110) 및 커버패널(120)에 자력을 작용하는 개폐부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을 향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 케이스{GLASSES CASE}
본 발명은 안경 케이스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간소화 및 공간의 최적화를 통해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이 향상된 안경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고 눈을 보호하거나 혹은 패션의 목적으로 눈 앞에 착용하도록 프레임 및 프레임에 조립되는 렌즈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안경은 양측 렌즈가 조립되는 림과, 림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렌즈테와, 브릿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렌즈테를 지지해주는 노즈패드와, 렌즈테의 양측에서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엔드피스와, 엔드피스에 힌지 결합하여 절첩되고 후단이 벤딩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템플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렌즈테 및 엔드피스 부위를 보다 얇고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하여 경량 및 휴대성을 제공하는 박형 안경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1996 - 0005146 호에는 한 쌍의 렌즈와 렌즈를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과 렌즈의 바깥테두리 부분에 배치된 제1 및 제2외측부분을 갖춘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제1및 제2외측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안경걸이부를 포함하고, 안경의 제1 및 제2안경걸이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회전아암의 일단부가 렌즈프레임의 각각의 외측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회전아암의 다른쪽 단부가 안경걸이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접힘상태에서, 제1안경걸이부의 회전아암이 렌즈프레임의 제1외측부분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안경걸이부의 안경걸이부 본체가 안경본체의 윗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며, 제2안경걸이부의 회전아암이 렌즈프레임의 제2외측부분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안경걸이부의 안경걸이부 본체는 안경본체의 아랫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박형 안경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72408 호에는 브릿지의 양단에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림이 각각 고정되고, 림의 외측단에 제 1 개구단과 제 2 개구단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와, 제 1 개구단과 제 2 개구단이 형성된 프론트의 외측단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 연결구와, 프론트의 외측단에 고정된 힌지 연결구에 힌지편을 진입시켜, 프론트의 양단에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를 구성한다.
한편, 일반적인 안경 케이스는 유선형 렌즈테 및 템플, 노즈패드, 엔드피스 등의 통상의 안경 구조적 특성상 안경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케이스의 부피가 크게 형성되어 휴대성이나 보관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 안경 케이스에 상기와 같은 박형 안경을 보관할 경우 안경과 케이스 사이에 유격이 크게 발생하므로 안경이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박형 안경용 케이스가 개시된 바,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 10 - 0669868 호에는 외주의 좌우측에 홈지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안경다리 반공과,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 두께로 구비되며 쿠션을 가지는 하부 쿠션 돌기테와, 외주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힌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하부 안경다리 반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에 홈지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 안경다리 반공과,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 두께로 구비되며 쿠션을 가지는 상부 쿠션 돌기테와, 외주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힌지와, 코걸이가 안착되는 코걸이 안착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닫히는 경우 하부 안경다리 반공과 상부 안경다리 반공이 형성하는 안경다리공을 통해서 안경다리가 안경케이스 외부에 놓여지도록 이루어지는 박형의 안경렌즈 케이스를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1996 - 0005146 호 (1996.02.2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72408 호 (2014.04.24) 한국등록특허 제 10 - 0669868 호 (2007.01.17)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1986 - 0010514 호 (1986.09.08)
종래의 일반 안경용 케이스는 안경의 구조적 특성상 안경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므로 케이스의 부피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박형 안경의 경우 일반 안경에 비해 렌즈테 및 엔드피스 부위를 보다 얇고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경량 및 휴대성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일반 안경용 케이스를 적용할 경우 특유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박형 안경을 일반 안경 케이스에 보관할 경우 안경과 케이스 사이에 유격이 크게 발생하여 안경이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박형 안경용 케이스는 안경의 수용 공간을 박형의 형상으로 구현하고는 있으나 케이스의 일측에 안경다리공을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케이스 외부에 놓여지도록 하여 사실상 박형 안경의 렌즈 부분만을 케이싱하는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박형 안경용 케이스는 안경의 수용 공간 이외에 힌지나 잠금 부위 등 개폐 구성이나 외부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 역시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으나 종래 기술의 박형 안경용 케이스는 외형만 축소되었을 뿐 일반 안경용 케이스와 구조적인 차별성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으로 형성하되,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구비하는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과,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에 상응하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 판상으로 한 쌍을 형성하여, 각각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의 외측에 부착하여 구비하는 상측 및 하측 커버패널(120)과,
상기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의 중공부 외곽 형상을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내장하여 케이스프레임(110) 및 커버패널(120)에 자력을 작용하는 개폐부착수단(130)과,
박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면에는 상기 개폐부착수단(130) 또는 커버패널(120)과 자력을 작용하여 안경 케이스(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접착패드를 형성하여 임의의 물체에 부착하도록 구비하는 거치부착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이 향상된 안경 케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 안경용 케이스에 비해 구조적 간소화 및 공간의 최적화를 통해 두께가 수밀리미터 수준으로 형성되는 박형 안경에 최적화된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경 케이스의 부피를 최소화 및 경량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박형 안경의 수용 공간 이외에 힌지나 잠금 부위 등 개폐 구성이나 외부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 역시 최소화하면서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등에도 간편하게 거치 가능한 구성을 탑재하여 분실우려를 현저히 저감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컴팩트한 마감을 통해 세련된 외관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케이스프레임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커버패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케이스프레임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커버패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 케이스는 구조적 간소화 및 공간의 최적화를 통해 두께가 수밀리미터 수준으로 형성되는 안경 케이스를 구성하여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이 향상된 안경 케이스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100)는 상호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케이스프레임(110)과, 각각의 케이스프레임(110)에 구비하는 커버패널(120)과, 케이스프레임(110) 및 커버패널(120)을 상호 개폐하는 개폐부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은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으로 형성하되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로 이루어진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100)의 구조를 형성하고 주요 구성을 탑재하도록 마련된 구성으로써 경량의 플라스틱 소재를 성형하여 안경을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중공부와, 중공부의 외곽에 프레임바디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은 상호 대칭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힌지 결합하며 전체 두께는 수밀리미터 수준에서 형성하여 박형 안경이 프레임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프레임(110)을 구성하는 프레임바디는 제1수용부 내지 제4수용부(111~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용부(111)는 각각의 중공부 상에서 안경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형을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여 안경을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수용부(111)는 후술하게 될 커버패널(120)과 함께 절첩 상태의 안경의 상,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하며, 안경의 렌즈 림 및 브릿지로 이루어진 렌즈테와 렌즈테의 양측에 마련된 엔드피스 부위를 일체로 수용 가능한 내형을 형성하도록 통공하여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과 상기 제1수용부(111)의 간극은 가능한한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여 상기 프레임바디가 차지하는 영역을 최적화함으로써 제2수용부 내지 제4수용부(112~114)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수용부(112)는 각각의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서 후술하게 될 커버패널(120)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형 및 깊이로 요입 형성하여 커버패널(120)을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수용부(112)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바디의 외곽선 내측을 따라서 커버패널(120)의 두께를 수용하도록 요입하여 외부 돌출을 배제하고 컴팩트하게 마감하면서 외측면 전반을 커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커버패널(120)은 상기 제1수용부(111)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에 의해 지지되며 커버패널(120)과 제2수용부(112)가 접촉하는 면 상에는 소정의 접착층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수용부(113)는 각각의 프레임바디가 상호 힌지 결합하는 모서리 상에서 일측을 요입 형성하여 힌지를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수용부(113)는 타측 케이스프레임(110)의 프레임바디에 형성하는 힌지가 일측 케이스프레임(110)의 프레임바디에 수용되도록 요입 형성하여 힌지 작동 범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수용부(113)는 일측 프레임바디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요입하고 양 단부에는 힌지축의 양단을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수용부(113)의 깊이는 타측 프레임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힌지의 높이보다 미세한 범위에서 낮게 형성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양측 프레임바디가 힌지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단속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4수용부(114)는 각각의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 구비하는 상기 제2수용부(112)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요입 형성하여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을 내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4수용부(114)는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서 요입 형성하는 상기 제2수용부(112) 상에서 추가로 요입 형성하되 제1수용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안경의 외곽 형상에 따라서 엔드피스가 수용되는 양측부 및 브릿지와 노즈패드가 수용되는 중심부 등에 위치하여 내장되는 개폐부착수단(130)이 힌지 작동시 상호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4수용부(114)는 후술하게 될 개폐부착수단(130)의 외형 및 두께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도록 요입하여 외부 돌출을 배제함으로써 상기 제2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커버패널(120)과 명확한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4수용부(111~114)는 자력을 투과하는 플라스틱 소재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4수용부(114)에 수용되는 개폐부착수단(130)은 프레임바디의 내측면을 통해 양측 프레임바디 상호 간에 자력을 작용하여 잠금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제2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커버패널(120) 및 커버패널(120)의 외부에서 후술하게 될 거치부착수단(140)과도 자력을 작용하여 부착 상태를 구현하는 바, 제1수용부 내지 제4수용부(111~114)는 자력을 투과하면서 경량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에 상응하는 박형 판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을 케이스프레임(110) 외측에 부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케이스프레임(110) 각각의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 형성하는 제2수용부(112)에 수용되도록 구비하여 케이스프레임(110)의 외측면 전반을 커버하고 제1수용부(111)에 수용된 안경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플라스틱, 금속, 비금속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또는 비금속 소재의 커버패널(120)은 자력을 투과 가능한 재질로 마련하여 상기 제4수용부(114)에 수용되는 개폐부착수단(130)이 커버패널(120)을 통과하여 후술하게 될 거치부착수단(140)과 자력을 작용하도록 구비한다.
금속 소재의 커버패널(120)은 상기 제2수용부(112)에 수용 시 접착층이 소모되더라도 제4수용부(114)에 수용되는 개폐부착수단(130)과 자력을 작용하여 견고한 부착상태를 도출하며,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이 미배치된 위치에서도 후술하게 될 거치부착수단(140)과 커버패널(120) 간에 자력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의 내측면에는 기모 또는 쿠션 재질의 보호패드(121)를 부착하여 상기 제1수용부(111)에 수용된 안경에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은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내장하여 케이스프레임(110) 및 커버패널(120)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은 마그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프레임(110) 각각의 프레임바디에 형성된 제4수용부(114)에 수용되어 양측 케이스프레임(110)이 자력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후술하게 될 거치부착수단(140)과의 자력 작용에 의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은 제1수용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안경의 외곽 형상에 따라서 엔드피스가 수용되는 양측부 및 브릿지와 노즈패드가 수용되는 중심부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제4수용부(114)에 내장하여 힌지 작동시 외곽 전방에 걸쳐 자력에 의한 상호 긴밀한 잠금 상태를 조성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 케이스(100)를 차량이나 벽면, 가구, 가전제품 등에 간편하게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부착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착수단(140)은 박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면에는 상기 개폐부착수단(130) 또는 커버패널(120)과 자력을 작용하여 안경 케이스(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접착패드를 형성하여 임의의 물체에 부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착수단(140)은 타측 면의 접착패드를 거치 대상에 접착하여 고정하고 일측 면에 상기 커버패널(120)의 임의의 위치를 자력으로 부착하여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거치부착수단(140)은 상기 개폐부착수단(130)과 같은 마그네틱 재질을 적용하여 상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패널(120)과 자력 작용하거나 또는 일반 금속 재질을 적용하여 상기 거치부착수단(140)과 자력 작용에 의해 거치 상태를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 케이스(100)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100)는 상호 대칭하는 중공부 및 프레임바디로 이루어진 한 쌍의 케이스프레임(110)을 힌지 결합하여 구비하고 각각의 케이스프레임(110)에는 안경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1)와, 커버패널(120)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112)와, 힌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113)와, 개폐부착수단(130)을 수용하는 제4수용부(114)를 형성함으로써 힌지 작동 및 잠금 작동 구성과, 안경을 수용하고 외관을 마감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보다 슬림하고 간소화된 박형 안경 케이스(100)를 구성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제2수용부(112)에 접착되거나 또는 제4수용부(114)에 수용된 개폐부착수단(130)과의 자력 작용에 의해 긴밀하게 수용된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프레임(110)을 개방하면 제2수용부(112)에 수용된 커버패널(120)에 의해 중공부가 마감된 제1수용부(111)가 양측에 구비되며 커버패널(120)에는 보호패드(121)가 부착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을 안전하게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프레임(110)을 폐쇄하면 제4수용부(114)에 수용된 개폐부착수단(130)이 상호 대칭하는 위치에서 자력을 작용하여 긴밀한 잠금 상태가 구현된다. 제3수용부(113)에 힌지가 수용된 상태로 힌지 작동이 구현되므로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도 돌출 부위를 배제하고 컴팩트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경이 수용된 안경 케이스(100)를 차량이나 벽면, 물체 등에 거치하고자 할 경우 거치부착수단(140)을 이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착수단(140)의 타측 면에 구비되는 접착패드를 거치대상 면에 부착한 후, 일측 면에 안경 케이스(100)의 외측면, 즉 커버패널(120)을 부착하여 거치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플라스틱, 금속, 비금속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커버패널(120)의 재질에 따라서 상기 거치부착수단(140)은 마그네틱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하여 자력 작용에 의해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100)는 종래의 일반 안경용 케이스에 비해 구조적 간소화 및 공간의 최적화를 통해 두께가 수밀리미터 수준으로 형성되는 박형 안경에 최적화된 케이스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 비해 박형 안경을 안정적으로 케이싱하면서 휴대 및 사용성이 향상된 안경 케이스(100)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경 케이스(100)의 부피를 최소화 및 경량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박형 안경의 수용 공간 이외에 힌지나 잠금 부위 등 개폐 구성이나 외부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 역시 최소화하면서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안경 케이스(100)를 간편하게 거치 가능한 구성을 탑재하여 분실우려를 현저히 저감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컴팩트한 마감을 통해 세련된 외관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100: 안경 케이스
110: 케이스프레임
111: 제1수용부
112: 제2수용부
113: 제3수용부
114: 제4수용부
120: 커버패널
121: 보호패드
130: 개폐부착수단
140: 거치부착수단

Claims (4)

  1.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으로 형성하되,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디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구비하는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과,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에 상응하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형 판상으로 한 쌍을 형성하여, 각각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의 외측에 부착하여 구비하는 상측 및 하측 커버패널(120)과,
    상기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의 중공부 외곽 형상을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내장하여 케이스프레임(110) 및 커버패널(120)에 자력을 작용하는 개폐부착수단(130)과,
    박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면에는 상기 개폐부착수단(130) 또는 커버패널(120)과 자력을 작용하여 안경 케이스(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접착패드를 형성하여 임의의 물체에 부착하도록 구비하는 거치부착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케이스프레임(110)에는,
    각각의 중공부 상에서 안경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형을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여 안경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1)와,
    각각의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커버패널(120)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형 및 깊이로 요입 형성하여 커버패널(120)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112)와,
    각각의 프레임바디가 상호 힌지 결합하는 모서리 상에서 일측을 요입 형성하여 힌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113)와,
    각각의 프레임바디의 외측면 상에 구비하는 상기 제2수용부(112)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요입 형성하여 상기 개폐부착수단(130)을 내장하는 제4수용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 내지 제4수용부(111~114)는 자력을 투과하는 플라스틱 소재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120)은,
    플라스틱, 금속, 비금속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구비하여 상기 제4수용부(114)에 수용되는 개폐부착수단(130)이 상기 커버패널(120)을 통과하여 상기 거치부착수단(140)과 자력을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4. 삭제
KR1020200093050A 2020-07-27 2020-07-27 안경 케이스 KR10232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50A KR102320798B1 (ko) 2020-07-27 2020-07-27 안경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50A KR102320798B1 (ko) 2020-07-27 2020-07-27 안경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798B1 true KR102320798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50A KR102320798B1 (ko) 2020-07-27 2020-07-27 안경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7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50Y1 (ko) * 2001-12-06 2002-05-16 김복현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KR200276865Y1 (ko) *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JP2004129901A (ja) * 2002-10-11 2004-04-30 Hiroshi Miyao メガネ保持袋
KR100669868B1 (ko) 2006-03-03 2007-01-17 박종윤 렌즈 보호용 박형의 안경렌즈 케이스
KR200472408Y1 (ko) 2013-03-27 2014-04-24 하미자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
JP2019016270A (ja) * 2017-07-10 2019-01-31 昭宏 八木 眼鏡ケース切削ライン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眼鏡ケース切削ラインデータ作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65Y1 (ko) *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KR200275450Y1 (ko) * 2001-12-06 2002-05-16 김복현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JP2004129901A (ja) * 2002-10-11 2004-04-30 Hiroshi Miyao メガネ保持袋
KR100669868B1 (ko) 2006-03-03 2007-01-17 박종윤 렌즈 보호용 박형의 안경렌즈 케이스
KR200472408Y1 (ko) 2013-03-27 2014-04-24 하미자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
JP2019016270A (ja) * 2017-07-10 2019-01-31 昭宏 八木 眼鏡ケース切削ライン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眼鏡ケース切削ラインデータ作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0900B2 (ja) 眼鏡,および補助眼鏡
US7748843B2 (en) Watchband eyeglasses
US20160299359A1 (en) Interchangeable Eyewear Lenses and Component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20050105041A1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KR102087621B1 (ko)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7484842B2 (en) Configurable eyewear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CA2141896C (en) Folding frameless eyeglasses
KR102320798B1 (ko) 안경 케이스
KR20240037231A (ko) 안경을 위한 측면 쉴드
KR102346852B1 (ko) 선글라스 탈착 취부형 안경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WO1997016761A1 (en) Magnetic eyewear system
KR101062269B1 (ko) 안경용 힌지 조립체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N110856450A (zh) 超薄眼镜
CN208399836U (zh) 双层磁吸眼镜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KR20100007604A (ko) 컨택트 렌즈용 케이스
KR200415602Y1 (ko) 원상 복귀용 접철수단이 구비된 안경
KR200340719Y1 (ko) 다용도 휴대용 거울
KR200394467Y1 (ko) 흡착판이 구비된 안경집
KR200288813Y1 (ko) 별도의 돋보기가 구비된 안경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