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778B1 -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778B1
KR100630778B1 KR1020030085938A KR20030085938A KR100630778B1 KR 100630778 B1 KR100630778 B1 KR 100630778B1 KR 1020030085938 A KR1020030085938 A KR 1020030085938A KR 20030085938 A KR20030085938 A KR 20030085938A KR 100630778 B1 KR100630778 B1 KR 10063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eyeglasses
auxiliary
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090A (ko
Inventor
박영화
Original Assignee
박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화 filed Critical 박영화
Priority to KR102003008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7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안경을 안경에 분리가능케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안경으로부터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조안경(A)이 갖는 안내대(8)(10)의 축공(6)을 통하여 다각축(12)을 갖는 연결대(14) (16)를 회전가능케 연결설치하여 다각축(12)이 안내대에 스프링(2)으로 탄력설치되는 볼(4)과의 접촉으로 회전시 절도감을 갖도록 하고, 연결대(14)(16) 하단에 갖는 결합편(38)을 이용하여 안경(B)의 다리연결부(18)(20)가 갖는 결합홈(22)에 분리가능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COUPLING STRUCTURE FOR THE EYEGLASSES AND THE AUXILIARY EYEGLASSES}
도 1 : 본 발명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안경의 요부평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보조안경의 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닫힘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의 개방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보조안경 (B)--안경
(2)--스프링 (4)--볼
(6)--축공 (8)(10)--안내대
(12)--다각축 (14)(16)--연결대
(18)(20)--다리연결부 (22)--결합홈
(24)--걸림테 (26)--작동공
(28)--본체 (30)--덮개
(32)--연결봉 (34)--걸림테
(36)--걸림판 (38)--결합편
(40)--림 (42)(44)--지지편
(46)--영구자석
본 발명은 보조안경을 안경에 분리가능케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안경으로부터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한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력보정용 태양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보조안경을 분리가능케 결하하여 필요에 따라 안경으로부터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에 대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174203호와 동제280494호등 여러건이 제공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174203호는 안경과 보조안경이 갖는 브릿지를 만곡부와 상승부 및 하강부등을 갖는 스프링형태로 구성하여 브릿지를 통하여 보조안경을 안경에 분리가능케 결합하고, 결합후 필요에 따라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개페시에는 보조안경의 양측 지지간과 안경다리 연결편이 갖는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개폐각을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브릿지가 갖는 복잡한 형상과 양측에 크게 노출되는 지지간 및 영구자석등으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 개폐작동시 브릿지에 탄성이 주어지게 되면 변형이 수반되므로 브릿지의 변형에 의한 좌우렌즈 의 자세불량으로 착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80494호는 안경의 미미가 갖는 삽입홈과 보조안경의 양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착탈핀을 통하여 분리가능케 결합하여 힌지에 의해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힌지의 강한 마찰력으로 개폐각을 유지하도록 할 수 밖에 없어 개폐작동시 작동감과 유연성을 얻기 어렵고 또 적정개방각이 주어질 수가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반복적인 개폐작동으로 힌지의 마찰력이 약화되면 주어진 개방각을 유지하기 어려워 기능상실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상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가 있고, 개폐작동이 절도감을 갖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면서 상시 일정한 개방각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오랜 사용시에도 기능상실 우려가 없는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목적달성을 위하여 보조안경의 양측 상부에 갖는 안내대에 연결대를 회전가능케 연결설치하여 연결대가 갖는 다각축이 지지체에 탄력설치되는 볼과의 접촉으로 회전시 절도감을 갖도록 하고, 연결대 하단에 갖는 결합편을 통하여 안경의 다리연결부 후방에 갖는 결합홈에 분리가능케 결합고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스프링(2)으로 탄력설치되 는 볼(4)이 축공(6) 내측으로 일부돌출하도록 구성되며 보조안경(A)의 상부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안내대(8)(10)와, 다각축(12)을 통하여 안내대(8)(10)로부터 절도감을 갖고 회전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연결대(14)(16)와, 연결대(14)(16)와의 결합수단으로서 안경(B)의 다리연결부(18)(20)에 형성되는 결합홈 (22)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보조안경(A)이 갖는 안내대(8)(1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축공(6)의 후방중앙부에 걸림테(24)를 사이에 두고 작동공(26)이 연통형성되는 본체(28)와, 상기 본체(28)의 작동공(26)에 삽입되어 축공(6) 내측으로 일부돌출되는 볼(4)과, 상기 볼(4)의 후방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2)과, 작동공(26)을 차단하여 스프링(2)을 지지하도록 하는 덮개(30)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덮개(30)는 본체(28)의 후면 상하에 갖는 걸림홈 사이에 결합하여 스프링(2)의 반발력에 의해 고정되게 한 것이나, 이외에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해 줄 수도 있는바, 본 발명은 볼과 스프링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를 갖는 구조이면 모두 만족한다.
연결대(14)(16)는 림과 같은 곡율을 갖는 연결봉(32)과, 상기 연결봉(32)의 상단부에 걸림테(34)를 사이에 두고 연장형성되는 다각축(12)과, 상기 다각축(12) 단부에 볼트로 결합고정되는 걸림판(36)과, 연결봉(32)의 하단에 갖는 자성체의 결합편(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12)(14)가 갖는 다각축(12)은 육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오각 내지 팔각 등 볼(2)과의 접촉으로 개폐작동이 절도감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각을 갖는 것이면 모두 만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안경의 요부평단면구성도로서, 안경(B)의 다리연결부(18)(20)가 갖는 결합홈(22)은 다리연결부 후방에 소정간격을 두고 림(4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지지편(42)(4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42)에는 영구자석(46)이 고정형성된다.
본 발명은 보조안경(A)이 갖는 안내대(8)(10)의 축공(6)에 연결대(14)(16)가 갖는 다각축(12)을 결합하여 축공(6) 타측으로 돌출된 다각축(12) 단부에 걸림판(36)을 볼트로 연결고정하고, 안내대(8)(10)의 작동공(26)내에는 볼(4)과 스프링(2)을 차례로 삽입 설치한 다음 덮개(30)를 결합고정하여 작동공(26)을 차단해 주는 것으로 조립완료된다.
안내대(8)(10)에 연결된 연결대(14)(16)는 다각축(12)이 안내대(8)(10)에 스프링(2)으로 탄력있게 설치되는 볼(4)과의 접촉으로 안내대(8)(10)로부터 절도감을 갖고 회전하게 되며, 회전시 다각축(12)이 갖는 특성상 작동감을 갖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보조안경(A)은 연결대(14)(16)가 갖는 결합편(38)을 안경(B)의 다리 연결부(18)(20)가 갖는 결합홈(22)에 결합해 주는 것으로 안경(B)에 간단히 연결되며, 결합편(38)의 결합시 결합홈(22)의 내벽에 갖는 영구자석(46)의 자력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안경(B)에 결합된 보조안경(A)은 필요에 따라 안경(B)으로부터 개폐시켜 주면 되는데, 개폐작동은 안내대(8)(10)가 보조안경(A)과 함께 연결대(14)(16)의 다각축(12)을 축으로 한 회전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적정개폐각이 주어지게 되면 탄 성을 갖는 볼(4)과 다각축(12)의 접촉에 의해 주어지는 절도감으로 적정개폐각을 유지하게 된다.
보조안경(A)은 이용후 연결대(14)(16)가 갖는 결합편(38)을 안경(B)의 결합홈(22)으로부터 이탈시켜주는 것으로 안경(B)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며, 분리후 별도보관해 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안경(A)을 안경(B)에 분리가능케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안경으로부터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만족하면서 외관상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가 있고, 개폐작동이 작동감을 갖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시 일정한 개폐각을 갖도록 개폐시켜 줄 수가 있으며, 오랜 사용에도 기능상실우려가 없어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보조안경측의 양측 연결대가 갖는 결합편이 안경 양측에 갖는 결합홈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그 일단에 갖는 사각축이 보조안경이 갖는 안내대의 축공에 회전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안내대에 축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작동공에는 볼을 스프링으로 탄력있게 설치하여 상기볼이 연결대의 사각축과 접촉하여 안경으로부터 보조안경의 회전시 절도감이 주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갖는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30085938A 2003-11-29 2003-11-29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10063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938A KR100630778B1 (ko) 2003-11-29 2003-11-29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938A KR100630778B1 (ko) 2003-11-29 2003-11-29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349U Division KR200347385Y1 (ko) 2003-11-29 2003-11-29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90A KR20050052090A (ko) 2005-06-02
KR100630778B1 true KR100630778B1 (ko) 2006-10-09

Family

ID=3724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938A KR100630778B1 (ko) 2003-11-29 2003-11-29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28B1 (ko) 2016-04-18 2017-09-01 김남채 보조렌즈를 구비한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28B1 (ko) 2016-04-18 2017-09-01 김남채 보조렌즈를 구비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90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953B1 (en) Shelter frame kit for glasses
JP3910900B2 (ja) 眼鏡,および補助眼鏡
JP5823869B2 (ja) 磁性閉包体により保持される相互交換可能なレンズ片、および相互交換可能なレンズ系を有する眼鏡枠
US20100309425A1 (en) Screwless magnetic eyewear
US6530660B1 (en) Eyeglass frame with a reversible arm
US7621633B1 (en) Reversible eyewear and associated method
CA2563590A1 (en) Hinged goggle
US5760866A (en) Eyeglass frame adapted to removal and insertion of lenses
CA2632748A1 (en) Screwless magnetic eyewear
AU2001294314A1 (en) Eyeglasses having auxiliary glasses, which are easily detachable and opened in front using magnet
US5914767A (en) Eyeglass frame adapted to removal and insertion of lenses
JP3132646U (ja) ヒンジ機能を用いた補助眼鏡付きの眼鏡組立体の磁石構造
KR100630778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CA2517762A1 (en) Horizontally combinable eyewear assembly
KR200347385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100568136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100630779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347245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347393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100568142B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275450Y1 (ko) 개폐가 용이한 안경집
CN217606204U (zh) 一种便于安装的眼镜
US6974213B1 (en) Monoblock assembly for eyewear
KR200364018Y1 (ko) 2중 안경의 절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