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132Y1 - 의류 보관 커버 - Google Patents

의류 보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132Y1
KR200275132Y1 KR2020010030250U KR20010030250U KR200275132Y1 KR 200275132 Y1 KR200275132 Y1 KR 200275132Y1 KR 2020010030250 U KR2020010030250 U KR 2020010030250U KR 20010030250 U KR20010030250 U KR 20010030250U KR 200275132 Y1 KR200275132 Y1 KR 200275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cover member
garment
separating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연억
Original Assignee
방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연억 filed Critical 방연억
Priority to KR2020010030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132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시에 두 벌의 의류를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겉 커버 부재와 제1 겉 커버 부재와 테두리가 결합된 제2 겉 커버 부재와 제1 겉 커버 부재와 제2 겉 커버 부재 사이에 끼워져 제1, 제2 겉 커버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결합된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분리부재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지고 제1 겉 커버 부재와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제2 겉 커버 부재와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 각각이 외부와 통할 수 있게 하는 출입구가 마련된 의류 보관 커버가 제공된다. 의류 출입구는 각각의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 상에 마련되거나 제1 겉 커버 부재와 제2 겉 커버 부재가 만나는 가장자리에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결합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재에는 주머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 제2 겉 커버 부재와 분리부재로서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제2 겉 커버 부재는 투명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류 보관 커버 {CLOTHING COVER CONTAINING CLOTHES}
본 고안은 의류 보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쪽에 옷을 넣어 보관하는 의류 보관 커버에 관한 것이다.
계절이 다른 옷 또는 오랫동안 입지 않는 옷을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면 먼지 등이 쌓여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의류 보관 커버를 사용한다. 의류 보관커버는 양복 코트 등 보통 고급 의류를 손상 없이 청결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놓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류 보관용 주머니이다. 종래의 의류 보관 커버는 천,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등을 두 장 겹치고 가장자리를 봉제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만든다. 이때, 옷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비된 출입구와 옷걸이의 갈고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멍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류 커버는 옷을 보관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이 하나뿐이었다. 하나의 의류 커버 내에는 한 벌의 의류만을 보관할 수밖에 없어 다량의 의류를 의류 커버에 넣어 보관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그만큼 많은 의류 커버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의류 커버 내에 독립되어 분리된 두 공간을 마련하여 각각의 분리된 공간에 옷을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시에 두 벌의 의류를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커버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류 커버 20 : 제1 겉 커버 부재
26 : 지퍼 24 : 투명창
30 : 제2 겉 커버 부재 38 : 의류 출입구
40 : 분리부재 42 : 기능성 주머니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테두리가 결합된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제2 겉 커버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제2 겉 커버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결합된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 각각이 외부와 통할 수 있게 하는 출입구가 마련된 의류 보관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의류 출입구는 각각의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 상에 마련되거나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가 만나는 가장자리에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결합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재에는 주머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로서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제2 겉 커버 부재는 투명창을 구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보관 커버를 도시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의류 보관 커버(10)는 제1 겉 커버 부재(20), 제2 겉 커버 부재(30), 분리부재(40)를 구비한다.
제1 겉 커버 부재(20)와 제2 겉 커버 부재(30)는 분리부재(40)를 중심으로 대칭인 구성이므로 제1 겉 커버 부재(20)만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겉 커버 부재(20)의 중앙에는 아래위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출입구(38)가 구비된다. 제1 겉 커버 부재(20)는 출입구(38)에 의해 좌, 우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데, 오른쪽 부분의 일부분에는 투명창(24)이 구비된다. 투명창(24)은 내부가 보이는 비닐 재질로서 내부에 보관된 의류를 꺼내지 않고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이 겉 커버 부재의 오른쪽 일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투명창의 구비 위치가 이와 같이 제한된 것이 아니다. 투명창은 어느 위치에든 구비될 수 있으며 투명창이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부재(40)는 제1 겉 커버 부재(20)와 제2 겉 커버 부재(30) 사이에 위치한다. 분리부재(40)의 중앙에는 나프탈렌 등의 기능성 화학물질을 넣어 놓을 수 있는 주머니(42)가 구비된다.
제1, 제2 겉 커버 부재(20, 30)에서 투명창(24)을 제외한 부분과 분리부재(40)의 재료로는 습기흡수와 통풍 효과가 뛰어난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제1 겉 커버 부재(20), 분리부재(40), 제2 겉 커버 부재(30) 순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에 마감부재(25)가 덧씌워진다. 중앙 상부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감부재(25)를 씌우고 제1, 겉 커버 부재(20), 분리부재(40), 제2 겉 커버 부재(30)가 동시에 겹쳐진 상태로 봉제된다. 제1 겉 커버 부재(20)와 제2 겉 커버 부재(30)의 봉제되지 않은 중앙 상부 부분으로는 의류 보관 커버(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멍(34, 36)이 각각 형성된다. 이 구멍(34, 36)으로는 옷걸이의 갈고리가 돌출된다.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의류 출입구(38)에는 지퍼(26)가 마련되어 출입구(38)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의류 보관 커버(10a)는 제1 겉 커버 부재(20a), 제2 겉 커버 부재, 분리부재(40a)를 구비한다.
제2 겉 커버 부재는 제1 겉 커버 부재(20a)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제1 겉 커버 부재(20a)와 제2 겉 커버 부재는 대칭인 구성이므로 제1 겉 커버 부재(20a)만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겉 커버 부재(20a)는 오른쪽 일부분에 투명창(24a)을 구비한다.
분리부재(40a)는 제1 겉 커버 부재(20a)와 제2 겉 커버 부재 사이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분리부재(40a) 중앙에는 나프탈렌을 넣어 놓을 수 있는 나프탈렌 주머니를 마련할 수 있다.
제1 , 제2 겉 커버 부재(20a)의 투명창(24a)을 제외한 부분과 분리부재(40a)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습기흡수와 통풍의 효과가 뛰어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출입구는 의류 보관 커버(10a)의 제1 겉 커버 부재(20a)와 제2 겉 커버 부재가 만나는 테두리의 일 측면에 구비된다. 이 출입구에는 지퍼(22a)가 마련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보관 커버에서는 분리부재(40a)의 한 쪽 경계(44a)는 출입구와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다. 즉, 분리부재(40a)는 출입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1 겉 커버 부재(20a), 분리부재(40a), 제2 겉 커버 부재 순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출입구는 제외한 부분)에 마감부재(25a)가 덧씌워진다. 중앙 상부의 일부분의 제1 겉 커버 부재(20a)와 제2 겉 커버 부재, 분리부재(40a)에서 지퍼(22a)가 구비되는 측면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마감부재(25a)에 의해 제1 겉 커버 부재(20a), 분리부재(40a), 제2 겉 커버 부재가 겹쳐진 상태로 봉제된다. 제1 겉 커버 부재(20a)와 제2 겉 커버 부재의 봉제되지 않은 중앙 상부의 일부분으로는 의류 보관 커버(10a)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멍(34a, 36a)이 각각 형성된다. 이 구멍(34a, 36a)으로는 옷걸이의 갈고리가 돌출된다.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의류 출입구는 의류 보관 커버(10a)의 측면에 구비된 지퍼(22a)를 열고 닫음으로써형성된다.
상기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로서 출입구를 제1 겉 커버 부재, 분리부재, 제2 겉 커버 부재의 밑 부분을 봉제하지 않음으로써, 의류 출입구가 의류 보관 커버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의류 보관 커버의 출입구는 지퍼 대신 벨크로(루프 앤 후크 패스너), 단추 등과 같은 다른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류 보관 커버에는 양복, 와이셔츠, 블라우스, 코트 및 각종 자켓 등이 보관될 수 있는데, 수납 의류 종류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동시에 옷을 넣는 독립적인 공간이 두 개 마련된 의류 커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의류 커버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창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된 의류를 확인할 수 있다. 내부에 나프탈렌 등과 같은 기능성 화학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주머니를 구비함으로써, 의류를 더 양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테두리가 결합된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제2 겉 커버 부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제2 겉 커버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두리가 결합된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 각각이 외부와 통할 수 있게 하는 출입구가 마련된 의류 보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출입구가 각각의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 상에 마련된 의류 보관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출입구가 상기 제1 겉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겉 커버 부재가 만나는 가장자리에 구비된 의류 보관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결합부재를 구비한 의류 보관 커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주머니가 구비되는 의류 보관 커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 제2 겉 커버 부재와 상기 분리부재로서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의류 보관 커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제2 겉 커버 부재는 투명창을 구비하는 의류 보관 커버.
KR2020010030250U 2001-10-04 2001-10-04 의류 보관 커버 KR200275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50U KR200275132Y1 (ko) 2001-10-04 2001-10-04 의류 보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50U KR200275132Y1 (ko) 2001-10-04 2001-10-04 의류 보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132Y1 true KR200275132Y1 (ko) 2002-05-13

Family

ID=7310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50U KR200275132Y1 (ko) 2001-10-04 2001-10-04 의류 보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1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96Y1 (ko) * 2015-08-14 2016-04-12 이시온 모피 의류 커버
KR102149207B1 (ko) 2019-08-29 2020-08-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웨딩드레스 포장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96Y1 (ko) * 2015-08-14 2016-04-12 이시온 모피 의류 커버
KR102149207B1 (ko) 2019-08-29 2020-08-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웨딩드레스 포장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676B1 (ko) 보안 포켓
US5065864A (en) Laundry valet
US20130298312A1 (en) Garment with safety pockets
US4613039A (en) Drop bottom garment bag
US20020148694A1 (en) Suitcase with duplicate disclosure lids
US7051373B1 (en) Breast pocket for sweatshir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380909A (en) Combination garment and carrying bag
KR200275132Y1 (ko) 의류 보관 커버
US2874827A (en) Garment bag
JP6759672B2 (ja) 上衣
JPH0444568Y2 (ko)
JP3059906U (ja) 衣服のポケット
JP3216981U (ja) 衣服のポケット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服
JP3223796U (ja) 洗濯ネット
JP2799306B2 (ja) セーラー服または布帛類の胸ポケット
US1571847A (en) Safety pocket
JP2011093550A (ja) スーツ二着収納袋
JPS5928016Y2 (ja) ポケツト内の隠しポケツト
JPH0437845Y2 (ko)
JP2002209708A (ja) 衣服カバー
JP2504268Y2 (ja) 衣服カバ―
KR200316832Y1 (ko) 장갑부착형 의류
KR101376126B1 (ko) 의복용 주머니
KR200383951Y1 (ko) 의복커버
JP3108523U (ja) トラン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