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26B1 - 의복용 주머니 - Google Patents

의복용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26B1
KR101376126B1 KR1020140001775A KR20140001775A KR101376126B1 KR 101376126 B1 KR101376126 B1 KR 101376126B1 KR 1020140001775 A KR1020140001775 A KR 1020140001775A KR 20140001775 A KR20140001775 A KR 20140001775A KR 101376126 B1 KR101376126 B1 KR 10137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ocket
garment
sew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림
Original Assignee
이청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림 filed Critical 이청림
Priority to PCT/KR2014/0001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05205A1/ko
Priority to KR1020140001775A priority patent/KR101376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7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with drop-proof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의복용 주머니는 제 1 주머니 면, 가이드 면 및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의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슬롯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된다. 상기 제 2 주머니 면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서 봉제된다.

Description

의복용 주머니 {POCKET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복용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의복용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의 및 하의 등의 의복은 지갑, 동전 및 핸드폰 등을 포함하는 각종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상기 주머니의 일반적인 형태는 의복의 본체를 절단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물품을 담을 수 있는 헝겊을 상기 의복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절단부에서 상기 헝겊을 봉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주머니의 문제점은 단순한 포켓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의복을 착용하는 사람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상기 주머니에 보관된 물품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남성용 의복이나 트레이닝 복과 같은 의복의 경우, 착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상체를 숙일 때, 또는 물구나무 서거나 몸을 옆으로 뉘일 때 상기 주머니 입구의 개방 정도는 상당히 커지며, 이에 따라 주머니에 보관 중인 물품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쉽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머니의 입구 부분에 지퍼, 벨크로 테이프(또는 찍찍이) 또는 단추 등의 개폐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주머니의 입구 부분이 착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주머니 개폐 수단들은 주머니를 형성하기 위한 의복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며, 주머니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착용자가 상기 개폐 수단을 먼저 개방시켜야 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주머니가 별도로 상기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의복의 외관적 디자인을 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관된 물품이 주머니에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제 1 주머니 면;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의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슬롯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서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제 1 주머니 면;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상기 가이드 면의 출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제 1 커버 면; 상기 제 1 커버 면을 덮고, 양측이 상기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중 하나와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제 2 커버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은 제 1 주머니 면;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의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슬롯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서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은 제 1 주머니 면;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상기 가이드 면의 출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제 1 커버 면; 상기 제 1 커버 면을 덮고, 양측이 상기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중 하나와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제 2 커버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의 외관이나 미감을 해치지 않고 보관된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물품 분실 방지 수단에 비해 주머니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의복 착용자의 손이 도 1의 의복용 주머니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의복 착용자의 손이 도 3b의 의복용 주머니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경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내지 6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커버 면이 발 형태를 갖는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의복용 주머니가 의복에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3a의 의복용 주머니가 의복에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파선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 또는 면의 경계를 나타내고, 일점 쇄선은 부착 선 또는 봉제 선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1)는 제 1 주머니 면(10), 가이드 면(20) 및 제 2 주머니 면(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은 의복의 외측을 향한 주머니 면일 수 있고,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의복의 내측을 향한 주머니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은 상기 가이드 면(20)과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이 드나들 수 있는 개구(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20)은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21)은 상기 의복용 주머니(1)의 저장 공간으로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이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21)은 상기 가이드 면(20)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가이드 면(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21)의 절개 길이는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이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드나드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슬롯의(21) 절개 부분은 오버로크를 포함하는 어떠한 마감 방식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21)은 상기 개구(11)와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절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슬롯(21)은 상기 개구(11)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면(20)은 상기 제 1 슬롯(21)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40) 및 하부 면(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면(4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개구(1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 면(40)의 양측(a)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복 착용자의 손 및 물품은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가이드 면(20)은 T 자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이드 면(20)의 형태는 의복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의 형태도 의복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의복용 주머니(1)가 바지에 적용될 때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은 상기 개구(11)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면(50)은 상기 제 1 슬롯(21)과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하부 면(50)은 상기 하부 면(50) 전체를 가로질러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부분적으로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과 봉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을 덮도록(즉, 상기 가이드 면(2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제 2 주머니 면(30) 사이에 위치된다.)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과 봉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가이드 면(20)이 상기 개구(1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가이드 면(20)과 봉제되고,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및 상기 가이드 면(20)과의 사이에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상기 저장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는 의복 착용자의 손이 도 1의 의복용 주머니(1)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의복용 주머니(1)의 사용 모습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제 2 주머니 면(30)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 2에서, 의복 착용자의 손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가이드 면(20)이 형성하는 개구(11)를 통해 상기 의복용 주머니(1)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20)의 상부 면(40)의 양측(a)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기 때문에, 상기 의복 착용자의 손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의복 착용자의 손뿐만 아니라 물품은 상기 개구(11) 및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상기 저장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은 상기 제 1 슬롯(21) 및 상기 개구(11)를 통해서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의복 착용자의 손은 상기 제 1 슬롯(21) 및 상기 개구(11)를 통해 자유롭게 상기 의복용 주머니(1)의 내부 및 외부를 왔다갔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저장 공간에 수납된 물품은 상기 의복 착용자가 일부러 손을 이용해 물품을 꺼내지 않는 한, 상기 의복용 주머니(1)를 스스로 빠져 나오기 어렵다. 상기 물품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0, 30)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을 빠져 나와야만 상기 의복용 주머니(1)의 외부로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슬롯(21)은 좁고 가늘기 때문에, 상기 저장 공간에 위치하는 물품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면(20)의 하부 면(50)은 상기 제 1 슬롯(21)과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기 때문에, 상기 물품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가이드 면(20)의 하부 면(50) 사이의 봉제 선에 걸려서 상기 제 1 슬롯(21)을 통과하기가 불가능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면(20)의 하부 면(50)은 접히고, 접힌 부분의 양측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가이드 면(20)의 상부 면(40) 및/또는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접힌 부분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저장 공간의 물품이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3a 및 3b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2, 3)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의복 착용자의 손이 도 3b의 의복용 주머니(3)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2, 3)는 도 1의 의복용 주머니(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가이드 면(20)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3a 및 3b에서, 도 1의 의복용 주머니(1)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 3a에서, 상기 가이드 면(20)은 하부 면(50)의 중앙 부분에 제 2 슬롯(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롯(51)은 상기 제 1 슬롯(21)과 동일한 길이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면(20)의 하부 면(50)은 상기 제 2 슬롯(51)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 1 하부 면(60) 및 제 2 하부 면(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면(70)은 상기 제 2 슬롯(5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하부 면(60)의 위로 포개어져 접힐 수 있고,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양측은 상기 제 1 하부 면(60)과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면(60)과 포개어져 접힌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상단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될 수 있고, 봉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의복용 주머니(2)는 제 1 주머니 면(10)과 제 2 주머니 면(30) 사이에서 형성된 주머니 공간에 들어간 물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슬롯(21, 51)을 통해서만 상기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품이 상기 의복용 주머니(2)를 빠져 나오기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3b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3)의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길이는 상기 제 1 하부 면(60)보다 더 길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하부 면(60) 및 제 2 하부 면(70)은 서로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하부 면(70)이 상기 제 2 슬롯(5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면(60) 위로 포개어져 접히면, 상기 제 2 하부 면(70)은 상기 제 1 슬롯(21)을 함께 덮을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면(20)의 상부 면(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양측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하부 면(60) 및 상기 가이드 면(20)의 상부 면(40)과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양측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함께 봉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의복 착용자의 손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가이드 면(20)이 형성하는 개구(11)를 통해 상기 제 1 슬롯(21)으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롯(21, 51)을 통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의복 착용자가 물품을 상기 저장 공간에 진입시킨 경우, 상기 물품은 스스로 상기 의복용 주머니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 공간에 들어온 물건은 좁고 가느다란 상기 제 1 및 제 2 슬롯(21, 51)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갈 수 밖에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물품이 스스로 상기 저장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제 2 하부 면(70)이 상기 제 1 슬롯(21)을 덮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에 들어간 물품이 상기 제 1 및 제 2 슬롯(21, 51)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오기 더욱 어렵게 한다. 상기 저장 공간에 들어간 물품은 좁고 가느다란 상기 제 2 슬롯(51)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고, 상기 제 1 하부 면(70)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사이의 봉제 선에 걸려 다시 저장 공간으로 돌아가거나,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위쪽, 즉, 상기 제 2 하부 면(70)과 제 2 주머니 면 사이를 거쳐서 다시 저장 공간으로 돌아갈 것이다. 또한, 휴대폰과 같은 무거운 물품들은 상기 제 1 하부 면(60) 및 제 2 하부 면(70)을 젖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슬롯(21, 51)을 통해 빠져나가기 어렵다. 상기 물품이 상기 제 2 슬롯(51)을 통과하였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좁고 가는 제 1 슬롯(21)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물품이 상기 의복용 주머니(3)를 빠져 나오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하부 면(70)의 상단이 봉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슬롯(51)을 통과한 물품은 상기 제 2 슬롯(21)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 2 하부 면(70)과 상기 가이드 면(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시 저장 공간으로 돌아올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의복용 주머니(1, 2, 3)는 하나의 가이드 면을 사용하여 1개 이상의 슬롯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는 동일한 재질의 직물뿐만 아니라 다른 재질의 직물로도 구성될 수 있고, 물품 분실 방지용 의복용 주머니의 형상을 위해 위해 하나의 구성을 추가하면 되므로 물품 분실 방지를 위한 주머니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형성부(80)를 더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4)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의복용 주머니는(4) 도 3b의 의복용 주머니(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의복용 주머니(4)는 경사 형성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형성부(80)는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가이드 면(20)의 제 1 하부 면(6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경사 형성부(80)는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 상기 제 1 하부 면(6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및/또는 상기 제 1 하부 면(60)과 부착 또는 봉제될 수 있다. 상기 경사 형성부(80)는 상기 제 1 하부 면(60) 및 상기 제 2 하부 면(70)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에 대해 경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저장 공간에 들어간 물품이 상기 제 2 슬롯(51)으로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고, 상기 물품이 상기 제 1 하부 면(70)과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사이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 형성부(80)는 상기 의복용 주머니(4)를 구성하는 주머니 면 또는 가이드 면과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탄성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5, 6, 7)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의복용 주머니(5, 6)는 도 1 내지 도 4의 의복용 주머니(1, 2, 3)의 상기 가이드 면(20)을 대체하여 1개의 가이드 면과 2개의 커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5)는 제 1 주머니 면(110), 가이드 면(120), 제 1 커버 면(130), 제 2 커버 면(140) 및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120)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 봉제되어 입구(111)와 출구(1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구(111)는 상기 의복용 주머니(5)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출구(121)는 상기 의복용 주머니(5)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 면(130)은 상기 출구(121)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 면(140)은 상기 제 1 커버 면(130) 및 상기 가이드 면(120)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제 2 커버 면(140)의 양측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커버 면(130) 및/또는 상기 가이드 면(120)과 봉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버 면(14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 면(140)의 상단 및 하단은 아무런 봉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 면(140)의 길이는 상기 제 1 커버 면(13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고, 상기 제 2 커버 면(140)의 하단은 상기 제 1 커버 면(130)의 하단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커버 면(140)은 상기 제 1 커버 면(130)과의 사이에서 추가적인 출구(13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출구(121)를 덮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주머니 면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 상기 가이드 면(120),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을 위에서 덮고(즉, 상기 가이드 면(120),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 사이에 위치됨),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 및 상기 가이드 면(120)의 둘레를 따라 봉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주머니 면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의 사이에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의복 착용자의 손은 상기 입구(111), 출구(121) 및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를 통해 상기 의복용 주머니(5)의 내부 및 외부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물품은 상기 저장 공간에 들어오면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 1 커버 면(130)과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 사이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 2 커버 면(140) 상부로 지나가기 때문에 스스로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를 빠져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휴대폰과 같은 무거운 물품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을 젖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물품들은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로 빠져나올 수 없다. 상기 물품이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를 빠져 나왔다고 하더라도, 상기 출구(121)를 통해 상기 의복용 주머니(5)의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며, 상기 제 2 커버 면(140)과 상기 가이드 면(120) 사이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저장 공간으로 돌아갈 것이다.
도 6b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6)의 상기 제 2 커버 면(140)은 제 1 커버 면(130)보다 더 긴 길이를 갖고 더 넓은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 면(140)은 상기 제 1 커버 면(130)을 완전하게 덮고, 상기 제 1 커버 면(130)과 상기 가이드 면(120) 사이의 틈새를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저장 공간에 들어간 물품이 상기 추가적인 출구 및 상기 출구를 통해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6)를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6c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7)는 제 3 커버 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 면(150)은 상기 제 2 커버 면(140)의 일부 및 상기 가이드 면(1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 면(150)은 상기 제 2 커버 면(140) 및 상기 가이드 면(120)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 1 주머니면(110), 상기 가이드 면(120) 및 상기 제 2 커버 면(140) 중 하나 이상과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 면(150)은 저장 공간의 물품이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 및 상기 출구(121)를 통해 상기 의복용 주머니 외부(7)로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8)의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의 하단 부는 '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은 발 형태로 형성된 후 봉제될 수도 있고, 도 6a 및 6b에서와 같이 서로 봉제된 이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의 하단 부를 함께 절단함으로써 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의 하단 부는 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 공간에 들어온 물품이 상기 출구(121)를 통해 상기 의복용 주머니(8)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의복용 주머니(1)가 적용된 의복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6a의 의복용 주머니(4)가 적용된 의복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은 의복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주머니 면(30)은 의복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20)의 상부 면(40)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므로,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은 상기 개구(11) 및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0, 30)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으로 들어간 물품은 좁고 가느다란 상기 제 1 슬롯(21)을 통해서만 상기 의복 주머니 밖으로 빠져나올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 가이드 면(20)의 하부 면(50)은 상기 제 1 슬롯(21)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되므로, 상기 저장 공간의 물품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상기 하부 면(50) 사이에 걸리도록 하여 의복 착용자의 어떠한 동작에 의해 상기 물품이 스스로 상기 의복용 주머니를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 1 주머니 면(110)은 의복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주머니 면(160)은 의복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120)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110)과 봉제되므로, 의복 착용자의 손 또는 물품은 상기 입구(111), 상기 출구(121) 및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10, 160)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으로 들어간 물품은 좁고 가느다란 상기 추가적인 출구(131) 및 상기 출구(121)를 통해서만 상기 의복 주머니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의 어떠한 동작에 의해 상기 물품이 스스로 상기 의복용 주머니를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커버 면(130, 140)은 저장 공간의 물품이 상기 출구(121) 및 추가적인 출구(131)를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하나의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로 수정, 변경되거나 다른 실시예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의복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의복에 사용되는 주머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3/4/5/6/7/8: 의복용 주머니 10/110: 제 1 주머니 면
11: 개구 20/120: 가이드 면
21: 제 1 슬롯 30/160: 제 2 주머니 면
40: 상부 면 50: 하부 면
51: 제 2 슬롯 60: 제 1 하부 면
70: 제 2 하부면 80: 경사 형성부
111: 입구 121: 출구
130: 제 1 커버 면 131: 추가적인 출구
140: 제 2 커버 면 150: 제 3 커버 면

Claims (9)

  1. 제 1 주머니 면;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의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슬롯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서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롯은 상기 개구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의복용 주머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하부 면의 중앙 부분에 제 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면은 상기 제 2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 1 및 제 2 하부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하부 면은 상기 제 2 슬롯을 기준으로 접혀서 상기 제 1 하부 면과 포개지고, 상기 제 1 하부 면을 덮으며, 상기 제 2 하부 면의 양측은 상기 상부 면과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의복용 주머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 면의 길이는 상기 제 1 하부 면의 길이보다 더 긴 의복용 주머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사이에 삽입되는 경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
  6. 제 1 주머니 면;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상기 가이드 면의 출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제 1 커버 면;
    상기 제 1 커버 면을 덮고, 양측이 상기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중 하나와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제 2 커버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 면은 상기 가이드 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고, 상기 제 2 커버 면의 양측은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와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의복용 주머니.
  8. 제 1 주머니 면;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의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제 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롯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의 양측은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슬롯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서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하는 의복.
  9. 제 1 주머니 면;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가이드 면;
    상기 가이드 면의 출구와 인접하여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봉제되는 제 1 커버 면;
    상기 제 1 커버 면을 덮고, 양측이 상기 가이드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중 하나와 적어도 일 부분이 봉제되는 제 2 커버 면;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 및 상기 가이드 면의 둘레를 따라 봉제되는 제 2 주머니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하는 의복.
KR1020140001775A 2014-01-07 2014-01-07 의복용 주머니 KR10137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0151 WO2015105205A1 (ko) 2014-01-07 2014-01-07 의복용 주머니
KR1020140001775A KR101376126B1 (ko) 2014-01-07 2014-01-07 의복용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775A KR101376126B1 (ko) 2014-01-07 2014-01-07 의복용 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126B1 true KR101376126B1 (ko) 2014-03-19

Family

ID=5064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775A KR101376126B1 (ko) 2014-01-07 2014-01-07 의복용 주머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6126B1 (ko)
WO (1) WO201510520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50Y1 (ko) 2001-12-10 2002-03-18 김진호 이중주머니의 개폐 구조
KR101190179B1 (ko) 2010-10-25 2012-10-15 조강래 복수 내부 포켓을 구비한 하의 포켓용 주머니 및 동 주머니의 제조 방법
KR101287463B1 (ko) 2012-10-17 2013-07-19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KR20130134066A (ko) * 2012-05-30 2013-12-10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1468B2 (ja) * 2008-11-07 2011-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胸ポ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50Y1 (ko) 2001-12-10 2002-03-18 김진호 이중주머니의 개폐 구조
KR101190179B1 (ko) 2010-10-25 2012-10-15 조강래 복수 내부 포켓을 구비한 하의 포켓용 주머니 및 동 주머니의 제조 방법
KR20130134066A (ko) * 2012-05-30 2013-12-10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KR101287463B1 (ko) 2012-10-17 2013-07-19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205A1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777B2 (en) Compression mobile pocket for garments
KR102113676B1 (ko) 보안 포켓
US20110145980A1 (en) Non-Slip Pockets
US20170354192A1 (en) Lower body garment with secure pocket
US2317176A (en) Container bag and outer garment
CA2988653A1 (en) Apparel with integrated storage
JPWO2018011866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取付構造
KR101376126B1 (ko) 의복용 주머니
US2291414A (en) Self-closing safety pocket
US20150359279A1 (en) Garment
KR101287463B1 (ko)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CN115697118A (zh) 设有穿伸区域的纺织物品
JP5856643B2 (ja) 複数の収納部を有する衣服用ポケット、及び当該衣服用ポケットを備えた衣服
JP2014019978A (ja) 衣類
KR20130134066A (ko) 의복용 주머니
JP3216981U (ja) 衣服のポケット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服
JP3205460U (ja) ズボンのポケット構成
KR200462992Y1 (ko) 가방 기능이 구비된 바지
TWI761073B (zh) 具改良式口袋的便利服裝
JP3100809U (ja) 収納ベルト
KR101485789B1 (ko) 지퍼가 구비된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US1102973A (en) Lady's house-dress.
KR200275132Y1 (ko) 의류 보관 커버
WO2014038740A1 (ko)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KR20170044901A (ko) 주머니와 허리밴드가 내설된 티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