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658Y1 - snow sledge - Google Patents

snow sle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658Y1
KR200274658Y1 KR2020020002397U KR20020002397U KR200274658Y1 KR 200274658 Y1 KR200274658 Y1 KR 200274658Y1 KR 2020020002397 U KR2020020002397 U KR 2020020002397U KR 20020002397 U KR20020002397 U KR 20020002397U KR 200274658 Y1 KR200274658 Y1 KR 200274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sled
coupling
sliding gui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3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중건
Original Assignee
안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건 filed Critical 안중건
Priority to KR2020020002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6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658Y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의 제어가 매우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독특한 심미감을 감득할 수 있도록 한 눈썰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d that enables the control of rotation to be made very easily and accurately, and to capture a unique aesthetic sense.

본 고안은 좌대(21) 및 주행용 활강가이드(23) 등을 구비하는 몸체(20)와, 좌,우대칭되는 1조의 조작페달(31) 및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 등을 구비하는 방향조절대(30)와, 상기 몸체(20)와 방향조절대(30)를 연결·고정시켜 주기 위한 연결로드(40)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rection provided with a body 20 having a base 21 and the driving guide 23 for driving, and a set of operation pedal 31 and the direction adjustment sliding guide 33 and the like, left and right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rod (30), the connecting rod 4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본 고안은 족답식 조작페달(31)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눈썰매(10)의 회전방향을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예방함과 아울러 활강의 흥미감을 배가시켰고, 방향조절대(30)에 마련되는 캐릭터 거치부(32)에 각종 캐릭터(C)를 거치시켜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신체 고른 부위에 유익한 운동효과를 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led 10 very easily and precisely by applying the stepping operation pedal 31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nd double the interest of the downhill, the direction adjuster (30) Various characters (C) can be mounted on the character holder 32 to be provided) to create a unique aesthetic sense, and can have an beneficial effect on the user's body evenly.

Description

눈썰매{snow sledge}Snow Sled {snow sledge}

본 고안은 눈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회전방향 및 제동 등의 제어가 매우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독특한 심미감을 감득할 수 있도록 한 눈썰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led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sledding so that the control of the rotation direction and braking can be made very easily and accurately, and a unique aesthetic sense can be obtained.

통상의 눈썰매는 만곡지는 좌대에 활강가이드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활강가이드를 부착한 것 등이 있는데, 각각의 눈썰매 모두가 양측에 안전손잡이를 마련하거나 눈썰매의 전측에 안전줄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안전손잡이 또는 안전줄을 움켜쥔 상태에서 눈위를 활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rdinary sledding curves include a sliding guide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or a separate sliding guide, and each sled is provided with safety handles on both sides or a safety line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led. It is designed to allow you to glide on your eyes while holding a safety handle or a safety cord.

상기한 종래의 눈썰매는 대개가 일률천편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특히 아동)에게 별반의 흥미감을 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방향의 제어 및 제동을 위한 별반의 수단이 없어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leds are generally uniform in shape, and they are not able to give the user (especially children) a special interest, and there are no separate means for controlling and braking the direction, which causes frequent safety accidents. It is true.

실질적으로 종래의 눈썰매는 방향의 제어 및 제동 등을 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방향의 전환을 위해서는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발을 눈위에 밀착시켜 방향을 전환하고 제동을 위해서는 양발 모두를 눈위에 밀착시켜 눈썰매를 정지시키고 있는데, 위와 같은 조작은 그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정확하지 않은 조작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또한, 조작에 따른 정확한 선회성 및 제어능 등이 떨어져 사용자의 흥미를 반감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Substantially, the control and braking of the conventional sledding direction is dependent on the foot. For the change of direction, the foot of the direction to procee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yes,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and for both braking, both fee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yes. Stopping the sled, the operation is not only accurate, but also can cause safety accidents due to inaccurate operation, and also to reduce the user's interest due to the lack of accurate turnability and control ability There has been a problem such as.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눈썰매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향의 제어 및 제동이 매우 용이하고 사용자의 방향 및 제동제어에 기민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여 눈썰매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흥미를 부여하면서 독특한 심미감을 감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고른 부위에서 유익한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눈썰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eliminat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who manipulates the sled by making the control and braking of the direction very easy and responding promptly to the direction and braking control of the us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pleted sled with the focus of the technical task in order to give a considerable interest to the user to gain a unique aesthetic sense and to obtain a beneficial exercise effect evenly on the user's body.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눈썰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ledge pres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liding guide for driving or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몸체와 연결로드의 결합상태를 발췌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n coupled state of the body and the connecting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향조절대와 연결로드의 결합상태를 발췌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coupling state of the direction adjuster and the connecting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s for Major Parts of Drawing

10: 눈썰매 20: 몸체10: sledding 20: body

21: 좌석부 22: 안전손잡이21: seating section 22: safety handle

23: 주행용 활강가이드 30: 방향조절대23: driving guide 30: direction adjuster

31: 조작페달 32: 캐릭터 거치부31: operation pedal 32: character holder

33: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 40: 연결로드33: Slide guide for direction adjustment 40: Connecting rod

41: 브레이크 레바 41a: 제어판41: Brake lever 41a: Control panel

41b: 손잡이부 42: 인입부41b: handle portion 42: inlet portion

43: 결합부 42a: 고정공43: coupling portion 42a: fixing hole

43a: 결합구 B: 고정브라켓43a: fitting B: fixing bracket

C: 캐릭터 P: 힌지핀C: Character P: Hinge Pin

R: 원복스프링R: One-spring spring

도 1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눈썰매(1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몸체(20) 및 방향조절대(30)와 이들을 상호연결해주기 위한 연결로드(40) 등의 구성요소로 대분하여 구성된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led 10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and interconnected them It is composed of components such as a connecting rod 40 for giving.

상기 몸체(20)는 상판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전측은 개방되는융기부(20a)를 형성하여 융기부(20a)의 내측에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좌석부(21)가 마련되도록 하고, 융기부(20a)의 양측으로 안전손잡이(22)를 형성하며, 몸체(20)의 하방 양측에는 스키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좌,우 1조의 주행용 활강가이드(23)를 형성하고, 몸체(20)의 전측에는 몸체(20)로 내입되는 결합공(24)을 형성한다.The body 20 is protruded upwar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ont side forms a raised portion 20a to be provided so that the seating portion 21 which the user can seat on the inner side of the raised portion 20a, The safety handles 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idge 20a, and on both sides of the ridge 20a, left and right pairs of sliding guides 23 are formed to form a ski-like shape, and the body 20 The front side of the) forms a coupling hole 24 is inserted into the body (20).

상기 방향조절대(30)는 그 중앙에 평평한 영역의 캐릭터 부착부(32)를 마련하여 캐릭터 부착부(32)상에 각종 동물의 두부를 형상화한 캐릭터(C)를 볼팅 또는 접착 등의 수단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캐릭터 부착부(32)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1조의 족답식 조작페달(31)을 부착하며, 방향조절대(30)의 저부에는 외날로 구성되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를 형성하고, 방향조절대(30)의 후측에 고정브라켓(B)을 형성한다.The direction adjuster 30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attaching portion 32 in a flat area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character C, which has shaped the heads of various animals on the character attaching portion 32, by means of bolting or bonding, or the like. And a set of stepping operation pedals 31 which ar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character attaching part 32, and a direction adjusting sliding guide 33 composed of an outer blad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irection adjusting device 30. To form, to form a fixed bracket (B) on the rear side of the direction adjuster (30).

본 고안은 몸체(20)와 연결로드(4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몸체(20)에 형성된 결합공(24)내로 연결로드(40)의 인입부(42)를 인입시킨 다음 볼팅 또는 접착 등의 수단으로 결합하며, 방향조절대(30)와 연결로드(4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방향조절대(30)에 마련된 고정브라켓(B) 사이에 연결로드(40)의 결합부(43)를 위치시킨 다음 고정브라켓(B)과 결합부(43)를 힌지핀(P)으로 체결시켜 방향조절대(30)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joining the body 20 and the connecting rod 40, the lead portion 42 of the connecting rod 40 is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hole 24 formed in the body 20, and then, such as bolting or bonding. In the coupling, the coupling portion 43 of the connecting rod 40 between the fixing bracket (B) provided in the direction adjusting rod 30 in combining the direction adjusting rod 30 and the connecting rod 40 Fixing bracket (B) and the engaging portion 43 by fastening the hinge pin (P) to allow the direction adjuster 30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도 2에 본 고안에 따른 주행용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23,33)의 종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용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23,33)는그 저면(23a,33a)이 평탄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그 저면(23a,33a)의 중앙영역에는 다소 돌출되며 주행용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23,3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활강돌기(23b,33b)를 형성한다.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r direction adjusting sliding guides 23 and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riving or direction adjusting sliding guides 23 and 33 may have the bottom surfaces 23a and 33a. A flat shape is formed, but the protruding portions 23b and 33b protrude slightl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s 23a and 33a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s 23 and 33 for driving or direction control.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활강시에 주행용 활강가이드(23)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의 저면(23a,33a)과 접하는 설면이 사용자 및 눈썰매(10)의 자중에 의해 어느 정도 다져진 상태에서 활강돌기(23b,33b)가 설면에 박히게 되므로 활강하는 눈썰매(10)가 측면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iding surface of the sliding guide 23 for driving or the bottom surface (23a, 33a) of the sliding guide 33 for directional control sliding down to some extent by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sled (10). Since the protrusions 23b and 33b are stuck on the snow surface, the sliding sled 10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to the side.

한편, 본 고안은 몸체(20)와 연결로드(40)를 각각 볼팅 또는 접착 등과 같은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눈썰매(10)의 견고성은 유지되나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효율적 대처가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configuration that can be fixed to the body 20 and the connecting rod 40 by means such as bolting or bonding, respectively, i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aintained the firmness of the sled 10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3에 개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에 결합공(24)으로 관통되는 조절공(25)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결합공(24)내로 조절핀(26)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몸체(20)의 결합공(24)내로 결합되는 연결로드(40)의 인입부(42)에 등간격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공(42a)을 형성한다.An embodiment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Figure 3, as shown in the adjustment to the coupling hole 24 from the outside by forming a control hole 25 through the coupling hole 24 in the body 20 At least two or more fixing holes 42a that allow pin 26 to be fitted therein and are equally spaced in the inlet portion 42 of the connecting rod 40 that is coupled into the coupling hole 24 of the body 20. To form.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몸체(20)의 조절공(25)을 통해 끼워진 조절핀(26)이 연결로드(40)에 형성된 고정공(42a)중 선택된 고정공(42a)에 끼워져 몸체(20)와 연결로드(4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되는데, 조절핀(26)이 끼워지는 고정공(42a)의 위치에 따라 연결로드(40)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몸체(20)와 방향조절대(30) 간의 간격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간격으로 설정하여줄 수 있는 것이다.When configured as above, the adjusting pin 26 fitted through the adjusting hole 25 of the body 20 is fitted into the selected fixing hole 42a of the fixing holes 42a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 body 20.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on rod 40 is maintaine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rod 40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hole 42a to which the adjustment pin 26 is fitted, so that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You can set the interval between) to your desired interval.

그리고, 본 고안은 방향조절대(30)와 연결로드(40)를 힌지핀(P)으로 체결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좌,우의 회전제어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지형이 평탄하게 않을 경우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가 지면(눈위)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않게 되어 조작페달(31)에 의한 방향제어능이 떨어거나 몸체(20)와 방향조절대(30)가 굴곡지형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따로 반응하여 자칫하면 눈썰매(10)가 전복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configuration of fastening the direction adjuster 30 and the connecting rod 40 by the hinge pin (P), 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If it is not flat, the direction control sliding guide 33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eyes) stably, the direction control ability by the operation pedal 31 is reduced or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is bent If you do not respond properly to the terrain and react separately, you may encounter a structural problem that the sled 10 may be overturned.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절대(30)의 후방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B)을 방향조절대(30)와 일체를 이루는 본판(B1)과 분리가 가능한 분리판(B2)으로 구성하여 분리판(B2)을 볼팅 등의 수단으로 본판(B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본판(B1)과 분리판(B2)내에는 반구형의 결합홈(H)을 형성하고, 연결로드(40)의 결합부(43)에 결합부(43)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 결합구(43a)를 마련하여 결합구(43a)가 고정브라켓(B)의 본판(B1)과 분리판(B2)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An embodiment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shown in Figure 4, the main plate (B1) integrally with the direction guide 30 to the fixed bracket (B) mounted to the rear of the direction guide 30 as shown ) And the separating plate (B2) which can be separated to fasten the separating plate (B2) to the main plate (B1) by means of bolting, etc., but the hemispherical coupling in the main plate (B1) and the separating plate (B2) A groove H is formed, and a spherical coupler 43a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upler 43 is provided in the coupler 43 of the connecting rod 40 so that the coupler 43a is fixed to the bracket ( It can be coupled between the main plate (B1) and the separation plate (B2) of B).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방향조절대(30)가 좌,우는 물론 상,하의 움직임까지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몸체(20)와 방향조절대(30)의 움직임이 이원화되어 평탄하지 않은 지면(눈위)에서도 우수한 선회능과 안정적인 활강능을 발휘할 수 있게된다.When configured as above, the direction adjuster 30 can accommodate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as well as up and down, so the movement of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is dualized so that even on an uneven ground (on the snow) Excellent turning ability and stable glide ability.

도 5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로드(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40)에 설치구(40a)를 형성한 다음 설치구(40a)상에 브레이크 레바(41)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브레이크 레바(41)의 하단부에 주걱 형태의 제어판(41a)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상부에는 손잡이부(41b)를 마련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바(41)와 연결로드(40)에 원복스프링(R)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41b)를 당기면 브레이크 레바(41)의 제어판(41a)이 지면(눈위)에 접하여 브레이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손잡이부(41b)를 놓아주면 원복스프링(R)에 의해 제어판(41a)이 들려져 브레이킹이 해제되도록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rod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rod 40a is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n the brake lever 41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40a. And rotatably coupled to form a spatula-shaped control panel 41a at the lower end of the brake lever 41 and a handle portion 41b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brake lever 41 and the connecting rod 40. If the user pulls the handle part 41b by installing the one-piece spring (R) on the brake lever 41, the control panel 41a of the brake lever 4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eyes) to make the braking and releases the handle part 41b. The control panel 41a is lifted by (R) so that the braking is released.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사용자가 몸체(20)의 좌석부(21)에 착좌한 상태에서 몸체(20)의 전측으로 다리를 뻗어 방향조절대(30)의 조작페달(31)에 양발을 거치시킨 다음 눈위에서 활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사용자가 양다리를 움직여 조작페달(31)을 조작하면 연결로드(40)의 결합부(4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방향조절대(30)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눈썰매(10)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e user stretches the leg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 in a sta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 of the body 20 to mount both feet on the operation pedal 31 of the direction adjuster 30 It is to be able to glide on the eyes, then the user moves both legs to operate the operation pedal 31, the direction adjuster 30 rota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connecting rod 40 is left, While moving to the right, the sled 10 will turn in the desired direction.

그리고, 본 고안은 연결로드(40)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바(41)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눈썰매(10)를 정확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본 고안은 결합공(24)에 조절핀(26)이 결합되는 조절공(25)을 형성하고연결로드(40)에 수개의 고정공(42a)을 적용하여 연결로드(4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몸체(20)와 방향조절대(30) 간의 길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방향조절대(30)와 연결로드(40)의 결합에 볼결합방식을 적용하여 방향조절대(30)가 좌,우는 물론 상,하의 움직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도 우수한 선회성과 안정적인 활강이 보장되도록 하였다.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operated to operate the brake lever 41 installed in the connecting rod 40 so that the user can stop the sled 10 precisely at the desired position, and also, the present design is the adjustment pin (coupling hole 24) By forming the adjustment hole 25 to which the 26 is coupled and by applying several fixing holes 42a to the connection rod 40, the user can chang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rod 40 according to his / he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length between the body 20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can be adjusted by itself, and by applying a ball coupling method to the combination of the direction adjuster 30 and the connecting rod 40, the direction adjuster 30 is left,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up and down movement as well as right, ensuring excellent turning and stable running even on uneven terrain.

본 고안은 좌대(21)의 하방에 좌,우 1조의 주행용 활강가이드(23)를 장착하여 안정된 활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연결로드(4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본인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익을 증진하였고, 족답식 조작페달(31)을 적용하여 방향조절대(30)에 부착된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눈썰매(10)의 회전방향을 매우 쉽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조절대(30)가 좌,우는 물론 상,하의 움직임까지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도 우수한 선회성과 안정된 활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 및 제동 등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할 수 있고, 수조작 가능한 브레이크 레바(41)를 적용하여 눈썰매(10)를 소망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세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ovide a stable glide by installing a left and right pair of sliding guides 23 for driving down the base 21, and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40) User convenience of various body types can be adjusted to suit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the convenience of use has been enhanced, and by applying the stepping pedal 31, the direction adjustment sliding guide 33 attached to the direction adjuster 30 can be manipulated. By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led 10 very easily and accurately, the direction adjuster 30 can accommodate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as well as up and down excellent turning even on uneven terrain Performance and stable glide, and accurate control of rotation and braking can multiply user's interest, and can be operated by hand brake lever (4 1) by applying the sled sled 10 in the desired position is effectiv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또한, 본 고안은 안전손잡이(22)를 잡고 있는 손과 조작페달(31)을 조작하는다리에 상당한 운동의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가슴, 허리, 하반신 등과 같은 신체의 고른 부위에 운동효과를 발생시켜 성장기의 아동 및 청소년은 물론 성인에게도 유익한 운동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며, 방향조절대(30)에 마련되는 캐릭터 거치부(32)에 각종 동물의 두부를 형상화한 캐릭터(C)를 거치시켜 사용자에게 타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보는 즐거움까지 아울러 제공하여 놀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ignificant exercise effect on the hand holding the safety handle (22) and the leg to operate the operation pedal (31) ultimately to exercise the effect on even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chest, waist, lower body, etc. It can generate a beneficial exercise effect to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adults in the growth period, and the character (C) shaped the head of various animals to the character holder 32 is provided on the direction adjuster 30 It is a very beneficial design that the expected effect is very large, such as providing not only the enjoyment of riding but also the enjoyment of viewing and inducing the interest of play.

Claims (5)

좌석부(21) 및 안전손잡이(22)와, 주행용 활강가이드(23)와, 결합공(24)을 구비하는 몸체(20)와;A body 20 having a seat portion 21 and a safety handle 22, a sliding guide 23 for driving, and a coupling hole 24; 좌우대칭되는 1조의 조작페달(31)과, 각종 캐릭터를 부착할 수 있는 캐릭터 거치부(32)와,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와, 상,하 1조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B)을 구비하는 방향조절대(30)와;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eration pedals (31) which are symmetrical, a character mounting unit (32) to which various characters can be attached, a sliding guide (33) for direction adjustment, and a fixing bracket (B) composed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direction adjuster 30; 상기 몸체(20)의 결합공(24)에 인입되는 인입부(42)와, 상기 방향조절대(30)의 고정브라켓(B)에 결합되는 결합부(43)를 구비하는 연결로드(4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Connection rod 40 having an inlet portion 42 to be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hole 24 of the body 20 and a coupling portion 43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B) of the direction adjuster 30 Sledding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몸체(20)에는 결합공(24)으로 관통되는 조절공(25)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조절핀(26)을 끼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로드(40)의 인입부(42)에 등간격을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공(42a)을 형성하여 연결로드(4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The body 20 forms an adjustment hole 25 penetrat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24 to allow the adjustment pin 26 to be fitted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o the inlet portion 42 of the connecting rod 40. Sled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t least two or more fixing holes (42a) to vary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4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방향조절대(30)의 후방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B)은 방향조절대(30)와 일체를 이루는 본판(B2)과 분리판(B1)으로 구성하여 분리판(B2)을 볼팅 등의 수단으로 본판(B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본판(B2)과 분리판(B1) 내측에는 반구형의 결합홈(H)을 형성하고, 연결로드(40)의 결합부(43)에 구형 결합구(43a)를 마련하여 결합구(43a)가 고정브라켓(B)을 구성하는 본판(B2)과 분리판(B1) 간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Fixing bracket (B) mounted to the rear of the direction adjuster 30 is composed of the main plate (B2) and the separating plate (B1) integrally with the direction adjuster 30 means for separating the plate (B2), etc. It is possible to fasten to the main plate (B1), the main plate (B2) and the separation plate (B1) inside the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H) is formed, and the spherical coupler in the coupling portion 43 of the connecting rod 40 Sled s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phere (43a)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plate (B2) and the separating plate (B1) constituting the fixing bracket (B) by providing (43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주행용 활강가이드(23)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33)는 그 저면(23a,33a)이 평탄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저면(23a,33a)의 중앙영역에는 하방으로 다소 돌출되며 주행용 또는 방향조절용 활강가이드(23,3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활강돌기(23b,33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The sliding guide 23 for driving or the sliding guide 33 for direction adjustment has its bottom surfaces 23a and 33a flat, but protrudes downwar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surfaces 23a and 33a for driving or direction adjustment. Sled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uides 23b and 33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s 23 and 33 are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연결로드(40)에 설치구(40a)를 형성하여 설치구(40a)상에 제어판(41a)과 손잡이부(41b)를 각각 형성한 브레이크 레바(41)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브레이크 레바(41)와 연결로드(40)에 원복스프링(R)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The mounting rod 40a is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40 so that the brake lever 41 having the control panel 41a and the handle portion 41b formed on the mounting hole 40a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ke lever 41. ) And a s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piece spring (R)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40).
KR2020020002397U 2002-01-25 2002-01-25 snow sledge KR2002746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97U KR200274658Y1 (en) 2002-01-25 2002-01-25 snow sle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97U KR200274658Y1 (en) 2002-01-25 2002-01-25 snow sle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658Y1 true KR200274658Y1 (en) 2002-05-06

Family

ID=7311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397U KR200274658Y1 (en) 2002-01-25 2002-01-25 snow sle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65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671B1 (en) * 2016-10-31 2017-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2344892B1 (en)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Smar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people with impaired legs
KR20220011995A (en) * 2020-07-22 2022-02-0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671B1 (en) * 2016-10-31 2017-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WO2018080037A1 (en) * 2016-10-31 2018-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Ice hockey sledge having variable bracket
KR20220011995A (en) * 2020-07-22 2022-02-0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KR102376940B1 (en) 2020-07-22 2022-03-2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KR102344892B1 (en)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Smar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people with impaired le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716A (en) Extended elevated foot platform
US5299997A (en) Horse-riding type exerciser
US7192038B2 (en) Foot propelled scooter
US7341261B2 (en) Skate
US5143387A (en) Roller skate brake assembly having toe actuator within the boot
US6616163B2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7717439B2 (en) Skate device having turnable wheels
KR200274658Y1 (en) snow sledge
WO2006129918A1 (en) Link type skateboard
US6652422B1 (en) Dual purpose lightweight vehicle for gliding on snow or ice
US9403551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support frame and means for manoeuvring this frame with respect to a sports board
CN209921516U (en) Dual-purpose vehicle for sliding and skating
JP2007330584A (en) Vehicle for sliding down
KR100769330B1 (en) A sliding ski-board
KR200219036Y1 (en) skateboard
KR101837432B1 (en) Roller skates and skateboard switching Sporting goods
US20040161985A1 (en) Novel water sport device
KR101837429B1 (en) Transformable Skating Leisure Sports Goods
US20030168823A1 (en) Snow boogie
KR200435675Y1 (en) Adjustable-length skate
KR101837426B1 (en) Two-in-one roller board
KR940005149Y1 (en) Baby walker
WO1996022211A2 (en) Snow sled
KR200387383Y1 (en) A skate board with ertractable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