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940B1 -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 Google Patents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940B1
KR102376940B1 KR1020200090964A KR20200090964A KR102376940B1 KR 102376940 B1 KR102376940 B1 KR 102376940B1 KR 1020200090964 A KR1020200090964 A KR 1020200090964A KR 20200090964 A KR20200090964 A KR 20200090964A KR 102376940 B1 KR102376940 B1 KR 10237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bucket
disabled
s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1995A (en
Inventor
양경선
Original Assignee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940B1/en
Publication of KR2022001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02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 B62B13/04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a single line
    • B62B13/043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a single line having one single ru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조건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이 용이한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된 버켓유닛; 상기 버켓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하지고정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상기 하지고정유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밸런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유닛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ucket unit provided to be seated; a frame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unit; a lower leg fix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nd a balance unit provided to couple the frame unit and the lower extremity fixing unit, wherein the balance unit is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extremity fix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user's center of gravity. We provide sleds for the disabled ice hockey.

Description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Sled for the disabled ice hockey

본 발명은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조건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이 용이한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일반적으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썰매를 이용한 아이스하키 경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가 마련되고, 안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다리지지부가 형성되며, 안장부의 하부에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이처럼 마련되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사용자가 안장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스틱 등을 이용하여 빙판을 미는 방식으로 이동된다.In general, ice hockey sleds are mainly used for ice hockey games using sleds. The sled for ice hockey is provided with a saddle that a user can sit on, a leg support extending forward from the saddle is formed, and a blade is provided under the saddle. The sled for ice hockey prepared in this way is mov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 pushes the ice using a stick or the like while seated on the saddle.

그러나,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안장부, 다리지지부 및 블레이드가 모두 일체화되어 마련되어 있고, 몇 가지의 사이즈로 길이나 폭 등이 규격화되어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ce hockey sled has a problem that the saddle, the leg support, and the blade are all integrated, and the length and width are standardized in several sizes and cannot be changed.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따라 신체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탑승했을 때, 무게중심도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무게중심에 대응되지 않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탑승한 경우,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일측으로 무게가 쏠려 넘어지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아이스하키용 썰매가 일측으로 무게가 쏠려 넘어지게 될 경우,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body size is different for each user, the center of gravity also differs depending on the user when riding the sled for ice hockey. Therefore, when the user rides on the ice hockey sled that does not correspond to his or her center of gravity, the ice hockey sled may fall over with its weight shifted to one side. As such, if the ice hockey sled falls over with its weight shifted to one side, there is a risk of injury to the user.

또한, 사용자에 따라 키가 크거나, 체중이 증감하여 신체사이즈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음에 자신의 신체사이즈에 맞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구매한 경우에도 자신의 신체사이즈가 변하게 되면 무게중심이 바뀌기 때문에 아이스하키용 썰매가 자신의 무게중심과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depending on the user, there is a case where the body size is changed du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height or weight.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initially purchases a sled for ice hockey that fits his/her body size, if his/her body size changes, the center of gravity changes, so that the ice hockey sled does not match his/her center of gravity.

또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특히, 다리에 장애를 입은 장애우들이 아이스하키 경기에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우들은 일반적인 사용자들과 달리 무게중심이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중심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ice hockey sleds are used in ice hockey games, especially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legs. However, unlike general user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abled often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ice hockey sled.

일 예로, 다리 한쪽이 없는 장애우의 경우, 다리가 있는 쪽으로 무게가 편중된 상태이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려 모멘텀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다리 한 쪽이 없는 장애우가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탑승하여 달릴 경우,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다리가 있는 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려 쉽게 넘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o does not have one leg,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to one side because the weight is biased toward the side with the leg, thereby generating momentum. As such, when a disabled person without one leg rides on an ice hockey sled and run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ce hockey sled is shifted to the side with the legs and can easily fall over.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및 이에 따른 무게중심에 대응되도록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led for ice hockey to correspond to the user's body size and thus the center of gravity.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423호 (2013.10.2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5423 (published on October 22, 2013)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조건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이 용이한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된 버켓유닛; 상기 버켓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하지고정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상기 하지고정유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밸런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유닛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ucket unit provided to be seated; a frame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unit; a lower leg fix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nd a balance unit provided to couple the frame unit and the lower extremity fixing unit, wherein the balance unit is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extremity fix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user's center of gravity. We provide sleds for the disabled ice hocke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는 관통프레임부; 상기 관통프레임부의 양단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결합부; 상기 너트결합부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며, 고정홀이 형성된 볼트체결부; 상기 너트결합부에 결합되는 너트부; 및 내측에 상기 하지고정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볼트체결부에 볼트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unit may include: a through frame part which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Nut coupling portions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and having threads formed thereon; a bolt fastening part extending further from the nut coupling part and having a fixing hole;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nut coupling portion; And the base fixing unit is inserted therei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that is bolt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유닛은, 상기 너트결합부 및 상기 너트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un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is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nut coupling part and the nut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상기 관통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무게중심 및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샤프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through frame par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haft part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상기 관통프레임부의 내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프레임부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coupling portion, by being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adjust the length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발거치부; 및 상기 발거치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leg fixing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 pair of shaft portions provided to support the user's legs; Foot re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portion;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blade formed under the foo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켓유닛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된 버켓부; 상기 버켓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 상기 버켓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버켓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버켓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unit includes a bucket portion provided to be seated; an anti-slip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cket part; a handle portion formed in the bucket portion;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e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켓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브라켓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unit provided to couple the bucket unit and the fram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ade unit formed under the fram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버켓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켓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블레이드유닛을 향해 전방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4 프레임; 상기 제4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5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6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상기 제5 프레임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7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unit may include: a first frame positioned below the bucket uni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ucket unit;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 third fram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toward the blade unit in a front lower portion; a fourth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third fram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lade unit; a fifth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fourth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 sixth frame extending to connec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hir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nd a seventh frame extending to connec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ourth frame and the fifth fram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밸런스유닛을 이용하여 하지고정유닛의 위치를 자신의 무게중심과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텀을 상쇄시켜 안전하게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extremity fixing unit to correspond to his or her center of gravity by using the balance unit, thereby offsetting the momentum gener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for safe ice hockey. You can use a sl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과 밸런스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구체적인 설계 치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d for the disabled ice hoc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led for the disabled ice hoc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fram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nit and a bal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pecific design dimensions of the sled for the disabled ice hoc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과 밸런스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구체적인 설계 치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fram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nit and a bal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sabled ice cr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specific design dimensions of the hockey sl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버켓유닛(110), 프레임유닛(120, 브라켓유닛(130), 하지고정유닛(140), 밸런스유닛(150) 및 블레이드유닛(160)을 포함한다.1 to 5, the ice hockey sled 100 for the disabled includes a bucket unit 110, a frame unit 120, a bracket unit 130, a lower leg fixing unit 140, a balance unit 150, and a blade unit. (160).

상기 버켓유닛(110)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며, 버켓부(111), 미끄럼방지부(112), 손잡이부(113) 및 버켓돌출부(114)를 포함한다.The bucket unit 110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be seated, and includes a bucket part 111 , an anti-slip part 112 , a handle part 113 , and a bucket protrusion part 114 .

상기 버켓부(111)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며,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bucket part 111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sit,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ir having a backrest.

상기 미끄럼방지부(112)는 상기 버켓부(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켓부(111)에 착석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갖게 마련될 수 있다.The anti-slip part 1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cket part 111 and may be provided with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ile seated on the bucket part 111 .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버켓부(111)의 등받이 부분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have a space in the backrest portion of the bucket portion 111 .

상기 버켓돌출부(114)는 상기 버켓부(111)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켓돌출부(114)는 상기 버켓부(111)의 하부에 상기 버켓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버켓돌출부(114)는 상기 브라켓유닛(130)이 결합될 때, 볼트가 상기 버켓부(111)의 상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cket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111 . Specifically, the bucket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to extend under the bucket portion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et portion 111 . The bucket protrusion 114 thus provided can prevent the bolt from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111 when the bracket unit 130 is coupled.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상기 버켓유닛(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1 프레임(121), 제2 프레임(122), 제3 프레임(123), 제4 프레임(124), 제5 프레임(125), 제6 프레임(126), 제7 프레임(127), 제1 관통공(128) 및 제2 관통공(129)를 포함한다.The frame uni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unit 110, the first frame 121, the second frame 122, the third frame 123, the fourth frame 124, the fifth frame. 125 , a sixth frame 126 , a seventh frame 127 , a first through hole 128 , and a second through hole 129 .

상기 제1 프레임(121)은 상기 버켓유닛(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켓유닛(110)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2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bucket unit 110 and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ucket unit 110 .

상기 제2 프레임(122)은 상기 제1 프레임(121)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켓유닛(110)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1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121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110 .

상기 제3 프레임(123)은 상기 제1 프레임(12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유닛(160)을 향해 전방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rame 123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21 toward the blade unit 160 .

상기 제4 프레임(124)은 상기 제3 프레임(12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160)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frame 124 may extend forward from the third frame 123 and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lade unit 160 .

상기 제5 프레임(125)은 상기 제4 프레임(124)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2 프레임(12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fth frame 125 may extend forwardly from the fourth frame 124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122 .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프레임(121) 내지 상기 제5 프레임(125)은 5각형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21 to the fifth frame 125 thus prepared may be provided to form a pentagon.

상기 제6 프레임(126)은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3 프레임(123)과 상기 제4 프레임(124)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ixth frame 126 is formed to extend to connec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rame 121 and the second frame 122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hird frame 123 and the fourth frame 124 . can be

상기 제7 프레임(127)은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4 프레임(124)과 상기 제5 프레임(125)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eventh frame 127 is formed to extend to connec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rame 121 and the second frame 122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ourth frame 124 and the fifth frame 125 . can be

상기 제1 관통공(128)은 상기 제7 프레임(127)의 중앙부에 양측이 연통하는 통공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12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in which both sides communicat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venth frame 127 .

상기 제2 관통공(129)은 상기 제2 프레임(122)과 상기 제5 프레임(125)이 연결되는 부위에 양측이 연통하는 통공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hole 129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in which both sides communicate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frame 122 and the fifth frame 125 are connected.

상기 브라켓유닛(130)은 상기 버켓유닛(110)과 상기 프레임유닛(120)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브라켓(131) 및 제2 브라켓(132)을 포함한다.The bracket unit 130 may be provided to couple the bucket unit 110 and the frame unit 120 , and includes a first bracket 131 and a second bracket 132 .

상기 제1 브라켓(131)은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3 프레임(123)이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통공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버켓돌출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31 may be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frame 121 and the third frame 123 are connected,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bucket protrusion 114 . .

상기 제2 브라켓(132)은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이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통공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버켓돌출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132 may have one end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frame 121 and the second frame 122 are connecte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ucket protrusion 114 . .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은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결합되며, 상기 버켓유닛(110)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은 샤프트부(141), 발거치부(142) 및 보조날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frame unit 120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110 .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may include a shaft portion 141 , a foot portion 142 , and an auxiliary blade portion 143 .

상기 샤프트부(141)는 지지부(155)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버켓유닛(110)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141)는 상기 프레임부(1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141)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shaft part 141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art 155 and extended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110 to support the user's legs. In addition, the shaft part 141 may be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frame part 120 . The shaft part 14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sufficient to support the user's leg.

상기 발거치부(142)는 상기 샤프트부(141)의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부(141)에 다리를 올려놓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샤프트부(141)의 상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oot rest part 1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part 141 , and when the user puts a leg on the shaft part 141 , the user's foot does not deviate from the upper part of the shaft part 141 . It may be arranged not to.

상기 보조날부(143)는 상기 발거치부(1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160)과 함께 상기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100)가 빙판위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부(143)는 상기 샤프트부(141)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blade part 143 may be formed under the footrest part 142 so that the sled 100 for the disabled ice hockey together with the blade unit 160 slides on the ice. In addition, the auxiliary blade part 143 may serve to support the shaft part 141 so as not to be bent by a load.

상기 밸런스유닛(150)은 상기 프레임유닛(120)과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The balance unit 150 may be provided to couple the frame unit 120 and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user's center of gravity. It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상기 밸런스유닛(150)은 관통프레임부(151), 너트결합부(152), 볼트체결부(153), 너트부(154), 지지부(155) 및 볼트부(156)를 포함한다.The balance unit 150 includes a through frame part 151 , a nut coupling part 152 , a bolt fastening part 153 , a nut part 154 , a support part 155 , and a bolt part 156 .

상기 관통프레임부(151)는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프레임부(151)는 상기 제1 관통공(128) 또는 상기 제2 관통공(129)에 관통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관통공(128) 및 상기 제2 관통공(129)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hrough frame part 151 may b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120 . Specifically, the through frame part 151 is provid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8 or the second through hole 129,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 129)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상기 너트결합부(152)는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의 양단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nut coupling part 152 is formed to extend to both ends of the through frame part 151,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볼트체결부(153)는 상기 너트결합부(152)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lt fastening part 153 is formed to extend further from the nut coupling part 152, and a fixing hole penetrat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may be formed.

상기 너트부(154)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너트결합부(15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nut parts 154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nut coupling parts 152 .

상기 지지부(155)는 내측에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이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볼트부(156)가 상기 볼트체결부(153)에 볼트 결합됨에 따라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55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bolt part 156 may be fixedly coupled as the bolt part 156 is bolt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153 .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밸런스유닛(150)은, 상기 너트결합부(152) 및 상기 너트부(154)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the balance unit 150 provided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may be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nut coupling part 152 and the nut part 154 .

일 예로, 우측 다리의 무릎 아래부분이 없는 장애우의 좌우 무게중심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대칭인 사용자의 좌측 다리와 우측 다리의 너비, 높이, 두께를 측정하고, 다리의 질량비를 토대로 각 신체 부위의 무게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좌측 다리의 무게와 우측 다리의 무게에 대한 모멘텀을 구한다. 이때, 구해진 모멘텀의 차이를 통해 좌측과 우측의 모멘텀 합력이 0이되는 지점을 찾아 무게중심을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이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10mm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밸런스유닛(150)은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의 중심이 상기 프레임유닛(12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10mm 수평 이동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의 중심이 우측으로 10mm 수평 이동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좌측 너트부(154)는 좌측 너트결합부(152)에 10mm 더 깊게 결합되고, 우측 너트부(154)는 우측 너트결합부(152)에 10mm 덜 깊게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gravity of a disabled person who does not have a lower part of the knee of the right leg will be described. First, the width, height, and thickness of the asymmetric user's left and right legs are measured, and the weight of each body part is derived based on the mass ratio of the legs. Then, the momentum for the derived weight of the left leg and the weight of the right leg is obtained.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obtained by finding a point where the resultant momentum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ecomes 0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obtained momentum. When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derived by the above method is located at a distance of 10 mm to the left from the center, the balance unit 150 is the center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is the center of the frame unit 120 It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in a state moved horizontally by 10 mm from the right. That is, the left nut part 154 is coupled to the left nut coupling part 152 by 10 mm deeper so that the center of the through frame part 151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is horizontally moved 10 mm to the right, and the right nut part 154 is It may be coupled to the right nut coupling portion 152 less deeply by 10 mm.

상기 너트결합부(152)는, 상기 관통프레임부(151)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무게중심 및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의 샤프트부(14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nut coupling part 152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through frame part 151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haft part 141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can

일 예로, 상기 너트결합부(152)는,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의 내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의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t coupling part 15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frame part 151 can be adjusted by being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frame part 151 .

이처럼 마련된 너트결합부(152)는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에 나사 결합 깊이에 따라서 한 쌍의 상기 샤프트부(14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nut coupling part 152 provided in this way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haft parts 141 according to the screw coupling depth to the through frame part 151 .

또한,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너트결합부(152)가 상기 관통프레임부(151)에 나사 결합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지고정유닛(140)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무게중심과 대응되게 하지고정유닛(140)의 수평 위치에 대한 조절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epth at which the pair of nut coupling parts 15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frame part 151 are screwed to the through frame part 151, the lower leg fixing unit 140 is horizontally moved. can That i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fixing unit 140 can be further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또한, 상기 너트부(154)는 무게 조절 필요에 따라 상기 너트결합부(152)에 복수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일측에 무게를 더하여 미세조절을 원할 때, 상기 너트부(154)는 너트결합부(152)에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nut part 154 may be coupled to the nut coupling part 152 according to the need for weight control. That is, when a fine adjustment is desired by adding weight to one side, a plurality of the nut parts 154 may be coupled to the nut coupling part 152 .

상기 블레이드유닛(160)은 상기 프레임유닛(120)의 하부에 마련되며, 캐리어(161) 및 블레이드부(162)를 포함한다. The blade unit 160 is provided under the frame unit 120 and includes a carrier 161 and a blade unit 162 .

상기 캐리어(161)는 상기 블레이드부(162)가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arrier 16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blade unit 162 can be detached.

상기 블레이드부(162)는 한 쌍의 스케이트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케이트날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스케이트날의 간격은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에 대응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되는 상기 블레이드유닛(160)은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텀을 상쇄할 수 있다.The blade unit 162 may be formed of a pair of skate blades. The pair of skate blade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kate blades may be adjustable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The blade unit 160 provided in this way can offset the momentum generated at the user's center of gravity position.

종래에는 아이스하키용 썰매가 모두 일체화되어 마련되어 있고, 몇 가지의 사이즈로 길이나 폭 등이 규격화되어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여 사용자 맞춤형 조절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밸런스유닛(150)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무게중심 맞춤형 조절이 용이하다.Conventionally, all sleds for ice hockey are provided in one piece, and the length and width of several sizes are standardized and cannot be changed, so it is impossible to customize the user's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in this way, by adjusting the balance unit 150, it is easy to adjust the user's center of gravit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110: 버켓유닛 111: 버켓부
112: 미끄럼방지부 113: 손잡이부
114: 버켓돌출부 120: 프레임유닛
121: 제1 프레임 122: 제2 프레임
123: 제3 프레임 124: 제4 프레임
125: 제5 프레임 126: 제6 프레임
127: 제7 프레임 128: 제1 관통공
129: 제2 관통공 130: 브라켓유닛
131: 제1 브라켓 132: 제2 브라켓
140: 하지고정유닛 141: 샤프트부
142: 발거치부 143: 보조날부
150: 밸런스유닛 151: 관통프레임부
152: 너트결합부 153: 볼트체결부
154: 너트부 155: 지지부
156: 볼트부 160: 블레이드유닛
161: 캐리어 162: 블레이드부
100: sled for disabled ice hockey
110: bucket unit 111: bucket unit
112: non-slip part 113: handle part
114: bucket protrusion 120: frame unit
121: first frame 122: second frame
123: third frame 124: fourth frame
125: fifth frame 126: sixth frame
127: seventh frame 128: first through hole
129: second through hole 130: bracket unit
131: first bracket 132: second bracket
140: lower fixed unit 141: shaft portion
142: foot part 143: auxiliary blade part
150: balance unit 151: through frame portion
152: nut coupling part 153: bolt fastening part
154: nut portion 155: support portion
156: bolt unit 160: blade unit
161: carrier 162: blade portion

Claims (10)

착석 가능하게 마련된 버켓유닛;
상기 버켓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하지고정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상기 하지고정유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밸런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는 관통프레임부;
상기 관통프레임부의 양단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결합부;
상기 너트결합부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며, 고정홀이 형성된 볼트체결부;
상기 너트결합부에 결합되는 너트부; 및
내측에 상기 하지고정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볼트체결부에 볼트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유닛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Bucket unit provided to be seated;
a frame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unit;
a lower leg fix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nd
and a balance unit provided to couple the frame unit and the lower leg fixing unit,
The balance unit is
a through frame part which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Nut coupling portions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and having threads formed thereon;
a bolt fastening part extending further from the nut coupling part and having a fixing hole;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nut coupling portion; and
The base fix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and includes a support part that is bolt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The balance unit is a sled for the disabled ice hocke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user's center of gravit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유닛은,
상기 너트결합부 및 상기 너트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ance unit is
The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is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nut coupling part and the nut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상기 관통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무게중심 및 상기 하지고정유닛의 샤프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The nut coupling part,
The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adjus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through fram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haft portion of the lower leg fix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상기 관통프레임부의 내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프레임부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ut coupling part,
The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adjust the length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by being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fram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발거치부; 및
상기 발거치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leg fixing unit,
a pair of shaft parts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ar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to support the user's legs;
Foot rest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portion; and
Ice hockey sled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blad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유닛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된 버켓부;
상기 버켓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
상기 버켓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버켓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버켓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The bucket unit is
Bucket portion provided to be seated;
an anti-slip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cket part;
a handle portion formed in the bucket portion; and
Ice hockey sled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e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브라켓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Ice hockey sled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cket unit provided to couple the bucket unit and the fram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Ice hockey sled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ade unit formed under the fram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버켓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켓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켓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블레이드유닛을 향해 전방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4 프레임;
상기 제4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5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6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 및 상기 제4 프레임과 상기 제5 프레임의 연결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7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unit is
a first frame positioned below the bucket uni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ucket unit;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bucket unit;
a third fram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toward the blade unit in a front lower portion;
a fourth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third fram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lade unit;
a fifth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fourth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 sixth frame extending to connec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hird frame and the fourth frame;
The sled for ice hockey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venth frame extended to connec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ourth frame and the fifth frame.
KR1020200090964A 2020-07-22 2020-07-22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KR102376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64A KR102376940B1 (en) 2020-07-22 2020-07-22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64A KR102376940B1 (en) 2020-07-22 2020-07-22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95A KR20220011995A (en) 2022-02-03
KR102376940B1 true KR102376940B1 (en) 2022-03-23

Family

ID=8026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64A KR102376940B1 (en) 2020-07-22 2020-07-22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9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58Y1 (en) 2002-01-25 2002-05-06 안중건 snow sledge
KR101789671B1 (en) * 2016-10-31 2017-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1827840B1 (en) 2017-04-20 2018-03-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tilt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423A (en) 2012-04-12 2013-10-22 박제민 Chair for sled
KR20140087162A (en) * 2012-12-28 2014-07-0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Customized bucket inner for ice sledge hockey pla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58Y1 (en) 2002-01-25 2002-05-06 안중건 snow sledge
KR101789671B1 (en) * 2016-10-31 2017-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1827840B1 (en) 2017-04-20 2018-03-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tilting uni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한국정밀공학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95A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740A (en) Cart for injured persons
US3081085A (en) Back posture and stretch board
US7648447B2 (en) Leg exercise device for use with an office chair
US20160235203A1 (en) Seating furniture product
US9763520B1 (en) Reclinable office chair
US20100133890A1 (en) Footrest
US4865572A (en) Support seat for a ski
EP3424386A1 (en) Toilet footrest
KR102376940B1 (en)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US20170165517A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 person's calves in two different ways
US4892352A (en) Seat
KR101244935B1 (en) A wheel chair foot hold which has a fixation and a level control function
US10893991B1 (en) Chair with extendable footrest
US20160316914A1 (en) Dual height booster seat
US20070170760A1 (en) Chair stabilizing device
US2991126A (en) Combined footrest and leg rest
KR20220001863A (en) A movable balance shaft module
TWI674133B (en) Sitting type sled
KR101789671B1 (en)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0349631B1 (en) Chair having a movable stepping board
SE533031C2 (en) Seating that facilitates erection
KR101827840B1 (en)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tilting unit
TWM514296U (en) Squat assistance device for pedestal toilet
KR200199888Y1 (en) Chair having a movable stepping board
KR20220012505A (en) An integrated bracket with ice blade and inline wheel for an ice hockey s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