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71B1 -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 Google Patents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71B1
KR101789671B1 KR1020160142994A KR20160142994A KR101789671B1 KR 101789671 B1 KR101789671 B1 KR 101789671B1 KR 1020160142994 A KR1020160142994 A KR 1020160142994A KR 20160142994 A KR20160142994 A KR 20160142994A KR 101789671 B1 KR101789671 B1 KR 10178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unit
user
saddle
s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철웅
변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71B1/en
Priority to PCT/KR2017/010765 priority patent/WO201808003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3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nd, more specially, related to a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capable of adjusting a center of gravity in accordance with a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dge comprises: a saddle unit installed to allow a user to sit thereon; a variable support unit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saddle unit; a leg support unit coupled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and extended towards a front of the saddle unit to support a users leg; and a skate unit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variable support unit. A position to couple the saddle, leg support, and skate units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is able to be adjusted, thereby offsetting momentum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of a user.

Description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0001]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0002]

본 발명은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d for ice hoc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for adjusting a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일반적으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썰매를 이용한 아이스하키 경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부가 마련되고, 안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다리지지부가 형성되며, 안장부의 하부에 스케이트날이 구비된다. 이처럼 마련되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사용자가 안장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스틱 등을 이용하여 빙판을 미는 방식으로 이동된다.In general, ice hockey sleds are used primarily in ice hockey games using sleds. The ice hockey sled includes a saddle for the user to sit on, a leg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seat, and a skate blade at the bottom of the saddle. Such a sled for ice hockey is moved by pushing the ice sheet using a stick or the like while the user is seated in the seat.

그러나,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안장부, 다리지지부 및 스케이트날이 모두 일체화되어 마련되어 있고, 몇 가지의 사이즈로 길이나 폭 등이 규격화되어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ce hockey sled is provided with the integrated lance, the leg support, and the skate blade in unified form, and the length, width, and the like are standardized in some sizes and can not be changed.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따라 신체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탑승했을 때, 무게중심도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무게중심에 대응되지 않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탑승한 경우,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일측으로 무게가 쏠려 넘어지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아이스하키용 썰매가 일측으로 무게가 쏠려 넘어지게 될 경우,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body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us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ce hockey sled varies depending on the user. Therefore, when the user rides on an ice hockey sled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his / her own weight, the ice hockey sled can be weighted to one side and fall down. If the ice hockey sled weighs down on one side, there is a risk of injury to the user.

또한, 사용자에 따라 키가 크거나, 체중이 증감하여 신체사이즈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음에 자신의 신체사이즈에 맞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구매한 경우에도 자신의 신체사이즈가 변하게 되면 무게중심이 바뀌기 때문에 아이스하키용 썰매가 자신의 무게중심과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depending on the user, the height may increase or the body size may change due to increase or decrease in body weight. Therefore, even if a user first purchases a sled for ice hockey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size, the center of gravity changes when his / her body size changes, so that the sled for ice hockey does not fit his or her weight center.

또한,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특히, 다리에 장애를 입은 장애우들이 아이스하키 경기에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우들은 일반적인 사용자들과 달리 무게중심이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중심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다. 일 예로, 다리 한쪽이 없는 장애우의 경우, 다리가 있는 쪽으로 무게가 편중된 상태이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려 모멘텀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다리 한 쪽이 없는 장애우가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탑승하여 달릴 경우,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다리가 있는 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려 쉽게 넘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ce hockey sleds are used by ice hockey players, especially those with disabilities. However, unlike ordinary users, the center of gravity often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ice hockey s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andicapped without one leg, since the weight is biased toward the leg side,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to one side and momentum is generated. If a disabled person with no legs runs on an ice hockey sled, the ice hockey sled can easily fall over the center of gravity toward the legs.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및 이에 따른 무게중심에 대응되도록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allow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ce hockey sled to be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ser's body size and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ly.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423호 (2013.10.2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5423 (published on October 22, 2013)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hockey sled for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a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장유닛; 상기 안장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변지지유닛; 상기 가변지지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안장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다리지지유닛; 및 상기 가변지지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스케이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장유닛, 상기 다리지지유닛 및 상기 스케이트유닛은 상기 가변지지유닛과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모멘텀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ed for ice hockey, comprising: a saddle unit arranged to be seated by a user; A variable supporting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A leg support unit coupled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saddle unit to support the legs of the user; And a skat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upport unit, wherein the saddle unit, the leg support unit, and the skate unit are formed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to be engaged with the variable support unit, And the momentum generated thereby is cance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장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본체부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안장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장결합홀은 복수의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unit includes a saddle body portion to which the user can sit, and a plurality of saddle-stitch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유닛은, 상기 안장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가변프레임; 상기 제1 가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변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변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양단이 절곡 연장된 제3 가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가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변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2 가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variable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 second variable frame provided below the first variable fram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 third variable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variable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ariable frame and both ends of which are bent and exten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variable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variabl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강성보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보강유닛은 상기 안장결합홀, 상기 제1 가변결합홀 및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igid reinforcing unit, wherein the rigid reinforcing unit includes the saddle-stitching hole, the first flexible connecting hole, and the second variable- And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안장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rst engagement member, the first engagement member be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left and right And is coupled to the saddle-binding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하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스케이트유닛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engagement member,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ide thereof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the lower side is engaged with the skat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길이조절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leg support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길이조절홀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third engaging member, and the third engag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g length of the user, And the lower side is coupled with the second variable coupling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이트유닛은, 한 쌍의 스케이트날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케이트날의 간격은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과 대응되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ate unit may comprise a pair of skate blades, and the interval of the skate blades may be adjustab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타측 하부에는 보조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lad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무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user's body par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이용한 장애우용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hockey sled for a disabled person using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각 구성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안장유닛의 위치나 다리지지유닛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led for ice hockey having the variable bracket is modularized so as to be easily detachable and attachable so that the user can take the sled for ice hockey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he position of the saddle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eg support unit can be adjusted.

또한, 사용자가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각 구성을 자신의 무게중심과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텀을 상쇄시켜 안전하게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adjust each configuration of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thereof,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can be safely used by canceling the momentum gener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이 변화될 때마다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각 구성을 자신의 무게중심과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each configuration of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wheneve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changes.

또한, 본 발명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가변형지지유닛이 경량화된 구조로 마련어 있어 운송이 편리하며, 가변형지지유닛과 안장유닛이 강성보강유닛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sled for ice hockey having the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ariable-type support unit is made lightweight and i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the variable-type support unit and the saddle unit are reinforced by the rigidity reinforcement unit to have sufficient rigidity Safety is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전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후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후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전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hockey sled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the front s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hockey sled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the rear side thereof.
3 is a top view of an ice hockey sled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ice hockey sled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ide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a front side thereof.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전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후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상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후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의 전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hockey sled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its front sid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안장유닛(110), 가변지지유닛(120), 다리지지유닛(130), 스케이트유닛(140), 강성보강유닛(150) 및 제1 결합부재(160), 제2 결합부재(170), 제3 결합부재(180)를 포함한다.1 to 6, a sled 100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includes a saddle unit 110, a variable support unit 120, a leg support unit 130, a skate unit 140, A reinforcing unit 150 and a first engaging member 160, a second engaging member 170, and a third engaging member 180.

상기 안장유닛(110)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안장본체부(111), 다리고정부(114) 및 상체고정부(115)를 포함한다.The saddle unit 110 includes a saddle body 111, a leg fixing part 114 and an upper body fixing part 115,

상기 안장본체부(111)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장본체부(111)의 바닥면(112)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안장결합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다리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된 상기 안장결합홀(113)은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장결합홀(113)은 상기 바닥면(112)에 마련되되 상기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addle body 1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ir provided with a seat back for the user to sit on. A plurality of saddle-type coupling holes 113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saddle body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12 is the same as the leg length direction of the user. The saddle-hole 113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12. That is, the saddle-type coupling hole 11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2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engthwise and widthwise directions of the bottom surface 112.

상기 다리고정부(114)는 상기 안장본체부(111)의 전방에 결합되어 마련되며, 상기 다리고정부(114)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장본체부(111)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eg fixing part 114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addle body part 111. The leg fixing part 114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is seated on the saddle body part 111, As shown in FIG.

상기 상체고정부(115)는 상기 안장본체부(111)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장본체부(111)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된다. 일 예로, 상기 상체고정부(115)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body fixing part 115 may be provided on the saddle body 111 and may be fixed to the upper body when the user is able to fix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ile the saddle body 111 is seated . For example, the upper body fixing part 115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belt shape.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은 상기 안장유닛(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은 제1 가변프레임(121), 제2 가변프레임(122) 및 제3 가변 프레임(123)을 포함한다.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110 and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variable frame 121, a second variable frame 122, and a third variable frame 123 ).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은 상기 안장유닛(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가변결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riable frame 121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11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12.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flexible connection holes 12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은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2 가변결합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12. A plurality of second flexible coupling holes 122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3 가변 프레임(123)은 일단이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의 일단에 연결되며,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variable frame 123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가변지지유닛(120)은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의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 및 상기 제3 가변 프레임(123)은 봉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안장유닛(110)과 상기 안장유닛(110)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의 무게가 경량화되기 때문에 운송이 편리하다.The variable support unit 12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n ellipt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and the third variable frame 123 of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and the saddle unit 110 And a rigid material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seated in the saddle unit 110. [ In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hus provided,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is light in weight and thus is easy to carry.

또한,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 및 상기 제3 가변 프레임(123)의 단면은 도시된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이나 I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가변프레임(121),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 및 상기 제3 가변 프레임(12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사용자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and the third variable frame 123 are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s shown, but may be rectangular or I-shaped.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variable frame 121, the second variable frame 122, and the third variable frame 123 are all included in one embodiment as long as they can securely support the user.

한편, 상기 안장유닛(110)과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은 하나 이상의 상기 강성보강유닛(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보강유닛(150)은 상기 안장결합홀(113), 상기 제1 가변결합홀(121a) 및 상기 제2 가변결합홀(122a)과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강성보강유닛(150)은 하중에 의해 제1 가변프레임(121)이 상기 제2 가변프레임(122)측으로 휘어지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addle unit 110 and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may be supported by one or more of the stiffening units 150. [ Specifically, the stiffening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saddle-stitching hole 113, the first variable-coupling hole 121a, and the second variable-coupling hole 122a. The rigid reinforcing unit 150 may prevent the first flexible frame 121 from being bent or deformed toward the second flexible frame 122 by a load.

또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재(160)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안장결합홀(113)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상측은 상기 안장유닛(110)이 상기 가변지지유닛(120)과 결합될 때,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member 160 may be coupled to the saddle-binding hole 113, the upper side of whi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left and right.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may be coupled with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when the saddle unit 110 is coupled with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구체적인 예로, 우측 다리의 무릎 아래부분이 없는 장애우의 좌우 무게중심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대칭인 사용자의 좌측 다리와 우측 다리의 너비, 높이, 두께를 측정하고, 다리의 질량비를 토대로 각 신체 부위의 무게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좌측 다리의 무게와 우측 다리의 무게에 대한 모멘텀을 구한다. 이때, 구해진 모멘텀의 차이를 통해 좌측과 우측의 모멘텀 합력이 0이되는 지점을 찾아 무게중심을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이 중심으로부터 10mm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상측은 상기 안장유닛(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10mm 떨어진 상기 안장결합홀(113)과 상가 제1 가변결합홀(121a)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let us explain how to calculate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gravity of a person with no knee under the right leg. First, the width, height, and thickness of the left leg and the right leg of the asymmetric user are measured, and the weight of each body part is derived based on the mass ratio of the legs. Then, we obtain the momentum of the weight of the extracted left leg and the weight of the right leg.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obtained by finding the point where the momentum sum of the left and right momentum becomes zero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obtained momentum.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located at a distance of 10 mm from the cent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60 is located at a distance of 10 mm from the center of the saddle unit 110, The coupling hole 113 and the first variable coupling hole 121a can be coupled and fixed.

구체적인 실시예로, 평균 몸무게가 65kg인 20세 내지 29세인 성인 남성의 경우, 머리, 몸통, 팔, 다리로 신체 부위를 나누어 각각의 너비, 높이, 두께 및 무게를 구할 수 있으며, 이 중, 팔과 다리는 팔꿈치와 무릎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어 각각의 너비, 높이, 두께 및 무게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신체 부위의 너비, 높이, 두께 및 무게를 이용하여 몸통을 기준으로 모멘텀을 구하고, 각 모멘텀의 합력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20세 내지 29세인 성인 남성이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탑승했을 때의 모멘텀의 합력을 구한 결과 정상인의 경우, 좌우가 대체적으로 대칭되기 때문에 모멘텀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다리의 일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모멘텀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As a specific example, in the case of an adult male of 20 to 29 years of age with an average weight of 65 kg, the body, the body, the trunk, the arm, and the leg can be divided into the width, height, thickness and weight, And legs can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ference to the elbows and knees to obtain the respective widths, heights, thicknesses, and weights. Then, using the width, height, thickness, and weight of each body part, the momentum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body, and the resultant of each momentum can be obtained. In this process, the result of the momentum when the adult male of 20 to 29 years old boarded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was foun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normal person, the momentum is hardly generated becaus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generally symmetrical However, if there is no part of the bridge, momentum occurs.

구체적으로, 좌측 무릎 아래가 없는 경우, 좌우 비대칭으로 우측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여 모멘텀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모멘텀도 원점에서 우측으로 4mm 지점에서 발생되었다. 그리고, 좌측 다리가 모두 없는 경우, 우측으로 모멘텀이 더 크게 발생하였으며, 모멘텀이 우측으로 16mm 지점에서 발생되었다. 그리고, 좌측 다리가 없고, 우측 무릎 아래가 없는 경우에는 모멘텀이 우측으로 12mm 지점에서 발생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측 다리가 모두 없는 경우에는 양측이 대칭되어 무게중심이 원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멘텀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Specifically, when there is no under the left knee, the center of gravity shifts to the right side asymmetrically and momentum is generated, so that momentum is also generated at the point 4 mm from the origin to the right. And, when there were no left legs, the momentum was larger on the right side and the momentum occurred on the right side at 16mm. And, if there is no left leg and there is no under the right knee, momentum was generated at 12mm to the right. Finally, when both legs are absent, momentum is hardly generated because both sides are symmetrical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at the origin.

따라서, 상술한 각각의 경우와 같이, 장애우의 경우, 다리의 일부분이 소실되어 좌우가 비대칭할 경우, 무게중심의 위치에서 모멘텀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상측은,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모멘텀이 발생하게 되는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안장결합홀(113)과 결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as in each of the above cases, in the case of the handicapped, momentum is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when a part of the leg is lost and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asymmetric. 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can be adjusted to be coupled with the saddle-binding hole 11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where the momentum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occurs.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160)는 하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가변결합홀(121a)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 역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비대칭한 신체 부위의 모멘텀을 구하여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하측은 도출된 전후 무게중심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1 가변결합홀(121a)과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lexible coupling hole 121a, the lower side of whi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back and forth can also be derived by obtaining the momentum of an asymmetric body part of the user's body part.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flexible coupling hole 121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center of gravity.

구체적인 실시예로, 평균 몸무게가 65kg인 20세 내지 29세인 성인 남성의 경우의 전후 무게중심을 구하기 위해 상술한 방식의 계산을 해본 결과, 좌우 무게중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후 무게중심도 다리의 일부분이 없는 경우, 비대칭으로 인하여 무게중심이 있는 위치에서 모멘텀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하측은 상기와 같이 이동된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가변결합홀(121a)과 조절되어 결합될 수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the calculation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ob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ont and rear in the case of an adult male of 20 to 29 years with an average weight of 65 kg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ft and right weights, It can be seen that momentum is generated at a position having a center of gravity due to asymmetry.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can be regulatedly coupled with the first flexible coupling hole 121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as described above.

단, 전후 무게중심의 경우,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타는 자세에 따라 모멘트가 발생되는 정도가 다르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서 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머리가 원점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무게중심이 원점과 멀어짐에 따라 모멘텀이 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결합부재(160)의 하측과 상기 제1 가변결합홀(121a)의 결합위치가 조절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ront and rear center of gravity, a degree of generating a mo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burning while pushing the upper body forward, the center of gravity moves because the body and head of the user deviate from the origin, and the momentum further increases as the center of gravity moves away from the orig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and the first flexible coupling hole 121a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ttitude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되는 상기 제1 결합부재(160)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텀을 상쇄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member 16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offset momentum gener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또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무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의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좌측 다리와 우측 다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좌측 다리와 우측 다리의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 및 전후 무게중심을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별도의 표시부를 구비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알려주는 방법 등이 가능하나,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not show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user's body parts to facilitate the determin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on the leg support unit 130 of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left leg and the right leg of the user. The sensor unit may determi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by using the weight of the left leg and the right leg of the user to inform the user. Here, the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may include a separate display unit, or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smartphone by using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제1 결합부재(16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안장결합홀(113) 및 상기 제1 가변결합홀(121a)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려서 발생하는 모멘텀에 의해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안전하게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16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saddle fitting hole 113 and the first variable coupling hole 121a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is directed to one side The user can safely use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so as not to cause a problem that falls due to the generated momentum.

한편,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은 상기 가변지지유닛(120)과 결합되며, 상기 안장유닛(1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은 다리지지본체부(131), 발거치부(132), 보조날(133) 및 길이조절홀(134)을 포함한다.The leg support unit 130 may be coupled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120 and may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saddle unit 110 to support the legs of the user. The leg support unit 130 includes a leg support main body 131, a guide tooth 132, an auxiliary blade 133, and a length adjustment hole 134.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는 상기 안장유닛(110)의 전방을 향해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의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leg supporting body 131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saddle unit 110 and forms the body of the leg supporting unit 130.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sufficient to support the legs of the user.

상기 길이조절홀(134)은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조절홀(134)은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의 다리지지본체부(13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일측은 상기 안장유닛(110)측을 지칭한다.The length adjusting holes 13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eg supporting unit 130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engthwise directions of the leg supporting unit 130. The length adjusting hole 13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eg supporting body 131 of the leg supporting unit 130 and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supporting body 131 . One side of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refers to the side of the saddle unit 110.

하나 이상의 상기 제3 결합부재(180)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길이조절홀(134)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제2 가변결합홀(122a)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다리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제3 결합부재(180)의 상측은 복수의 상기 길이조절홀(134) 중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타측에 위치한 길이조절홀(13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사용자의 다리길이가 길 경우, 상기 제3 결합부재(180)의 상측은 복수의 상기 길이조절홀(134) 중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일측에 위치한 길이조절홀(13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경우에 상기 제3 결합부재(180)의 하측은 상측이 결합된 상기 길이조절홀(13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변결합홀(122a)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제3 결합부재(180)는 상기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거치부(132)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third engagement members 180 may be coupled with the length adjustment holes 134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g lengths of the user and the lower ends thereof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flexible connection holes 122a. have. The upper side of the third engaging member 180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ing hole 134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ing body 131 among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134. [ ). ≪ / RTI >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g length of the user is long, the upper side of the third engaging member 180 is connected to a length adjusting hole 134 (see FIG. 1)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g supporting body 131 among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134 ). ≪ / RTI > In each case, the lower side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18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lexible coupling hole 122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hole 134 coupled to the upper side . The third coupling member 18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secure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safely by allowing the user's foot to be positioned on the extraction tooth portion 132.

상기 발거치부(132)는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 타측에 마련되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거치부(132)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상부에 다리를 올려놓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상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ejector teeth 132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and may extend toward the upper side. When the user puts a leg on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the user can use his or her feet to prevent the user's foo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상기 보조날(133)은 상기 다리지지유닛(130)의 타측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날(133)은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의 타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케이트유닛(140)과 함께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가 빙판 위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133)은 상기 다리지지본체부(131)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blade 13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ing unit 130. Specifically, the auxiliary blade 13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 main body part 131, so that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ogether with the skate unit 140 slides on the ice sheet . The auxiliary blade 133 may be supported so that the leg support main body 131 is not bent by a load.

상기 스케이트유닛(140)은 상기 가변지지유닛(120)의 하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유닛(140)은 한 쌍의 스케이트날(141)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스케이트날(141)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스케이트날(141)의 간격은 앞서 구했던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되는 상기 스케이트유닛(140)은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멘텀을 상쇄할 수 있다.The skate unit 14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120. The skate unit 140 includes a pair of skate blades 141. The pair of skate blades 14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kate blades 141 may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The skate unit 140 thus provided can offset the momentum gener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재(170)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변결합홀(122a)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스케이트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second coupling members 170 are coupled with the second flexible coupling hole 122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front and back and the lower side coupled to the skate unit 140 .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의 상기 안장유닛(110), 상기 다리지지유닛(130) 및 상기 스케이트유닛(140)은, 상기 가변지지유닛(120)과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모멘텀을 상쇄시킬 수 있다.The saddle unit 110, the leg support unit 130 and the skate unit 140 of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120 So that the momentum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body conditions of the user can be canceled.

또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 변할 때에도, 상기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이용할 수 있다.Also,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changes, the sled 100 for ice hockey having the variable bracket can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The user can always use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suited to his / her physical condition.

또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각 구성을 분리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 각 구성을 분리 해체한 다음 재조립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를 자동차 트렁크에 실을 경우, 각 구성을 분리하여 자동차 트렁크에 실어서 이동한 다음 재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is modularized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components can be separated and reassembled when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is mounted on a trunk of an automobile, it is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components and mount them on the trunk of a car, reassemble them after use.

또한, 전술한 효과로 인해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100)는 장애우용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적용이 유리하다.Further, due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the ice hockey sled 100 having the variable bracket is advantageously applied to ice hockey sleds for the disabl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110: 안장유닛
111: 안장본체부 112: 바닥면
113: 안장결합홀 114: 다리고정부
115: 상체고정부 120: 가변지지유닛
121: 제1 가변프레임 121a: 제1 가변결합홀
122: 제2 가변프레임 122: 제2 가변결합홀
123: 제3 가변프레임 130: 다리지지유닛
131: 다리지지본체부 132: 발거치부
133: 보조날 134: 길이조절홀
140: 스케이트유닛 141: 스케이트날
150: 강성보강유닛 160: 제1 결합부재
170: 제2 결합부재 180: 제3 결합부재
100: Sledge for ice hockey with variable bracket 110: Saddle unit
111: saddle body part 112: bottom surface
113: Saddle connection hole 114: Leg fixing portion
115: upper body fixing unit 120: variable supporting unit
121: first variable frame 121a: first variable coupling hole
122: second variable frame 122: second variable coupling hole
123: third variable frame 130: leg supporting unit
131: leg support body part 132:
133: Auxiliary edge 134: Length adjusting hole
140: Skate unit 141: Skate day
150: rigidity reinforcement unit 160: first engagement member
170: second coupling member 180: third coupling member

Claims (13)

아이스하키용 썰매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장유닛;
상기 안장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변지지유닛;
상기 가변지지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안장유닛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다리지지유닛; 및
상기 가변지지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스케이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장유닛, 상기 다리지지유닛 및 상기 스케이트유닛은 상기 가변지지유닛과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모멘텀을 상쇄시키고,
상기 가변지지유닛은,
상기 안장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안장유닛의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가변프레임;
상기 제1 가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변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변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양단이 절곡 연장된 제3 가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가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변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2 가변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In an ice hockey sled,
A saddle unit adapted to be seated by a user;
A variable supporting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A leg support unit coupled to the variable support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saddle unit to support the legs of the user; And
And a skat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upporting unit,
Wherein the saddle unit, the leg support unit and the skate unit are 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 position where they are engaged with the variable support unit, thereby canceling momentum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body conditions of the user,
The variable-
A first variable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uni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unit;
A second variable frame provided below the first variable fram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third variable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variable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ariable frame,
Wherein the first variable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variable coupl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variable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variable coupl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본체부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안장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장결합홀은 복수의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ddle unit includes:
And a saddle body portion to which the user can sit,
Wherein a plurality of saddle-stitching holes ar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saddle-body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saddle-stitching hol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ws.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강성보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보강유닛은 상기 안장결합홀, 상기 제1 가변결합홀 및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rigid reinforcement unit,
And the rigid reinforcing unit is engaged with the saddle-stitching hole, the first variable-coupling hole, and the second variable-coupl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안장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addle fitt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left and right sid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하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able hol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side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전후 무게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스케이트유닛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variable engagemen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fore and aft and the lower side is engaged with the skate uni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길이조절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are formed in one side of the leg support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하나 이상의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상측이 상기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길이조절홀과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제2 가변결합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hird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third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g length of the user and the lower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variable engaging hole. .
제 1 항에 있어서,
스케이트유닛은,
한 쌍의 스케이트날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케이트날의 간격은 상기 사용자의 좌우 무게중심과 대응되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kate unit,
Wherein the pair of skate blades are made of a pair of skate blades, and the interval of the skate blades is adjustab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타측 하부에는 보조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xiliary blade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eg suppor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무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ce hockey sled having the variabl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user's body parts. ≪ RTI ID = 0.0 > 15. < / RTI >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아이스하키용 썰매를 이용한 장애우용 아이스하키용 썰매.A sled for ice hockey use for a disabled person using a sled for ice hockey having a variable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2.
KR1020160142994A 2016-10-31 2016-10-31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1789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94A KR101789671B1 (en) 2016-10-31 2016-10-31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PCT/KR2017/010765 WO2018080037A1 (en) 2016-10-31 2017-09-27 Ice hockey sledge having variable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94A KR101789671B1 (en) 2016-10-31 2016-10-31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671B1 true KR101789671B1 (en) 2017-11-20

Family

ID=6080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94A KR101789671B1 (en) 2016-10-31 2016-10-31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9671B1 (en)
WO (1) WO201808003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95A (en) * 2020-07-22 2022-02-0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58Y1 (en) * 2002-01-25 2002-05-06 안중건 snow sledge
US20090250888A1 (en) * 2008-03-31 2009-10-08 Laurie Nelson Howlett Sledge hockey device
DE202011108420U1 (en) * 2011-11-29 2012-01-24 Julian Rathmann Ice hockey sleds for physically impaired athlet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68628U (en) * 2011-09-03 2012-08-08 哈尔滨快迪冰上体育用品开发有限公司 Supporting sledge
KR20140047957A (en) * 2012-10-15 2014-04-23 김조권 Sl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58Y1 (en) * 2002-01-25 2002-05-06 안중건 snow sledge
US20090250888A1 (en) * 2008-03-31 2009-10-08 Laurie Nelson Howlett Sledge hockey device
DE202011108420U1 (en) * 2011-11-29 2012-01-24 Julian Rathmann Ice hockey sleds for physically impaired athlet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95A (en) * 2020-07-22 2022-02-0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KR102376940B1 (en) * 2020-07-22 2022-03-23 매시브 윈터 주식회사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037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0193B (en) STOL.
CN108078743B (en) Hand-free walking stick
US7686195B2 (en) Child carrier
US7789198B2 (en) Shoulder saddle for carrying a stepladder
US8424731B2 (en) Child carrier
JP2008036392A (en) Nursing care assisting device
US8403419B2 (en) Bench for tightening skate laces
US20090050187A1 (en) Walker with underarm supports
US4865572A (en) Support seat for a ski
KR101789671B1 (en)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variable bracket
KR101827840B1 (en)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tilting unit
US20180317655A1 (en) Portable sea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957172B1 (en) Fishing seat box
EP0315404A1 (en) A seat
KR101827838B1 (en) Sledge for ice hockey having buffer unit
US20090283978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toddler across snow
US10426678B2 (en) Child support structure
US20120021879A1 (en) Exercise apparatus
KR102376940B1 (en) Ice hockey sledge for disabled
JP3128444U (en) bench
JP2005296518A (en) Baby holder with auxiliary wheels
US20020119866A1 (en) Mobile support frame
RU100480U1 (en) Sledges for children
KR20220012505A (en) An integrated bracket with ice blade and inline wheel for an ice hockey sled
AU2011101326A4 (en) A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