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72Y1 - 자동차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72Y1
KR200274472Y1 KR2020020002752U KR20020002752U KR200274472Y1 KR 200274472 Y1 KR200274472 Y1 KR 200274472Y1 KR 2020020002752 U KR2020020002752 U KR 2020020002752U KR 20020002752 U KR20020002752 U KR 20020002752U KR 200274472 Y1 KR200274472 Y1 KR 200274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terminal plate
terminal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2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72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단자판으로 다양한 회로구성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면서 각 단자판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끼워지는 단자(12)의 일측 측면으로 가이드(14)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용부(24)와 구멍(26)이 형성된 부스 홀더(20)와, 상기 부스 홀더(20)의 후방면으로 조립되며, 회로의 구성에 따라 절단되는 연결부(36)를 가진 단자판(3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14)의 각 측면으로 끼워지는 푸셔(42)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홀더(40)로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커넥터{CAR CONNECTO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의 특성에 따라 간단한작업에 의해서 접속되는 단자의 회로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커넥터라 함은 자동차 내부의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기계적 혹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끝에 단자가 구비된 다수의 전선이 하우징 내부로 끼워져 배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회로구성에 따라서 상기 단자들을 서로 도통시키기 위한 단자판이 홀더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단자들은 회로의 구성에 따라서 성형된 단자판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커넥터는, 원형단면을 가진 단자의 일측면으로 판상의 단자판 밴딩부분이 접촉되는 것으로 이는 점접촉에 의해 접속되면서 접속이 불안정하다. 그리고, 차종 혹은 내부의 구조변경이 있게 되면, 회로배치가달라지게 되면서 그에 따라 설계된 단자판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단자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구성이 취약하고, 수밀이 잘 되지 않아 습기 및 빗물에 의해서 합선 및 누전이 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단자판으로 다양한 회로구성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면서 각 단자판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끼워지는 단자(12)의 일측 측면으로 가이드(14)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용부(24)와 구멍(26)이 형성된 부스 홀더(20)와, 상기 부스 홀더(20)의 후방면으로 조립되며, 회로의 구성에 따라 절단되는 연결부(36)를 가진 단자판(3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14)의 각 측면으로 끼워지는 푸셔(42)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홀더(4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에서 부스 홀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부스 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부스 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 7b는 도 6에서의 A-A선 단면도로서 부스 홀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a, 8b, 8c, 8d는 단자판의 연결부를 절단하게 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회로구성을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2: 단자
14: 가이드 20: 부스 홀더
22: 결착봉 26:구멍
30: 단자판 34: 요입홈
36:연결부 38: 절단선
40:프론트 홀더 42: 푸셔
100: 본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로서, 끝에 단자를 결합한 다수의 전선들이 끼워지는 하우징(10), 그리고, 상기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판이 조립된 부스 홀더(20) 그리고, 상기 단자를 밀어서 단자판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푸셔(42)가 형성된 프론트 홀더(4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면서 자동차용 커넥터 본체(100)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부스 홀더(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후방으로 하우징(10)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회로의 구성에 따라 절단되는 연결부(36)를 가지고 있는 단자판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내지 도 7은 상기 부스 홀더(20)의 단자판(30)과 하우징(10)내부의 단자(12)가 서로 체결되는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방으로 전선이 끼워지게 되어 있는 하우징(10)의 내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단자(12)들이 끼워져 있고, 상기 단자(12)들의 각각 일측면으로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12)의 후방으로는 각각 전선들이 연결되게 되며 상기 단자의 일측으로는 모두 동일한 방향에서 각 가이드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각 단자의 사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요입되는 결합구멍(16)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내부로 조립되는 부스 홀더(20)는 후방으로 결착봉(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결합구멍(16)으로 끼워지게 되면서 하우징으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결착봉(22)의 끝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면서 결합구멍(16)으로 끼워졌을 때 쉽게 탈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스 홀더(20)의 내부에는 각 결착봉(22) 사이마다 수용부(24)가 형성되면서 여기에 하우징의 단자(12)와 가이드(14)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부스 홀더(2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 홀더(20)의 후방면으로는 소정의 세로대(32)가 연결부(36)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단자판(3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세로대(32)에는, 전술한 부스 홀더(20)의 수용부(24)와 동일한 위치에 요입홈(34)이 형성되고 또한, 외측으로 연결된 각 연결부(36)는 상기 부스 홀더(20)의 구멍(26)과 동일한 위치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된 부스 홀더(20)의 각 구멍(26) 중앙에 단자판(30)의 각 연결부(36)가 통과하게 되며, 상기 구멍(26)으로 니퍼와 같은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회로구성에 따라 연결부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스 홀더의 수용부(24)와 단자판의 요입홈(34)이 일치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단자판(30)의 각 요입홈(34)은 내측면이 축소되면서 접촉부(35)를 두고 있는데, 상기 접촉부는 하우징(10)에 구비된 단자의 외측둘레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홀더(40)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푸셔(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는 전방의 일측으로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부스 홀더(20)의 각 수용부(24)에 끼워지게 되며 결합시에 도 7a, 7b에서와 같이 상기 푸셔(42)는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14)의 타측면을 밀어 단자(12)를 단자판(30)의 접촉부로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프론트 홀더(4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패킹(46)이 끼워져 하우징 내부의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의 내부에 단자(12)를 끼운 전선들을 설치한 다음, 부스 홀더(2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부스 홀더(20)에 장착된 단자판(30)은 회로의 구성에 따라 연결부(36)가 절단된 상태이다. 즉, 도 8a와 같은 회로구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도시된 절단선(38)을 따라 절단공구로 연결부(36)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회로구성의 변화에 따라 연결부를 절단시키게 됨에 따라 도 8b, 도 8c, 도 8d 등의 다양한 회로를 구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프론트 홀더(40)를 결합시키게 되면 도 7a,도 7b에서와 같이 프론트 홀더(40)의 푸셔(42)가 부스 홀더(20)의 수용부(24)로 끼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푸셔(42)는 가이드(14)의 측면을 밀게 된다. 즉 상기 푸셔(42)가 수용부(24)로 진입될 때 가이드(14)의 전방 단부를 푸셔의 경사면(44)이 밀면서 끼워지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는 단자(12)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단자는 단자판의 접촉부(35)로 이동되어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는, 부스홀더(20)에 부착된 단자판(30)이 모두 연결된 상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회로의 구성에 따라 연결부를 간단하게 절단하여 필요한 회로구성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회로구성에 따른 각각의 단자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등의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내구성이 강하며 내부에 패킹이 구비됨에 따라 수밀이 완벽하여 누전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단자(12)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단자의 일측 측면으로 가이드(14)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으로 요입된 결합구멍(16)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결합구멍(16)과 체결되는 결착봉(22)이 있고, 각 결착봉(22) 사이에는 수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6)이 형성된 부스 홀더(20)와;
    상기 부스 홀더(20)의 후방면으로 조립되며, 소정의 요입홈(34)을 가진 세로대(32)의 측면이 연결부(3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단자판(3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14)의 각 측면으로 끼워지는 푸셔(42)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홀더(4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30)의 연결부(36)는 부스홀더(26)의 구멍(26)중앙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커터공구로서 상기 연결부(36)를 절단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홀더(40)의 푸셔(42) 일측면에는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KR2020020002752U 2002-01-29 2002-01-29 자동차용 커넥터 KR200274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52U KR200274472Y1 (ko) 2002-01-29 2002-01-29 자동차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52U KR200274472Y1 (ko) 2002-01-29 2002-01-29 자동차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472Y1 true KR200274472Y1 (ko) 2002-05-06

Family

ID=7305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52U KR200274472Y1 (ko) 2002-01-29 2002-01-29 자동차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93B1 (ko) * 2006-09-14 2007-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KR100882048B1 (ko) 2007-01-12 2009-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용량 커넥터
KR100902951B1 (ko)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180117353A (ko) 2017-04-19 2018-10-29 (주)티에이치엔 커넥터 기밀성 시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93B1 (ko) * 2006-09-14 2007-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KR100882048B1 (ko) 2007-01-12 2009-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대용량 커넥터
KR100902951B1 (ko)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180117353A (ko) 2017-04-19 2018-10-29 (주)티에이치엔 커넥터 기밀성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499B2 (en) Electronic unit by which connector can be securely coupled with mating connector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US695798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319046B1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which can be used with both insulated and stripped leads
US20090318002A1 (en) Connecting member
JP6505065B2 (ja) 分岐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7121884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100155135A1 (en) Illumination unit
US7883361B2 (en) Connection member and harness connection body using the connection member
CN109473615B (zh) 电池连接模块
CN201142464Y (zh) 线缆连接器组件
US2007010544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JPH1131542A (ja) 導線接続構造
CN110994297A (zh) 射频插头
US5743755A (en) Connector system
US6733300B2 (en) Rotary connector equipped with versatile lead block
KR200274472Y1 (ko) 자동차용 커넥터
US5846091A (en) Circuit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assembly in motorcar door
JPH10125156A (ja) スイッチの接続構造
KR20190052235A (ko) 커넥터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6328610B1 (en) Terminal and terminal holder moun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 connector
JPH1141754A (ja) 三次元立体回路体
JP200214113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