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70Y1 -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 Google Patents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70Y1
KR200274370Y1 KR2020020001565U KR20020001565U KR200274370Y1 KR 200274370 Y1 KR200274370 Y1 KR 200274370Y1 KR 2020020001565 U KR2020020001565 U KR 2020020001565U KR 20020001565 U KR20020001565 U KR 20020001565U KR 200274370 Y1 KR200274370 Y1 KR 200274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vacuum pump
compressed air
air guid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뉴매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뉴매틱(주) filed Critical 한국뉴매틱(주)
Priority to KR2020020001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7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펌프에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주입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의 주입방향을 변환하여 압축공기가 부압실로 향하게 하므로서 부압실의 부압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는 압축공기를 주입공으로 주입하고 배출공으로 배출하면서 부압실에 부압을 형성하고 형성된 부압을 해제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진공해제공이 형성된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공 내측에는 압축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측면에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Air guide for vaccum pump}
본 고안은 진공펌프에서 부압을 해제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의 주입방향을 변환하여 부압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진공펌프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서 기체를 흡입하여 대기압에서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압축기로서, 소정의 공간체적을 갖는 챔버 내부에서 공기를 압축시켜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펌프는 주로 자동화기기에서 작업대상물을 이송 또는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며, 작업대상물이 진공펌프와 연결된 흡착패드에 흡착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작업대상물을 흡착패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할 때, 부압을 해제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진공해제공이 진공펌프의 패널에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패널에 진공해제공이 형성된 종래의 진공펌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1)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주입실(40)로부터 각각의 노즐(21,22,23)을 거쳐 배출구(14)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각 챔버(24,25,26)에는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24,25,26)에 부압이 형성되면서 부압실(50)에는 상기 각 챔버(24,25,26)의 부압이 통합된 부압이 형성되어 흡입구(13)측에 연통되어 결합된 흡착패드에 작업대상물이 흡착되어 작업이 진행된다.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대상물을 흡착패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압실(50)의 부압을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 부압해제구(12)로부터 주입된 압축공기가 챔버(24,25,26)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면서 챔버(24,25,26) 내의 부압이 해제되면서 부압실(50)의 부압이 해제되고, 그 후 작업대상물이 흡착패드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부압해제구(12)를 통하여 주입된 압축공기는 부압실(50)의 부압을 직접적으로 해제하지 못하고 챔버(24,25,26)내의 부압을 먼저 해제시키게 되며, 궁극적으로 부압이 해제되어야 하는 부압실(50)의 부압이 해제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중에 작업대상물이 흡착패드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지 않아 작업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부압실의 부압을 직접적으로 해제하기 위하여 진공해제공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측방향의 부압실측으로 전향되도록 한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공펌프의 진공해제공 내측에 부압실의 부압을 해제하기 위하여 주입된 압축공기가 측면으로 분사되어 부압실의 부압을 직접적으로 해제하도록 한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진공펌프의 사시도.
도 2. 종래의 진공펌프의 단면도.
도 3.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가이드가 설치된 진공펌프의 사시도.
도 4.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가이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패널 11: 주입구
12: 부압해제구 13: 흡입구
14: 배출구 20: 이젝터
21,22,23: 노즐 30: 밸브플레이트
31,32,33: 밸브 40: 주입실
50: 부압실 90: 에어 가이드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진공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가이드가 설치된 진공펌프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는 패널(10)과, 이젝터(20)와, 밸브플레이트(30)로 구성된 진공펌프(1)에서 상기 패널(10)의 부압해제구(12)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패널(1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공급장치가 결합되는 주입구(11)와, 흡착패드(도면 미도시) 등이 결합되는 흡입구(13)와, 공기 배출구(14) 및 진공펌프(1) 내에 형성된 부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부압해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10)의 타측에는 이젝터(20)가 결합되며, 상기 패널(10)과 이젝터(2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30)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30)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31∼3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상기 주입구(11)와 연통하는 통공(35)이 형성되어, 주입구(11)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이 통공(35)을 통하여 이젝터(20)에 주입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에어 가이드(90)는 부압해제구(12) 내측에 압축공기를 흡입구(13)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가이드(90)는 압축공기가 주입되고 측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중공(中空)이 볼트 머리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공(91)과 연통되는 볼트 모양의 것이며, 부압해제구(12)의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분사공(91)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흡입구(13)측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부압을 해제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에어 가이드가 설치된 진공펌프의 작용개념도로서, 이 도면에 의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펌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공기는 먼저 주입구(11)를 통하여 공급되어 주입실(40)에서 이젝터의 노즐(21∼23)을 통하여 흐른다. 이때, 챔버(24,25,26)내에서 부압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모든 밸브(31,32,33)가 열리게 된다. 각각의 챔버(24,25,26)에서 발생된 부압은 부압실(50)에 통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부압실(50)과 연통되어 흡입구(13)에 결합되는 흡착패드는 작업대상물을 흡착시킨 후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부압을 해제시켜 작업대상물을 흡착패드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부압해제구(12)로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해제구(12)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부압해제구(12) 내측에 형성된 에어 가이드(90)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분사공(91)에 의하여 흡입구(13)측으로 분사된다.
에어 가이드(90)의 분사공(91)을 통하여 측면으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하여부압실(50)실에 형성되어 있던 부압이 직접적으로 해제되면서 흡착패드에 흡착되어 있던 작업대상물은 상기 흡착패드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는 부압실(50)의 기압을 효과적으로 상승시켜서 상기 부압실(50)의 진공을 신속하게 해제시키므로서 흡착된 물체를 짧은 시간에 흡착패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축공기를 주입공으로 주입하고 배출공으로 배출하면서 부압실에 부압을 형성하고 형성된 부압을 해제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진공해제공이 형성된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공 내측에는 압축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측면에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KR2020020001565U 2002-01-18 2002-01-18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KR200274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65U KR200274370Y1 (ko) 2002-01-18 2002-01-18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65U KR200274370Y1 (ko) 2002-01-18 2002-01-18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70Y1 true KR200274370Y1 (ko) 2002-05-08

Family

ID=7311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565U KR200274370Y1 (ko) 2002-01-18 2002-01-18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1174B2 (en) 2014-04-08 2019-08-06 Vmeca Co., Ltd Vacuum pu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1174B2 (en) 2014-04-08 2019-08-06 Vmeca Co., Ltd Vacuum pump
DE112015001056B4 (de) 2014-04-08 2019-09-19 Vmeca Co., Ltd Vakuumpum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212B1 (ko) 퀵-릴리즈 진공펌프
JP3678950B2 (ja) 真空発生用ユニット
KR950005443Y1 (ko) 이젝터(ejector) 펌프의 진공파괴장치
US20030180154A1 (en) Vacuum generator
EP3431423B1 (en) Vacuum gripper unit comprising vacuum pump
KR20060128756A (ko) 진공유니트 및 진공유니트용 필터의 제조방법
TW201905320A (zh) 消音器及使用有消音器之排射器
US8257456B2 (en) Vacuum system using a filter cartridge
US4848440A (en) Mold core setter with improved vacuum system
KR200274370Y1 (ko) 진공펌프용 에어 가이드
KR101469055B1 (ko) 양각 금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각 금형 장치
KR20040011571A (ko) 진공 이젝터 장치
KR101029967B1 (ko) 퀵-릴리즈 진공펌프
JP7150925B2 (ja) ツーリング真空ユニット
JP3773469B2 (ja) 移送駆動装置
JPH06330900A (ja) 真空発生装置
CN2785595Y (zh) 胶囊机的射流真空抽吸装置
KR101306061B1 (ko) 진공 발생기
KR920004555Y1 (ko) 에젝터 펌프
KR200274371Y1 (ko) 진공펌프용 에어 컨트롤밸브
JPH0569366A (ja) 真空供給装置
KR200261384Y1 (ko) 진공 이젝터 장치
JP2004019552A5 (ko)
KR20060111821A (ko) 진공 발생 시스템의 진공 강제 해제장치
KR100655797B1 (ko) 진공 이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