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767Y1 - 깁스용 피부보호대 - Google Patents

깁스용 피부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767Y1
KR200273767Y1 KR2020010036603U KR20010036603U KR200273767Y1 KR 200273767 Y1 KR200273767 Y1 KR 200273767Y1 KR 2020010036603 U KR2020010036603 U KR 2020010036603U KR 20010036603 U KR20010036603 U KR 20010036603U KR 200273767 Y1 KR200273767 Y1 KR 200273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yarn
strands
skin
skin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주)뉴캐스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캐스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뉴캐스트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10036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767Y1/ko
Priority to JP2002002011U priority patent/JP3089202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767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올리핀사와 나일론 고무사를 망사형태로 직조하여 보호대를 제조토록 함으로서 통풍이 잘되고 신축성이 좋으며, 특히 물의 배출성이 뛰어난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3 - 5가닥 삽입하고, 세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8 - 12가닥 삽입하며, 나일론 고무사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1- 2가닥 삽입한 망사형태인 것이 특징이며, 올리핀사와 나일론 고무사를 혼합하여 직조함으로서 깁스의 착용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물 배출성을 높여 씻을때 물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불편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깁스용 피부보호대{The Skin Protector for a Plaster Cast}
본 고안은 깁스용 피부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올리핀사와 나일론 고무사를 망사형태로 직조하여 보호대를 제조토록 함으로서 통풍이 잘되고 신축성이 좋으며 특히 물의 배출성이 뛰어난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골절환자용 깁스는 골절부에 스타키넷트(Stokinette)라고 하는 피부 보호용 천을 착용한 후 그 위에 솜을 여러차례 감고, 이에 경화용 유약에 적신 경화용 붕대를 수회 감아 경화시키는 플래이스터 오브 패리스(Plaster of Paris) 시술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골절환자의 깁스부재 및 시술방법은 피부보호용 천을 착용한 후 그 위에 솜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가며 감아주어야 하고, 유약을 묻힌 천 또는 좁은 부위에서 넓은 부위로 4 - 6번 중복하여 나선모양으로 감아주어야 하므로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밀폐되어 통기가 차단되므로 골절환자가 깁스를 하게 되면 보통 6 - 12주간 착용하기 때문에 환부의 가려움증 및 답답함으로 인한 고통이 심각하며, 깁스 부위에 수포등 2차 감염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피부보호용 천은 면 종류(cotton) 재질이기 때문에 특성상 물기의 배출이 일어나지 않아 환자가 씻을때 상기 피부보호용 천으로 물기가 스며들게 되면 그대로 고착되어 심한 악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깁스를 착용한 환자는 씻을때 매우 주의를 하여야 하며, 통상 깁스의 착용기간이 6 - 12주 인 것을 감안하면 평소에도 씻는 것이 힘들뿐만 아니라, 목욕을 할 때에는 깁스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별도의 재료를 이용해야 하는 등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깁스에 사용되는 피부보호용 천을 올리핀사로 제조하여 깁스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도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가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3 - 5가닥 삽입하고, 세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8 - 12가닥 삽입하며, 나일론 고무사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1- 2가닥 삽입한 망사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깁스용 피부보호대는 2중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깁스용 피부보호대는 두께가 0.6 - 0.8cm 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피부 보호대의 일단에는 주름편이 더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깁스용 보호대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깁스용 보호대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깁스용 보호대를 착용한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피부보호대
11, 12, 14: 올리핀사
13: 나일론 고무사
20: 주름편
30: 깁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깁스용 피부 보호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확대도이며, 도 3은 착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올리핀사를 주재료로 이용하여 깁스용 피부 보호대(10)를 제작토록 하며, 일단에는 신체 끝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름편(20)을 일체로 제작하였다. 상기 주름편(20)은 깁스 제작과정에서 지름이 작은 팔목이나 손끝 또는 발끝에 위치하는 부분의 깁스용 피부 보호대에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깁스용 피부 보호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올리핀사는 아기 기저기등에 사용되는 특수사지로서 통풍이 우수하고수분배출이 용이한 특성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올리핀사를 이용하되, 적당한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망사형으로 직조하고, 아울러 나일론 고무사(13)를 더 부가하여 신축성이 배가되도록 하였다.
또한, 직조할때 상하 좌우에 충분한 신축성을 두어 작용시 각도부분에 겹침현상을 없애 주었다. 따라서 겹침으로 상처를 없애 주므로 깁스(3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활동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참고로 올리핀 중합체를 이루는 전형적인 유지 중합체 물질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펜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합성 유기 중합체 및 공중합체, 단일중합체, 콘주게이트된 디엔 단량체의 공중합체, 두 개 이상의 콘주게이트된 디엔의 공중합체, 콘주게이트된 디엔과 다른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콘주게이트된 디엔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 내지 8이며, 예를 들어, 부탄디엔, 이소프렌 등이 있다.
이러한 올리핀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올리핀사는 아기 기저귀 용도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바, 이는 통풍성과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 올리핀사(11, 12, 14) 및 나일론 고무사(13)를 주원료로 깁스용 피부 보호대(10)를 제작토록 하여, 올리핀사가 갖는 고유한 특징을 이용토록 하고, 또한 나일론 고무사를 더 첨가함으로서 보다 강력한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피부와의 접촉성을 향상시켰다.
즉, 올리핀사(11, 12, 14)의 특징을 이용하여 통풍성 및 물 배출성을 높여 물이 깁스 보호용 천에 스며들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나일론 고무사 (13)의 특징을 이용하여 신축성을 높이도록 함으로서 깁스를 한 상태에서 다른부위로 이동되는 것을 막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올리핀사(11, 12, 14)와 나일론 고무사(13)를 직조하여 피부보호대를 제작토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가로방향(팔이나 다리의 원주방향)으로는 3 - 5가닥의 올리핀사(11)를 삽입하고, 세로 방향(팔이나 다리의 길이방향)으로는 8 - 12가닥의 올리핀사(12)를 삽입하며, 나일론 고무사(13)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1 - 2가닥 삽입하였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약 3 - 5가닥의 올리핀사(14)를 삽입하여 전체를 망사형태로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가로방향으로 3- 5가닥의 올리핀사(11)를 삽입하고 세로방향으로 8 - 12가닥의 올리핀사(12)를 삽입토록 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가로방향은 팔뚝 또는 어께의 원주방향으로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양을 삽입하고, 세로방향으로는 팔뚝 및 어깨의 길이방향으로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삽입하였다.
그리고, 깁스의 특성상 일지점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나일론 고무사(13)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1 - 2가닥 삽입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 나일론 고무사(13)는 신축성을 보완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특별히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방향성에 제한받지 않고 아무 방향에서 삽입하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올리핀사(11, 12, 14)와 나일론 고무사(13)를 망사형으로 직조하여 깁스 보호대(10)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망사형으로 직조하게 되면 그물상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공기의 통풍이 가능해진다.
이는 종래의 깁스 보호대가 단순히 천을 감아 제조됨으로서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과 대비된다.
본 고안의 깁스 보호대(10)를 장착한 상부에는 통상의 깁스처럼 유약을 묻힌 천을 나선모양으로 감아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좋은 함침사를 양말이나 장갑을 착용하듯 끼우고 일정시간 경과후 함침사에 함침되어 있는 경화용 유액이 경화되도록 하여 깁스착용을 완료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피부 보호대를 제작하게 되면 올리핀사의 특징과 나일론 고무상의 특징이 조화를 이루게 되어 통풍이 물 배출성을 높이고 동시에 고정력을 높이게 되어 깁스가 갖는 고유한 기능을 갖게되고 여기에 덧붙여 보다 편리한 작용을 더 첨부받게 된다.
한편, 상기 깁스용 피부보호대는 두께가 0.6 - 0.8cm로 제작하는바, 이는 깁스로부터 깁스용보호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깁스용 보호대와 깁스를 차례로 장착하여 깁스제조가 완료된 후, 이를 제거시 깁스를 절단기로 절단하는바, 이때 절단기가 피부에 닿으면 안되므로 상기 깁스용 보호대를 일정한 두께로 설치하여 절단기가 피부에 닿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을 통해 제조되는 깁스(30)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감이 우수하고 통풍이 잘되어 냄새걱정이 없으며, 이러한 작용에 덧붙여 고정성도 좋아 환자에게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깁스용 보호대로서 올리핀사와 나일론 고무사를 혼합하여 직조함으로서 깁스의 착용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물 배출성을 높여 씻을때 물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불편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가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3 - 5가닥 삽입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올리핀사를 3 - 5가닥 삽입하며, 세로방향으로 올리핀사를 8 - 12가닥 삽입하고, 나일론 고무사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1- 2가닥 삽입한 망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깁스용 피부보호대는 2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 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깁스용 피부보호대는 두께가 0.6 - 0.8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보호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대의 일단에는 주름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피부보호대.
KR2020010036603U 2001-11-27 2001-11-27 깁스용 피부보호대 KR200273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03U KR200273767Y1 (ko) 2001-11-27 2001-11-27 깁스용 피부보호대
JP2002002011U JP3089202U (ja) 2001-11-27 2002-04-10 ギブス用皮膚保護サポ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03U KR200273767Y1 (ko) 2001-11-27 2001-11-27 깁스용 피부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767Y1 true KR200273767Y1 (ko) 2002-04-27

Family

ID=4324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03U KR200273767Y1 (ko) 2001-11-27 2001-11-27 깁스용 피부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9202U (ko)
KR (1) KR200273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52B1 (ko) 2006-09-22 2008-01-07 천병수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WO2010050737A2 (ko) * 2008-10-28 2010-05-06 오에스메디칼주식회사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52B1 (ko) 2006-09-22 2008-01-07 천병수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WO2010050737A2 (ko) * 2008-10-28 2010-05-06 오에스메디칼주식회사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WO2010050737A3 (ko) * 2008-10-28 2010-09-23 오에스메디칼주식회사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9202U (ja)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287B2 (en) Orthopedic padding
EP2217189B1 (en) Improved compression bandage structures
US10383773B2 (e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US8025631B2 (en)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KR20060107481A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KR101409235B1 (ko) 골절환자용 깁스
KR200273767Y1 (ko) 깁스용 피부보호대
KR101578399B1 (ko) 깁스용 피부보호대
KR20110006100A (ko) 골절 환자용 깁스부재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KR100232801B1 (ko) 골절 환자용 깁스 및 깁스 시술방법
JP2018079179A (ja) 医療用ギプス
KR101578400B1 (ko) 의료용 깁스부재
US20110245746A1 (e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KR102148908B1 (ko) 골절 환자용 깁스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US11628095B2 (en) Cast for protecting affected area of patient
KR200236258Y1 (ko) 골절환자용 깁스
JP2012031531A (ja) 足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足部の無塵防護構造
KR200328552Y1 (ko) 당뇨 환자용 양말
CA319091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and a glove
EP0170677A1 (en) Medical and orthopedic support fabric
JPH11302974A (ja) 紫外線遮閉機能付きシルク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035240U (ja) 水虫防止用品
KR200182009Y1 (ko) 양말
KR20040091325A (ko) 양말
KR19980067002U (ko) 흡습 방균 처리된 일회용 양말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