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74Y1 - 주방가구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주방가구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74Y1
KR200273674Y1 KR2020020001645U KR20020001645U KR200273674Y1 KR 200273674 Y1 KR200273674 Y1 KR 200273674Y1 KR 2020020001645 U KR2020020001645 U KR 2020020001645U KR 20020001645 U KR20020001645 U KR 20020001645U KR 200273674 Y1 KR200273674 Y1 KR 200273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shelf
cabinet
auxilia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열
Original Assignee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1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74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을 바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10)에 일체되게 설치된 케이스부(2)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입출되며 주방용품을 여러 단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사용자 방향으로 개방된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수 설치된 선반(4)과, 상기 선반의 저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되는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가구용 수납장{Keeping cabinet for kitchen unit}
본 고안은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로 구성되는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납장 내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주방가구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가구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가 모여 하나의 시스템화된 가구를 이루는 것으로 조리 등의 가사작업과 수납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며, 이러한 주방가구의 하나인 싱크대는 크게 상부장과 하부장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상부장은 주방 벽면에 부착되어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상부수납장과,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되는 냄새와 가스를 배출하는 후드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장은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하부수납장과, 음식물을 가열하는 레인지대 및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 하부장은 사용자가 가장 편한 동선(動線)을 확보한 상태에서 주방일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가장 효율적으로 식기나 재료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가구 즉, 싱크대(20)는 금속재로 제작된 싱크볼과 레인지대 및 조리대가 설치된 상판(21)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벽면에 고정된 다수의 상부수납장(22) 및 상기 상판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수납장(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 하부수납장(22,23)은 다수개가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고 대부분 여닫이식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에 의해 수납공간이 구획되도록 구성되거나 여러 단의 서랍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수납장(22,23)에는 접시나 컵 등의 식기류, 냄비나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류, 조리된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된 저장용기류, 갖가지 양념을 담는 양념통류 등 쓰임새에 따라 각각 별도의 수납장에 수납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상부수납장(22)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 주방용품 예컨대, 저장용기류나 여분의 주방용품들을 수납하게 되고, 상기 하부수납장(23)은 자주 사용되는 주방용품 예컨대, 조리기구류, 식기류, 양념통류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주방에서의 작업 시 필요한 주방용품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담기 위해서는 상, 하부수납장(22,23)의 문 또는 서랍을 일일이 열어서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들을 인출해야만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수납장(22)의 경우 위치가 높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수납장의 문을 열고 주방용품을 꺼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발뒤꿈치를 들고 불편한 자세로 주방용품을 인출하거나 또는 의자를 가져다 놓고 인출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더욱 곤란하였다.
게다가, 최근에는 주방살림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방가구를 선택할때 수납공간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상, 하부수납장(22,23)만으로는 수납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싱크대 상판(21) 위에 양념통류 등의 주방용품(14)을 일렬로 배치하여 사용하거나 주방 벽면에 걸이대(15)를 부착하여 국자나 주걱 등을 걸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등의 작업 시 상기 주방용품들이 거치적거려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방가구의 수납공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용 수납장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수납장의 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을 절단한 내부단면도
도4는 종래의 주방가구용 수납장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방가구용 수납장 2 : 케이스부
3 : 수납부 4 : 선반
4a : 형광등 5 : 보조선반
6 : 보조서랍 7 : 가이드레일
8 : 롤러 9 : 손잡이
10 : 싱크대 11 : 상판
12 : 상부수납장 13 : 하부수납장
14 : 주방용품 15 : 걸이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용 수납장은, 싱크대에 일체되게 설치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입출되며 주방용품을 여러 단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수납방향이 사용자 측으로 개방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수 설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저부에 각각 위치함과 동시에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되는 보조선반 및 보조서랍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주방가구용 수납장은 상기선반의 양측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부 내벽면에 가이드레일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선반 및 보조서랍의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롤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조선반 및 보조서랍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용 수납장(이하 "수납장"이라 한다)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수납장(1)은 싱크대(10)에 일체되게 설치된 케이스부(2)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입출되며 주방용품을 여러 단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수납방향이 사용자 측으로 개방된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수 설치된 선반(4)과, 상기 선반의 저부에 각각 위치함과 동시에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되는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2)는 전면부가 개방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싱크대(10)에 일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3)는 상기 케이스부(2)의 내부에 입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용이하게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의 저부에 롤러(미도시)를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납부(3)의 전면에는 케이스부(2)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3)는 상기 케이스부(2)의 전방을 향해 인출하였을 때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부(3)의 수납방향이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던 중에 일직선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상기 수납부(3)로부터 필요한 주방용품을 즉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3)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수의 선반(4)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선반(4)마다 여러 종류의 주방용품이 함께 수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3)의 상단에는 형광등(4a)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 내부의 수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반(4)의 저부에는 상기 수납부(3)가 개방된 방향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인출되도록 구성된 보조선반(5)이나 보조서랍(6)이 설치되어 상기 선반(4) 외에도 여러 종류의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보조선반(5)이나 보조서랍(6)을 지지하도록 그 저부에 지지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필요 시마다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을 당기거나 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선반(5) 또는 보조서랍(6)을 사용 시 사용자 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보조선반(5) 또는 보조서랍(6)이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선반(4)으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게 되며, 사용이 끝난 후에는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을 상기 수납부(3) 내부를 향해 밀어 넣어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우선 싱크대(1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부(2)로부터 수납부(3)의 손잡이(9)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수납부(3)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케이스부(2)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며, 이때 상기 수납부(3)의 수납방향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수납부(3)로부터 음식물의 조리에 필요한 주방용품을 인출하는데, 각각의 선반(4)에 수납된 주방용품 즉, 냄비나 프라이팬, 또는 양념통들을 인출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4)의 저부에 위치하는 보조선반(5)을 당기면 상기 보조선반은 상기 선반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 시 상기 선반(4)에 놓여있던 재료 또는 양념용기들을 앞쪽으로 끌어당겨 상기 보조선반(5)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수납부(3)의 각 선반(4)에 수납된 주방용품 외에도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사용하게 된 여러 가지 주방용품이 싱크대(10)의 상판(11)에 복잡하게 늘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조선반(5)에 양념통이나 음식물 재료들을 일시적으로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싱크대(10)의 상판(11)을 좀더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서랍(6) 내에 수납된 주방용품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보조선반을 당기면 상기 보조서랍이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인출되므로 그 내부에 수납된 주방용품들을 바로 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음식물의 조리가 끝나면, 남은 재료 또는 양념통 등의 주방용품을 각각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을 수납부(3) 안쪽으로 밀어 넣고 다시 상기 수납부(3)를 케이스부(2)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2)로부터 상기 수납부(3)를 인출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일일이 수납장 문 또는 서랍을 열 필요 없이 상기 수납부 내부의 각 선반(4)마다 분류별로 수납된 주방용품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재료 또는 양념통 등의 주방용품을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주방용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3)의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을 상기 선반(4)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당겨 사용하게 되면, 음식물 조리 시에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을 수납 또는 놓아둘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주방용품을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을 집기 위한 동선을 단축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줄여 피곤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조리 시에 필요한 주방용품의 일부를 싱크대(10)의 상판(11)에 늘어놓지 않고 상기 수납부(3)의 보조선반(5)에 일시적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에 별도의 이동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의 일예로서, 상기 선반(4)의 양단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부(3)의 내측면에 가이드레일(7)이 고정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의 양측에 각각 롤러(8)가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에 설치된 롤러(8)는 상기 가이드레일(7)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상기 보조선반(5) 또는 보조서랍(6)을 당기거나 밀어서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작용효과는 이미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본 실시예의 수납장에 따르면 상기 선반(4)의 저부에 위치하는 보조선반(5) 또는 보조서랍(6)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앞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보조선반(5) 또는 보조서랍(6)이 상기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롤러(8)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7) 위를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어 나온다.
이때, 상기 보조선반(5)이나 보조서랍(6)이 상기 선반(4)으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게 되며, 그 위에 여러 가지 주방용품을 수납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놓아두고 사용한 후, 음식물의 조리가 끝나면 남은 재료 또는 양념통 등의 주방용품을 제자리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을 수납부(3)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은 다시 가이드레일(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자리로 들어가게 되며, 다시 상기 수납부(3)를 상기 케이스부(2)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또는 주방용품을 수납 시, 싱크대에 일체되도록 별도의 수납장을 설치하여 주방용품의 수납공간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납장을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 조리 시에 수납장 내부에 수납된 주방용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선을 단축시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주방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의 수납부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선반마다 여러 종류의 주방용품을 체계적으로 수납, 정리할 수 있으므로 수납장 문을 일일이 열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였으며, 상기 선반 저부에 보조서랍 및 보조선반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조리에 필요한 주방용품을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조작이 간편하고 주방용품의 수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싱크대(10)에 일체되게 설치된 케이스부(2)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입출되며 주방용품을 여러 단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수납방향이 사용자 측으로 개방된 수납부(3)와, 상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수 설치된 선반(4)과, 상기 선반의 저부에 각각 위치함과 동시에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되는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4)의 양측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부(3) 내벽면에 가이드레일(7)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의 양단에 상기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롤러(8)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조선반(5) 및 보조서랍(6)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2)로부터 수납부(3)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장.
KR2020020001645U 2002-01-18 2002-01-18 주방가구용 수납장 KR200273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645U KR200273674Y1 (ko) 2002-01-18 2002-01-18 주방가구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645U KR200273674Y1 (ko) 2002-01-18 2002-01-18 주방가구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74Y1 true KR200273674Y1 (ko) 2002-04-26

Family

ID=7311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645U KR200273674Y1 (ko) 2002-01-18 2002-01-18 주방가구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0864A1 (en) Cookware Holder and Method
US20100231105A1 (en) Domestic Appliances
JPS6254002B2 (ko)
US20130088134A1 (en) Modular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existing cabinets
TW201039775A (en) Cabinet
KR200273674Y1 (ko) 주방가구용 수납장
US3378325A (en) Kitchen cabinet construction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US11497381B2 (en) Basket for a dish washing appliance
US2941856A (en) Mobile carrier and dispenser in combination with a food service unit
KR200324914Y1 (ko) 싱크대 상부 수납장
JP3600327B2 (ja) 引き出し式補助カウンター
KR200274217Y1 (ko) 주방가구용 보조 테이블
JPH0324096Y2 (ko)
JPH0716342Y2 (ja) キッチン用キャビネット
US10973389B2 (en) Basket for a dish washing appliance
CN208491292U (zh) 一种水槽收纳柜
JP3145753U (ja) 調理台ユニット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JPH10127380A (ja) 厨房用スライド支持体
CN208988055U (zh) 炉头抽屉柜
KR200363441Y1 (ko) 서브테이블을 갖춘 주방가구
JPH0884626A (ja) 流し台
LU100619B1 (en) Cabinet facilitating cooking
JP2002034681A (ja) 台所用流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