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57Y1 - 유압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57Y1
KR200273657Y1 KR2020020000667U KR20020000667U KR200273657Y1 KR 200273657 Y1 KR200273657 Y1 KR 200273657Y1 KR 2020020000667 U KR2020020000667 U KR 2020020000667U KR 20020000667 U KR20020000667 U KR 20020000667U KR 200273657 Y1 KR200273657 Y1 KR 200273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rod
gate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0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에 설치 사용되는 유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문(10)이 설치되는 방출로(5)를 형성하는 수문 구조물(6)상에 유압실린더(20)(20)을 상하 방향으로 구비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구조물(6)에 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매설하여 그 로드(25)선단에 수문 상단이 지지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단일의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문을 충분히 승하강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실린더가 구조물상에 돌출되어 외관을 해치거나 수로에 수장되어 손상될 우려를 방지함은 물론 별도의 설치대가 불필요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수문장치{A FLOOD-GATE DEVICE USING HYDRAULIC CYLINDER}
본 고안은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에 설치 사용되는 유압식 수문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로는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시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로에는 물관리, 즉 가뭄시에는 물을 저장하여 두고, 비가 오는 관계로 물의 양이 많을 때는 이를 방출하기 위해 수문을 개폐작동하는 수문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장치에서 유압식, 즉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상에 방출로(5)를 형성하도록 구조물(6)을 축조하고, 상기 방출로(5)에는 수문(2)을 구비하되, 상기 수문(2)은 구조물(6) 상부로 입설된 유압실린더(3)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는 수문(2)이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로드(3')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작동 공간의 확보를 위해 별도의 설치대가 요구되고, 이에 의해 구조물로 부터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게 설치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문장치는 구조물(6) 상부로 별도의 설치대가 구비되어야만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과, 또한 유압실린더가 구조물 상부의 상당한 높이로 상승되게 설치되므로서 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단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한 수문장치와는 달리 등록실용신안 제235977호 등에서는 방출로상에 설치되는 수문의 양측방에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와 수문을 수로 바닥에 수평 상태로 회동시키는 제2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구조물 상부로 유압실린더가 돌출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로의 물 방출량을 적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문을 제1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시켜 조절하도록 하고, 수로의 물 방출량을 많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문을 제2유압실린더에 의해 저면에 수평 상태로 회동시켜 방출로를 완전 개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수문장치는 다단계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조절작동으로 구조,조작이 복잡하게 됨은 물론 설비비 상승 등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수문외에 유압실린더 및 작동 부품들이 수로 내의 물속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부식 등에 의한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의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문을 효과적으로 승하강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실린더가 구조물상에 돌출되어 외관을 해치거나 수로에 수장되어 손상될 우려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문이 설치되는 방출로를 형성하는 수문 구조물상에 유압실린더을 상하 방향으로 구비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구조물에 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매설하여 그 로드 선단에 수문 상단이 지지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작동하도록 된 유압식 수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압식 수문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문 16: 매립홈부
20: 유압실린더 25: 로드
30: 지지바 40: 유압공급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구조물(6)의 방출로(5)상에 설치된 수문(10)을 유압실린더(20)(20)에 의해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방출로(5)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6)에는 방출로(5) 좌우에서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매립홈부(16)(16)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20)(20)를 그 로드(25)가 상부로 출몰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20)(20)의 로드(25) 선단에는 수평의 지지바(30)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바(30)에 수문(10) 상부가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2는 수문을 승,하강 안내하도록 구비된 안내롤, 40은 유압공급부를 나타낸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수문장치는 수로상에 방출로(5)를 형성하도록 구조물(6)을 축조하여 상기 방출로(5)상에 수문(1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출로(5)의 좌우 위치의 구조물(6)에는 유압실린더(20)(20)를 매설할 매립홈부(16)(16)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이에 유압실린더(20)(20)를 매설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20)(20)는 그 로드(25)가 상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드(25)를 연결하는 지지바(30)에 수문(10)을 연결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유압실린더가 구조물(6)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지 않게 되고, 수로상에 수장되게 설치되지 않아 손상을 우려를 방지함은 물론 별도의 설치대가 불필요하게 되는 등의 잇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문 개방시에 유압실린더(20)(20)를 신장하는 것에 의해 그 로드(25)상단의 수평의 지지바(30)가 상승하면서 수문(10)을 들어 올려 방출로(5)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수문(10)은 유압실린더(20)(20)의 로드(25)가 신장되는 정도에 비례적으로 방출로(5)를 개방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로드(25)의 신장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어 로드가 최대 신장되는 것에 의해 방출로(5)를 최대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역으로 상기 수문을 폐쇄시에는 유압실린더(20)(20)를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그 로드(25)상단의 지지바(30)가 하강하면서 수문(10)을 하강시켜 방출로(5)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의 유압실린더(20)(20)에 의해서도 수문(10)을 최대로 승하강시켜 방출로(5)를 충분히 개폐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출로(5) 좌우 위치의 구조물(6)상에 유압실린더(20)(20)를 그 로드(25)가 하부로 출몰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20)(20)의 로드(25) 선단은 수문(10) 하부에 고정설치된 브라켓(15)에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유압실린더(20)(20)가 구조물(6)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단점은 있으나, 종래의 기술에 비교할 때, 유압실린더(20)(20)의 로드(25)가 수문(1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유압실린더(20)(20)가 구조물(6)상부로 돌출 설치되는 정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수문(10)을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상기 구조물(6)상에 단일의 유압실린더(20)를 구비하여 그 로드(25)에 의해 수문(10)을 개폐하도록 한 것이고, 첨부도면 도 7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복수의 실린더(20')(20")를 하단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팔자(八) 형태로 설치하되, 일측 실린더(20')의 로드는 타 실린더(20")에 연결되고, 타 실린더(20")의 로드는 수문(20)의 상부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20')(20")가 상호 회동하면서 신장하는 것에 의해 수문(10)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실린더(20')(20")를 팔자 형태로 설치하므로 구조물 상부로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문이 설치되는 방출로를 형성하는 수문 구조물상에 유압실린더을 상하 방향으로 구비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구조물에 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매설하여 그 로드선단에 수문 상단이 지지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작동하도록 하므로서, 단일의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문을 효과적으로 승하강 개폐하도록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가 구조물상에 돌출되어 외관을 해치거나 수로에 수장되어 손상될 우려를 방지함은 물론 별도의 설치대가 불필요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수문 구조물(6)의 방출로(5)상에 설치된 수문(10)을 유압실린더(20)(20)에 의해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방출로(5)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6)에는 방출로(5) 좌우에서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매립홈부(16)(16)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20)(20)를 그 로드(25)가 상부로 출몰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20)(20)의 로드(25) 선단에는 수평의 지지바(30)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바(30)에 수문(10) 상부가 연결설치되어 승,하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수문장치.
KR2020020000667U 2002-01-09 2002-01-09 유압식 수문장치 Ceased KR200273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67U KR200273657Y1 (ko) 2002-01-09 2002-01-09 유압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67U KR200273657Y1 (ko) 2002-01-09 2002-01-09 유압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57Y1 true KR200273657Y1 (ko) 2002-04-26

Family

ID=7311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67U Ceased KR200273657Y1 (ko) 2002-01-09 2002-01-09 유압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293A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청천테크 유압식 수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293A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청천테크 유압식 수문장치
KR102017861B1 (ko) * 2017-11-14 2019-10-22 주식회사 청천테크 유압식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10B1 (ko)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CN202644491U (zh) 城市景观钢闸门
KR200273657Y1 (ko) 유압식 수문장치
JP2004068577A (ja) 油圧式水門装置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458582B1 (ko) 유압식 권양기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0800564B1 (ko) 어도형 전도 수문
KR200310479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30108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90124131A (ko) 자동문비용 안전장치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CN206616534U (zh) 一种自拉式液压坝
KR200341035Y1 (ko) 자동수문
KR200219534Y1 (ko) 수문
KR200329971Y1 (ko)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승강식 유압식 수문
CN221567062U (zh) 一种适用于闸门的过鱼设施
KR100233747B1 (ko) 개폐가 용이한 수문 장치
KR100279191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JP3248069B2 (ja) 水門の開閉装置
KR200449044Y1 (ko) 수문장치
KR200333066Y1 (ko)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승강식 유압식 수문
JP3171211U (ja) 水門
KR0130275Y1 (ko) 수로용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1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1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5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20416

Request date: 2008073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90120

Appeal identifier: 2008100002249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204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080731

Appeal identifier: 200810000225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901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31

Effective date: 2009012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731

Effective date: 20090120

UJ1301 Trial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810000225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90120

Request date: 20080731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810000224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90120

Request date: 200807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UJ2001 Appeal

Decision date: 20091105

Appeal identifier: 2009200001385

Request date: 2009022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UJ20011S05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UJ20011S02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Decision date: 20091105

Appeal identifier: 2009200001378

Request date: 2009022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227

Effective date: 20091105

U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09120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UJ13021S01D

Request date: 20090227

Decision date: 20091105

Appeal identifier: 200920000137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