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39Y1 - 축열식 전기온풍기 - Google Patents

축열식 전기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39Y1
KR200273639Y1 KR2020010040563U KR20010040563U KR200273639Y1 KR 200273639 Y1 KR200273639 Y1 KR 200273639Y1 KR 2020010040563 U KR2020010040563 U KR 2020010040563U KR 20010040563 U KR20010040563 U KR 20010040563U KR 200273639 Y1 KR200273639 Y1 KR 200273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storage material
heating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광수
Original Assignee
원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수 filed Critical 원광수
Priority to KR202001004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3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가열된 축열재에 외부공기를 통과시켜 난방하는 축열식 전기온풍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축열재의 중앙부분 축열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데우고, 데워진 공기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높이며 난방가능시간이 연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를 균일하게 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는 다수의 축열재가 적층되며 하측에는 송풍기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통과되며 데워지도록 하고,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 공기가 높은 온도로 데워지고 데워진 공기가 고르게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난방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난방지속가능시간도 증가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열식 전기온풍기{Regenerative Electric Air Heater}
본 고안은 축열식 전기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가열된 축열재에 외부공기를 통과시켜 난방하는 축열식 전기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축열식 전기온풍기는 축열재의 여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으로, 심야에 전력을 이용하여 축열재를 가열하고 외부공기를 상기 축열재로 보내 가열되도록 한 후 이를 실내로 보내 난방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열식 전기온풍기(100)는 일측면 하측에 유입공(102)이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 배출공(103)이 형성된 몸체(101)의 내부에 받침대(10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04)의 상측에 축열재(107)를 적층 설치하되, 적층된 축열재(107)의 사이에 발열선(108)이 개재되며, 받침대(104)의 하측에 송풍기(109)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축열식 전기온풍기(100)는 주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심야에 전원을 인가하면 발열선(108)의 온도가 상승되어 축열재(107)가 가열되며, 주간에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축열재(107)는 계속하여 가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열재(107)가 가열되면 송풍기(109)를 작동시키고, 이러한 송풍기(104)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유입공(102)을 통하여 몸체(101) 내부로 유입되며, 이어서 받침대(104)의 유입통공(105)을 통해 받침대(102)의 상측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는 적층된 축열재(107)의 후측면과 몸체(101) 사이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적층된 축열재(107)의 전면과 몸체(101) 사이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된 후 유출통공(106)과 배출공(103)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외부 공기는 축열재(107)의 후측면과 전면을 지날 때 상기 축열재(107)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상태로 배출되므로 실내가 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축열식 전기온풍기(100)는 축열재(107)의 축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난방성능이 우수하지 못하고,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송풍기(109)의 타측 부분으로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즉, 발열선(108)이 축열재(107)의 중앙부분에 개재되고 다수의 축열재(107)가 적층되어 중앙부분이 은폐되므로, 상기 축열재(107)의 외측부분보다는 중앙부분의 온도가 높고 축열의 보온상태가 오래 유지된다.
따라서 중앙부분의 축열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데우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중앙부분의 열을 이용하지 못하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온도가 중앙보다 낮고 보온상태도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외측부분의 축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워진 외부공기의 온도가 난방에 적합한 정도가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계속하여 데워진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난방가능시간도 짧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기(109)가 몸체(10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타측으로 외부공기를 송풍시키기 때문에, 상기 타측으로 외부공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고 송풍기(109)가 설치된 일측 부분은 소량의 공기가 배출되어 불균일하게 되므로, 실내의 어느 부분은 난방이 우수하나 다른 부분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축열재의 중앙부분 축열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데우고, 데워진 공기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높이며 난방가능시간이 연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를 균일하게 난방하는 축열식 전기온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구성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열식 전기온풍기 11 : 몸체 12 : 유입공
13 : 배출공 14 : 받침대 15 : 유입통공
16 : 유출통공 17 : 축열재 18 : 통공
19 : 발열선 설치홈 20 : 발열선 21 : 송풍기
22 : 덕트 23 : 입구 24 : 토출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는 다수의 축열재가 적층되며 하측에는 송풍기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통과되며 데워지도록 하고,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서 되는 축열식 전기온풍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높은 온도로 축열되고 보온상태가 오래 유지되는 축열로 외부공기를 높은 온도로 데울 수 있어 난방효율이 향상되고 난방가능시간이 연장되며, 덕트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고르게 분산되므로 실내가 균일하게 난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전기온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일측면 하측에 유입공(12)을 형성하고 전면 하측에 배출공(13)을 형성한 몸체(11)를 구비하고, 이러한 몸체(11)의 내부 하측에 받침대(14)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14)는 일측에 유입통공(15)을 형성하고 타측에 배출통공(16)을 형성하여 설치한다.
아울러 받침대(14)의 상측 유입통공(15)과 유출통공(16) 사이에 다수의 축열재(17)를 적층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14)의 하측에 송풍기(21)를 설치한다.
이때, 축열재(17)는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외측에 발열선 설치홈(19)을 형성하며, 상기 발열선 설치홈(19)에 발열선(20)이 개재되도록 하여 적층 설치한다.
또한, 입구(23)보다 토출구(24)의 직경이 협소한 덕트(22)를 구비하고, 이러한 덕트(22)의 입구(23)는 유입통공(15)의 상측에 위치되며 토출구(24)는 적층된 축열재(17)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본 고안은 심야에 전력을 인가하여 축열시키고, 이러한 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으로, 먼저 발열선(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열선(20)이 발열되며 온도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축열재(17)가 가열된다.
이어서 송풍기(21)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면 송풍기(21)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공(12)을 통하여 흡입하고, 이어서 유입통공(15)을 통하여 몸체(11)의 상측으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토출된 공기는 유입통공(15)의 상측에 설치된 덕트(22)의 입구(23)를 통하여 전량 덕트(22)로 유입되고, 이어서 토출구(24)를 통하여 적층된 축열재(17)의 상측으로 보내진다.
이때, 덕트(22)는 내경이 협소하고 입구(23)의 직경보다 토출구(24)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송풍기(21)에서 토출된 공기가 어느 일측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덕트(21)의 내부에 고르게 퍼져있게 된다. 따라서 토출구(24)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도 어느 한쪽에 집중되지 않고 몸체(11) 내부에 고르게 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는 축열재(17)의 통공(18)을 통하여 하강되며 축열재(17)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후, 유출통공(16)과 배출공(13)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어 난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공기는 축열재(17)의 통공(18)을 통과하기 때문에, 축열의 온도가 높고 보온상태가 오래 유지되는 축열재(17) 중앙부분의 열을 이용하게 되어 높은 온도로 데워지고 난방가능 지속시간도 증가되어 실내의 난방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덕트를 형성하고, 축열재에 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외부 공기가 높은 온도로 데워지고 데워진 공기가 고르게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난방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난방지속가능시간도 증가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체(11)의 내부에 받침대(1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4)의 상측에는 다수의 축열재(17)가 적층되며 하측에는 송풍기(21)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중앙에 하나 이상의 통공(18)이 형성된 축열재(17)와, 상기 축열재(17)의 후방에 설치되며 송풍기(21)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22)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온풍기.
KR2020010040563U 2001-12-28 2001-12-28 축열식 전기온풍기 KR200273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63U KR200273639Y1 (ko) 2001-12-28 2001-12-28 축열식 전기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563U KR200273639Y1 (ko) 2001-12-28 2001-12-28 축열식 전기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39Y1 true KR200273639Y1 (ko) 2002-05-03

Family

ID=7307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563U KR200273639Y1 (ko) 2001-12-28 2001-12-28 축열식 전기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032B1 (ko) 헤어드라이어
US2131484A (en) Heater
JP4046020B2 (ja) ヘアドライヤ
CN213429958U (zh) 干燥机
CN107482856B (zh) 汽车空调电机
KR200273639Y1 (ko) 축열식 전기온풍기
JP2012019866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KR100701919B1 (ko) 헤어 드라이어
CN209863099U (zh) 一种多功能化妆镜
CN207365178U (zh) 防止进风口与出风口短路的结构
CN201114804Y (zh) 一种蜂窝陶瓷发热体及使用该蜂窝陶瓷发热体的暖风机
KR200276936Y1 (ko) 히터
CN215893036U (zh) 风道结构及烘干装置
CN220303765U (zh) 取暖器
KR0118058Y1 (ko) 모발건조기의 발열장치(a heating apparatus of hair drier)
JP2000193263A (ja) 浴室換気乾燥機
CN214258250U (zh) 一种冷热风混吹吹风机
JPH0960941A (ja) 浴室空調装置
CN218669846U (zh) 风机组件、吹风装置、晾衣机
CN213019848U (zh) 一种气体驱动装置及电热油汀
CN214116007U (zh) 衣物干燥装置
CN210581444U (zh) 一种电吹风的负离固定结构
CN208632836U (zh) 一种晾衣机的烘干模块
KR200406512Y1 (ko) 온풍기
KR200253123Y1 (ko) 온풍발생 장치용 가열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