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313Y1 - 자화수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화수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313Y1
KR200273313Y1 KR2020020001198U KR20020001198U KR200273313Y1 KR 200273313 Y1 KR200273313 Y1 KR 200273313Y1 KR 2020020001198 U KR2020020001198 U KR 2020020001198U KR 20020001198 U KR20020001198 U KR 20020001198U KR 200273313 Y1 KR200273313 Y1 KR 200273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inlet
supply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2020020001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313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화수 생성관이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정수기(2)에 자화수 생성관(30)을 구성하여서,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정수된 자화수를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화수의 사용이 범용화되어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화수용 정수기{a water purifier for magnetization water}
본 고안은 자화수 생성관이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라인상에 자화수 생성관을 구비하여서, 정수된 자화수를 공급토록 한 자화수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화수는 예로부터 건강음료로 권장되어 온 안전한 물인 것이다.
이러한 자화수는 물속에 잔존되어 있는 해로운 기체 성분이 제거되고, 물 분자가 가장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해독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화수는 사람과 환경에 유익한 수질로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인해 건강을 증진시키고, 정화 및 산화방지 기능, 관로상에 스케일(scale) 부착방지 기능을 갖고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갖는다.
그러나, 일반 가정용 상수도에서는 상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상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받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자화수의 효능을 누릴 수 없었다.
특히, 일반 가정으로 공급되는 상수도는 산업이 발전함에 따른 상수원의 오염이 심각하여서 식수로는 부적합하고, 이로 인해 번번히 물을 끓여서 식수로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상수도관에 자화수 생성관이 구비된 정수기를 구비하여 주므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정수된 자화수를 식수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화수의 사용이 범용화되어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화수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화수용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화수용 정수기에 구비된 자화수 생성관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화수 생성관에 구비된 노즐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정수기 10 : 하우징
12 : 흡입관 14 : 필터
16,16a : 공급관 18 : 방향전환밸브
20 : 가열기 22,22a : 공급콕크
30 : 생성관 30a : 발포층
32 : 유입구 34 : 단차홈
36 : 토출구 40 : 관로
42 : 자성체 44 : 흡입공
46 : 개폐판 50 : 노즐
50a : 단턱부 52 : 대경부
54 : 나선형돌기 56 : 소경부
58 : 자성체 60 : 요홈
70 : 워터펌프 72 : 구동모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내에 상수도관과 연결되어서 구비된 흡입관과, 이 흡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수도의 물을 다수회에 걸쳐순차적으로 정수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필터와, 이 필터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냉.온수의 공급콕크에 각각 연결되도록 분기된 공급관과, 이 공급관의 분기부에 구비되어서 이의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된 방향전환밸브와, 온수 공급콕크에 연결되는 온수 공급관의 일측에는 이 공급관내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도록 구비된 가열기를 포함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공급라인 일측에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화수 생성관이 구비되되, 상기 자화수 생성관은 공급라인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반대편 하부에 돌출.형성되어서 공급라인상에 연결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와 유입구를 연통시켜서 물이 유동하도록 형성된 관로와;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관로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다수의 자성체와; 상기 유입구내에 구비되어 생성관으로 유입된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로 형성되고, 이 대경부에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물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나선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소경부에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성체가 내장되어서 구비된 노즐과; 상기 노즐과 이격된 유입구의 일측에 산소가 유입되도록 천공되어서 생성관내로 유입되는 물에 산소가 용존되도록 형성된 흡입공과; 상기 흡입공상에 구비되어서 관로내를 유동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얇은 판막으로 형성되어서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공급라인과, 자화수 생성관의 유입구 사이에는 공급콕크의 개방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면서 생성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워터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화수용 정수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정수기(2)는 그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후단부에는 하우징(10)을 관통하여서 상수도관의 수도콕크에 연결되는 흡입관(12)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관(12)의 일단에는 흡입관(12)으로 유입되어서 배출되는 상수도의 물을 정수시키도록 된 다수의 필터(14)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일측의 필터(14)에는 정수된 물을 냉.온수의 각 공급콕크(22)(22a)를 통해서 공급하도록 된 공급관(16)(16a)이 연결되어서 구비되되, 이 공급관(16)(16a)은 냉수 공급관(16) 및 온수 공급관(16a)으로서 분기되어 구비되며, 그 분기점에는 냉수 및 온수의 사용에 따라 유로를 전환시켜 주는 방향전환밸브(18)가 구비되고, 온수 공급관(16a)상에는 물을 가열시키도록 된 가열기(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정수기(2)의 공급라인상에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화수 생성관(30)이 구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이 생성관(30)이 필터(14)와 공급관(16)(16a) 사이에 구비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자화수 생성관(30)은 그 내부에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된 단열재의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이 발포된 발포층(30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그 내부에 폴리우레탄폼이 발포된 발포층(30a)을 갖는 생성관(30)은 그 일측 상부에 플렉시블한 관으로서 필터(14)에 연결되도록 된 유입구(32)가 돌출.형성되고, 이 유입구(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단차져 함몰된 단차홈(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유입구(32) 반대편의 생성관(30) 하부에는 토출구(36)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36)에는 정수 및 자화된 물을 정수기(2)의 공급콕크(22)(22a)를 통해서 공급하도록 된 공급관(16)(16a)이 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생성관(30)의 내부에는 발포층(30a)을 관통하여서 유입구(32)와 토출구(36)를 연통시켜 물이 유동하도록 된 관로(40)가 생성관(30)의 형상에 따라서 절곡.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생성관(30)의 관로(40) 내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자성체(42)가 내장되어서 구비되어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자성체(42)는 대략 4,600 가우스(GUS) 정도의 자력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생성관(30)의 유입구(32)내에는 유입구(32)로 유입되는 정수된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서 물이 관로(40)내를 신속하게 유동하도록 한 노즐(50)이 내장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노즐(50)은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게 형성되어서 상부의 내주면은 대경부(52)로 형성되고, 하부의 내주면은 소경부(56)로 형성된다.
상기한 노즐(50)의 대경부(52)내에는 유입구(32)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물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나선형돌기(54)가 시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소경부(56)의 하단부에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성체(58)가 내장되어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노즐(50)의 자성체(58)는 노즐(50)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60)을 통해서 자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입구(32)에 내장되어서 구비되는 노즐(50)은 그 외주면상의 단턱부(50a)가 유입구(32)내로 함몰되어 돌출된 단차홈(34)상에 걸림되어서 구비되므로써 단차홈(34) 이하의 유입구(32) 내주면과 노즐(50)의 하단부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노즐(50)과 이격된 유입구(32)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된 흡입공(44)이 천공되어서 유입구(32)내로 유입되는 물에 산소가 용존되어 함유되도록 하고, 이 흡입공(44)에는 생성관(30)의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이 역류되어서 흡입공(44)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얇은 판막으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개폐판(46)이 구비된다.
상기한 개폐판(46)은 그 일단이 유입구(32)의 내주면상에 볼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흡입공(44)상에 구비되되,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게 형성되어서, 공급콕크(22)(22a)의 개방으로 인해 물이 정상적인 흐름을 갖는 경우에는 개폐판(46)의 단부가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서 흡입공(44)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흡입공(44)을 개방시키게 되고, 공급콕크(22)(22a)의 폐쇄로 인해 물이 토출되지 못할 경우에는 관로(40)내에 물이 차게 되면서 유입구(32)측으로 역류되어 개폐판(46)에 접촉되면, 물의 수압이 개폐판(46)에 작용하게 되면서 수압에 의해 개폐판(46)의 단부가 유입구(3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흡입공(44)을 덮어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개폐판(46)은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필터(14)와, 생성관(30)의 유입구(32) 사이에는 이 유입구(32)에 내장된 노즐(50)과 더불어서 생성관(30)으로 유입되는 정수된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서 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워터펌프(70)가 구비되되, 이 워터펌프(70)는 공급콕크(22)(22a)의 개방에 따라 그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72)에 의해서 구동되고, 이 구동모터(72)는 정수기(2)에 구비된 콘트롤부(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되어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자화수용 정수기는 정수기(2)의 물을 마시기 위해서 정수기(2)의 공급콕크(22)(22a)를 작동시켜 개방시키면, 정수 및 자화된 물이 워터펌프(70)에 의해서 소정의 토출압으로서 공급관(16)(16a)을 통해 토출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수기(2)의 공급콕크(22)(22a)가 작동하여 개방되면, 정수기(2)내의 콘트롤부(미도시)에 의해서 공급콕크(22)(22a)의 개방과 아울러 구동모터(72)가 구동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72)의 구동에 의해서 워터펌프(70)가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워터펌프(70)의 작동에 의해 정수기(2)내를 유동하는 물은 이의 수압이 1차적으로 상승되면서 정수기(2)내를 신속하게 유동하여 생성관(30)의 토출구(36)를 통해 토출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정수기(2)내를 유동하는 물은 상수도관으로부터 토출되어서 이에 연결된 흡입관(12)으로 유입되고, 흡입관(12)으로 유입된 물은 다시 흡입관(12)으로부터 배출되어 다수의 필터(14)로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정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수된 물은 필터(14)로부터 토출되면서 일측의 필터(14)에 연결된 생성관(30)의 유입구(3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32)내로 유입되는 물은 이 유입구(32)에 내장된 노즐(50)로 유입되는 바, 이때 상기한 물은 노즐(50)의 대경부(52)에 형성된 나선형돌기(54)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되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나선형돌기(54)와 아울러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된 노즐(50)의 내경에 의해서 노즐(5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은 2차적으로 상승되고, 그로 인해서 노즐(50)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압이 상승되어서 생성관(30)의 관로(40)내로 신속하게 토출되어 유동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압이 상승된 물은 노즐(50)의 소경부(56)를 지나면서이 소경부(56)에 내장되어 구비된 자성체(58)에 의해서 자화되어 생성관(30)의 관로(40)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관(30)의 관로(40)내로 유입된 물은 관로(40)내를 유동하면서 관로(40)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된 다수의 자성체(42)에 의해서 완전하게 자화되어 이의 자화수가 생성관(30)의 토출구(36)를 통해 토출되어 공급관(16)(16a)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관(16)(16a)으로 공급되는 물은 선택된 공급콕크(22)(22a)의 개방에 따라서 방향전환밸브(18)가 콘트롤부에 의해서 제어되어 일측의 공급관(16,16a)만을 개방시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온수의 공급시는 방향전환밸브(18)에 의해서 정수 및 자화된 물을 온수 공급관(16a)으로 유입시키고, 이 온수 공급관(16a)을 유동하는 물은 온수 공급관(16a)상에 구비된 가열기(20)에 의해서 가열되어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생성관(30)의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은 생성관(30)의 유입구(32) 일측에 천공된 흡입공(44)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관로(40)내로 유입되면서 물에 혼입되어 용존되므로써 용존산소의 함유량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관(30)의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이 공급콕크(22)(22a)의 폐쇄 등으로 인해 외부로의 토출이 차단되면, 물이 생성관(30)의 관로(40)내를 역류하면서 유입구(32)측으로 차올라 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물이 개폐판(46)에 접촉되면서 물의 수압이 흡입공(44)상에 구비된 개폐판(46)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개폐판(46)이 유입구(3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흡입공(44)을 덮어 폐쇄시키게 되므로써 흡입공(44)을 통한 물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고, 공급콕크(22)(22a)가 다시 개방되면, 물이 정상적인 흐름을 갖게 되어 관로(40)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서 개폐판(46)에 작용되던 수압이 제거되므로 인해 유입구(3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개폐판(46)이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폐쇄하고 있던 흡입공(44)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수도의 물을 정수 및 자화시켜서 일반 가정에서 간편하게 식수로서 사용하게 됨으로써 자화수의 사용이 범용화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화수용 정수기는 정수기에 자화수 생성관을 구비하여 주므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정수된 자화수를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화수의 사용이 범용화되어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하우징(10)내에 상수도관과 연결되어서 구비된 흡입관(12)과, 이 흡입관(1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수도의 물을 다수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정수시키도록 구비된 다수의 필터(14)와, 이 필터(14)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냉.온수의 공급콕크(22)(22a)에 각각 연결되도록 분기된 공급관(16)(16a)과, 이 공급관(16)(16a)의 분기부에 구비되어서 이의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된 방향전환밸브(18)와, 온수 공급콕크(22a)에 연결되는 온수 공급관(16a)의 일측에는 이 공급관(16a)내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도록 구비된 가열기(20)를 포함한 정수기(2)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2)의 공급라인 일측에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화수 생성관(30)이 구비되되,
    상기 자화수 생성관(30)은 공급라인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유입구(32)와;
    상기 유입구(32)의 반대편 하부에 돌출.형성되어서 공급라인상에 연결되는 토출구(36)와;
    상기 토출구(36)와 유입구(32)를 연통시켜서 물이 유동하도록 형성된 관로(40)와;
    상기 관로(40)의 내주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다수의 자성체(42)와;
    상기 유입구(32)내에 구비되어 생성관(30)으로 유입된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경부(52)와 소경부(56)로 형성되고, 이 대경부(52)에는 유입구(32)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물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나선형돌기(54)가 돌출.형성되고, 소경부(56)에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성체(58)가 내장되어서 구비된 노즐(50)과;
    상기 노즐(50)과 이격된 유입구(32)의 일측에 산소가 유입되도록 천공되어서 생성관(30)내로 유입되는 물에 산소가 용존되도록 형성된 흡입공(44)과;
    상기 흡입공(44)상에 구비되어서 관로(40)내를 유동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얇은 판막으로 형성되어서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개폐판(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용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2)의 공급라인과, 자화수 생성관(30)의 유입구(32) 사이에는 공급콕크(22)(22a)의 개방에 따라 구동모터(72)가 구동되면서 생성관(3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워터펌프(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용 정수기.
KR2020020001198U 2002-01-15 2002-01-15 자화수용 정수기 KR200273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98U KR200273313Y1 (ko) 2002-01-15 2002-01-15 자화수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98U KR200273313Y1 (ko) 2002-01-15 2002-01-15 자화수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313Y1 true KR200273313Y1 (ko) 2002-04-22

Family

ID=7307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98U KR200273313Y1 (ko) 2002-01-15 2002-01-15 자화수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10B1 (ko) 2006-10-02 2008-04-11 이수생 정수기의 누수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10B1 (ko) 2006-10-02 2008-04-11 이수생 정수기의 누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1321B1 (en) Oxidation tank control valve assembly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plenishing a charge of oxygen-containing gas within an oxidation tank
NZ520921A (en) Gravity flow faucet
WO2005090778A1 (ja) 水力発電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給水システム
KR200273313Y1 (ko) 자화수용 정수기
MXPA06002243A (es) Colector de filtro de agua con valvula integral.
AU2001291840A1 (en) Sanitary mixing unit
JP2004278761A (ja) 複合単水栓
KR100844870B1 (ko) 미세기포 정수기
KR100456080B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EP1195547A3 (en) Remote shut-off valve
KR100404960B1 (ko) 자화수 정수기
KR200270281Y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KR200417359Y1 (ko) 주방용 알카 환원 정수장치
KR200270280Y1 (ko) 자화수 생성관용 노즐
EP0943740A3 (de) Sanitäres Mischventil
CN219792682U (zh) 严寒地区生活污水处理设备
CN101476631A (zh) 一种双控水嘴
KR200370742Y1 (ko) 냉온정수 이온수기의 원수공급 개폐장치
GB2425342A (en) Magnetic valve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CN214466479U (zh) 一种感应式水龙头
KR200226310Y1 (ko) 자화수 정수기
KR200356467Y1 (ko) 수격 방지 장치
CN214171402U (zh) 一种摇杆开关净水龙头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