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80B1 -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080B1
KR100456080B1 KR10-2002-0008209A KR20020008209A KR100456080B1 KR 100456080 B1 KR100456080 B1 KR 100456080B1 KR 20020008209 A KR20020008209 A KR 20020008209A KR 100456080 B1 KR100456080 B1 KR 10045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inlet
prod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193A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02-000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0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자화수로 형성시키는 자화수 생성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관(10)은, 그 관로(20)내에 다수의 자성체(22)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정수수단(50)을 구비하여서,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자화수를 접할 수 있게 되어 자화수의 효능을 모두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magnetization water creation pipe for waterworks}
본 발명은 상수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자화수로 형성시키는 자화수 생성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에 자화수 생성관을 연결하여서 자화수를 공급토록 한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화수는 예로부터 건강음료로 권장되어 온 안전한 물인 것이다.
이러한 자화수는 물속에 잔존되어 있는 해로운 기체 성분이 제거되고, 물 분자가 가장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해독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화수는 사람과 환경에 유익한 수질로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인해 건강을 증진시키고, 정화 및 산화방지 기능, 스케일(scale) 부착방지 기능을 갖고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일반 가정용 상수도에서는 상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상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받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자화수의 효능을 누릴 수 없었다.
특히, 일반 가정으로 공급되는 상수도는 산업이 발전함에 따른 상수원의 오염이 심각하여서 식수로는 부적합하고, 이로 인해 번번히 물을 끓여서 식수로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별도의 정화장치 즉, 상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서 사용되는 정수기 등을 설치하여서 물을 끓이지 않고 그대로 식수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정수기의 부피로 인한 설치공간이 요구되어 공간적인 제한이 따르며, 정수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시에 무시할 수 없는 비용이 요구되어 가계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상수도관에 자화수 생성관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자화수 생성관에 정수기능을 부가하여 주므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자화수를 식수 등과 같은 용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수기의 설치로 인한 가계부담을 덜게 되고,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토록 한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에 연결관이 구비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에 정수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의 정수수단에 따른 유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비정수시의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정수시의 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성관 10a : 발포층
12 : 유입구 14 : 단차홈
16 : 토출구 18 : 토출노즐
20 : 관로 22 : 자성체
24 : 흡입공 26 : 개폐판
30 : 노즐 32 : 나선형돌기
34 : 자성체 36 : 요홈
40 : 연결관 42 : 체결구
44 : 패킹부재 46 : 캡너트
50 : 정수수단 52 : 필터
54 : 바이패스관 56 : 공급관
58 : 제 1 방향전환밸브 60 : 제 1 기어
62 : 조절노브 64 : 표식부
66 : 제 2 방향전환밸브 68 : 제 2 기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에 구비되는 자화수 생성관에 있어서, 상기 생성관은 상수도관에 연결되어서 구비되도록 그 일측 상부에 유입구가 돌출.형성되고, 이 유입구의 반대편 하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유입구과 토출구를 연통시켜서 물이 유동하도록 된 관로가 절곡.형성되며, 이 관로의 내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관로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다수의 자성체가 내장되어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관의 유입구내에는 이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서 물이 관로내를 신속하게 유동하도록 된 노즐이 구비되되, 이 노즐의 하부 내주면에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과 이격된 유입구의 일측에는 생성관의 관로내를 유동하는물에 산소가 용존되어 함유되도록 한 흡입공이 천공되고, 이 흡입공상에는 물의 접촉에 따라 흡입공을 개폐시키도록 된 탄성력을 갖는 얇은 판막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재질의 개폐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생성관에는 이 생성관의 낮은 설치위치를 보상하도록 된 연결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관의 관로상에 유동되는 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물을 정수시켜서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관(10)은 그 내부에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된 단열재의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이 발포된 발포층(10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그 내부에 폴리우레탄폼이 발포된 발포층(10a)을 갖는 생성관(10)은 그 일측 상부에 상수도관에 연결되도록 된 유입구(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유입구(12)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단차져 함몰된 단차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유입구(12) 반대편의 생성관(10) 하부에는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16)에는 물을 집중 또는 비산시켜서 토출하도록 된 토출노즐(18)이 나사 결합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생성관(10)의 내부에는 발포층(10a)을 관통하여서 유입구(12)와 토출구(16)를 연통시켜 물이 유동하도록 된 관로(20)가 생성관(10)의 형상에 따라서 절곡.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생성관(10)의 관로(20) 내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자성체(22)가 내장되어서 구비되어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자성체(22)는 대략 4,600 가우스(GUS) 정도의 자력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수도관에 구비되는 생성관(10)은 상수도관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생성관(10)의 유입구(12)내에는 상수도관을 통해서 유입구(12)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서 물이 관로(20)내를 신속하게 유동하도록 한 노즐(30)이 내장되어 구비되되, 이 노즐(30)은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12)에 내장되어서 구비되는 노즐(30)은 그 외주면 상부의 단턱부가 유입구(12)내로 함몰되어 돌출된 단차홈(14)상에 걸림되어서 구비되므로써 단차홈(14) 이하의 유입구(12) 내주면과 노즐(30)의 하단부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즐(30)의 상부 내주면에는 유입구(12)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물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나선형돌기(32)가 시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노즐(30)의 하부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성체(34)가 내장되어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노즐(30)은 그 하부의 내주면에 자화시키고자 하는 소정의 부재(바람직하게는 "철판"임)를 구비한 후에 사출하여서 성형되되, 소정의 부재가 구비된 노즐(3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요홈(36)이 형성되도록 사출하여서, 사출후에 이 요홈(36)을 통해서 소정의 부재를 자화시켜 자성체(34)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된 노즐(30)과 이격된 유입구(12)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된 흡입공(24)이 천공되어서 유입구(12)내로 유입되는 물에 산소가 용존되어 함유되도록 하고, 이 흡입공(24)에는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이 역류되어서 흡입공(24)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얇은 판막으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개폐판(26)이 구비된다.
상기한 개폐판(26)은 그 일단이 유입구(12)의 내주면상에 볼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흡입공(24)상에 구비되되,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게 형성되어서, 수도콕크의 개방시는 물이 정상적으로 흐르게 되므로써 개폐판(26)의 단부가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서 흡입공(24)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흡입공(24)을 개방시키게 되고, 수도콕크의 폐쇄시는 물의 배출이 차단되어 생성관(10)의 관로(20)내에 물이 차게 되므로써 이 물이 개폐판(26)에 접촉되면서 물의 수압이 개폐판(26)에 작용하게 되어 수압에 의해서 개폐판(26)의 단부가 유입구(1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흡입공(24)을 덮어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개폐판(26)은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에 구비되는 연결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연결관(40)은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생성관(10)의 설치위치 즉, 낮게 설치되는 생성관(10)의 높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상기한 연결관(40)은 그 형상이 대략 "S"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생성관(10)의 유입구(12)상에 연결되어서 구비된다.
상기한 연결관(40)이 구비되는 유입구(12)상에는 캡너트(46)가 삽입되어서 구비되고, 이 캡너트(46)의 상부에는 연결관(40)과 유입구(12)의 결합부상에 기밀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러버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부재(44)가 유입구(12)의 단차홈(14)상에 압입되어 끼워져 구비된다.
상기한 유입구(12)에 대응한 연결관(40)의 일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체결구(42)가 구비되어서 유입구(12)상의 캡너트(46)가 그 내부로 패킹부재(44)를 수용하면서 체결구(42)상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고정된 캡너트(46)와 체결구(42)는 그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44)의 신축력에 의해서 이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기한 생성관(10)의 유입구(12)에 연결되는 연결관(40)은 유입구(12)상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 생성관에 구비된 정수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조절노브는 정수시의 유로를 확보한 상태이고, 가상선으로 도시된 조절노브는 비정수시의 유로를 확보한 것이며, 도 6의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정수수단(50)은 상수도관을 통해서 토출되는 물을 식수로서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상기한 정수수단(50)은 생성관(10)의 유입구(12) 하단부에 필터(52)가 내장되어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필터(52)의 일측에는 그 양단부가 각각 필터(52)와 생성관(10)의 관로(2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을 필터(52)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된 바이패스관(54)이 구비되고, 이 바이패스관(54)의 하부에는 그 양단부가 각각 필터(52)와 생성관(10)의 관로(2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필터(52)에 의해서 정수된 물을 다시 생성관(10)의 관로(20)내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관(56)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이패스관(54)과 공급관(56)이 연결된 생성관(10)의 관로(20)상에는 상수도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이의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된 제 1 방향전환밸브(58)와 제 2 방향전환밸브(66)가 구비된다.
상기한 방향전환밸브(58)(66)는 그 내부에 "T"자 형상의 유로를 갖는 구체의 볼로 이루어진 삼방밸브로서, 관로(20)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방향전환밸브(58)(66)의 일면 중앙부에는 이방향전환밸브(58)(66)를 연동시키도록 된 제 1 및 제 2 기어(60)(68)가 각각 축으로서 연결되어 치합되도록 구비되고, 이 제 1 기어(60)와 제 2 기어(68)는 생성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제 1 기어(60) 및 제 2 기어(68)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기어박스가 구비되거나, 또는 기어가 스틸재질이 아닌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 1 기어(60) 또는 제 2 기어(68) 중 어느 하나에, 축으로서 연결된 조절노브(62)가 구비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노브(62)가 제 1 기어(60)에 구비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조절노브(62)상에는 화살표로서 이의 유로방향을 나타내는 표식부(6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관(10)은 그 일측 상부의 유입구(12)를 상수도관의 단부에 소정의 체결수단으로서 체결하여 설치하되, 이 상수도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인 별도의 금구를 매개로 설치함이 사용상에 더욱 편리한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수도관에 설치된 생성관(10)은 회전자재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생성관(10)의 설치위치가 너무 낮아 씽크대에서 식기세척 등과 같은 주방일을 행함에 있어 생성관(10)에 간섭되는 경우에는 연결관(40)으로서 생성관(10)의 높이를 높게 보상하게 된다.
상기한 연결관(40)은 그 일단부에 구비된 체결구(42)가 생성관(10)의 유입구(12)측에 구비된 캡너트(46)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한 유입구(12)의 단차홈(14)상에는 러버재질의 패킹부재(44)가 압입되어 끼워진 상태로서 유입구(12)의 캡너트(46)와, 연결관(40)의 체결구(42)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 결합부의 기밀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수도관에 생성관(10)을 구비한 후에, 상수도관의 수도콕크를 개방시키면, 상수도관으로부터 물이 토출되면서 생성관(10)의 유입구(12)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12)내로 유입되는 물은 이 유입구(12)에 내장된 노즐(30)로 유입되는 바, 이때 상기한 물은 노즐(30)의 나선형돌기(32)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되어 와류의 흐름으로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나선형돌기(32)와 아울러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된 노즐(30)의 내경에 의해서 노즐(3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은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노즐(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압이 상승되어서 생성관(10)의 관로(20)로 신속하게 토출되어 유동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압이 상승된 물은 노즐(30)을 지나면서 노즐(30)의 내경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자성체(34)에 의해서 자화되어 생성관(10)의 관로(20)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관(10)의 관로(20)내로 유입된 물은 관로(20)내를 유동하면서 관로(20)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된 다수의 자성체(22)에 의해서 완전하게 자화되어 이의 자화수가 생성관(10)의 토출구(16)를 통해서 토출되어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은 노즐(30)과 이격된 유입구(12)의 일측에 천공된 흡입공(24)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관로(20)내로 유입되면서 물에 혼입되어 용존되므로써 용존산소의 함유량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이 수도콕크의 폐쇄 등으로 인해 외부로의 배출이 차단되면, 물이 관로(20)내를 역류하면서 유입구(12)측으로 차올라 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물이 개폐판(26)에 접촉되면서 물의 수압이 흡입공(24)상에 구비된 개폐판(26)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개폐판(26)이 유입구(1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흡입공(24)을 덮어 폐쇄시키게 되므로써 흡입공(24)을 통한 물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고, 수도콕크가 다시 개방되면, 물이 정상적인 흐름을 갖게 되어 관로(20)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서 개폐판(26)에 작용되던 수압이 제거되므로 인해 유입구(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개폐판(26)이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폐쇄하고 있던 흡입공(24)을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상수도의 물을 식수로 직접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생성관(10)의 일측에 돌출되어서 구비된 조절노브(62)를 화살표로 표시된 표식부(64)를 보고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바이패스관(54) 및 공급관(56)에 평행하게 위치시키면, 조절노브(62)가 축으로서 연결된 제 1 기어(60)가 조절노브(62)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제 1 기어(60)에 치합된 제 2 기어(68)가 제 1 기어(60)에 의해서 연동되면서 제 1 기어(6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동되어서 회전되는 기어(60)(68)에 의해서 생성관(10)의 관로(20)내에 구비된 각각의 방향전환밸브(58)(66)가 첨부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서 제 1 방향전환밸브(58)는 생성관(10)의 관로(20)와 바이패스관(54)을 연통시키는 유로를 확보하게 되고, 제 2 방향전환밸브(66)는 생성관(10)의 관로(20)와 공급관(56)을 연통시키는 유로를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방향전환밸브(58)(66)에 의해서 확보된 유로에 의해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이 제 1 방향전환밸브(58)에 의해서 토출구(16)로 유입되지 못하고, 바이패스관(54)으로 유입되어서 생성관(10)의 일측에 내장되어 구비된 필터(5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52)로 유입된 물은 필터(52)에 의해서 정수되고, 정수된 물은 바이패스관(54)의 하부에 구비된 공급관(56)을 통해서 다시 토출구(16)에 인접한 생성관(10)의 관로(20)내로 공급되어서 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수도의 물을 자화시킴과 아울러 정수시켜서 식수로의 사용이 가능한 수질로서 형성하여 주므로써 자화수를 일상생활에서도 손쉽게 접할 수 있어 건강증진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일반 가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정수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발명수도용 자화수 생성관은 상수도의 물을 자화시킴과 아울러 정수시켜 주므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자화수를 식수 등과 같은 용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정수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그에 따른 가계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그 일단의 유입구(12)가 상수도관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관로(20)상에는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을 자화시키는 자성체(22)가 내장된 자화수 생성관(10)에 있어서,
    상기 생성관(10)의 유입구(12)내에는 유입구(12)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켜서 물이 관로(20)내를 신속하게 유동하도록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된 노즐(30)이 구비되되, 이 노즐(30)은 그 상부의 내주면에 유입구(12)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물이 와류의 흐름으로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한 나선형돌기(32)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의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도록 된 자성체(34)가 내장되어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0)과 이격된 유입구(12)의 일측에 생성관(10)내로 유입되는 물에 산소가 용존되어 함유되도록 한 흡입공(24)이 천공되고, 이 흡입공(24)에는 생성관(10)의 관로(20)내를 유동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그 일단이 유입구(12)내에 고정되고, 타단은 흡입공(24)상에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어서 흡입공(24)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된 얇은 판막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재질의 개폐판(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구비된 생성관(10)에는 상수도의 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시키는 정수수단(50)이 구비되되, 이 정수수단(50)은 생성관(10)의 유입구(12) 하단부에 내장되어서 구비된 필터(52)와;
    상기 필터(52)의 일측에 그 일단이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생성관(10)의 관로(20)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구비된 바이패스관(54) 및 공급관(56)과;
    상기 바이패스관(54)과 공급관(56)이 연결된 관로(20)상에는 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이의 유로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제 1 및 제 2 방향전환밸브(58)(66)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전환밸브(58)(66)를 연동시키도록 이 제 1 및 제 2 방향전환밸브(58)(66)에 각각 축으로서 연결되어 치합된 제 1 및 제 2 기어(60)(68)와;
    상기 제 1 기어(60) 또는 제 2 기어(68) 중 어느 하나에, 축으로서 연결되어서 생성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조절노브(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KR10-2002-0008209A 2002-02-15 2002-02-15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KR10045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09A KR100456080B1 (ko) 2002-02-15 2002-02-15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09A KR100456080B1 (ko) 2002-02-15 2002-02-15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00U Division KR200270281Y1 (ko) 2002-01-15 2002-01-15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93A KR20030062193A (ko) 2003-07-23
KR100456080B1 true KR100456080B1 (ko) 2004-11-10

Family

ID=3222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09A KR100456080B1 (ko) 2002-02-15 2002-02-15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807A (ko) 2022-05-24 2023-12-01 박진수 이온수 생성 활성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218A (ja) * 1998-08-20 2000-02-29 Masaaki Inoue 砂鉄を濾材とした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218A (ja) * 1998-08-20 2000-02-29 Masaaki Inoue 砂鉄を濾材とした濾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807A (ko) 2022-05-24 2023-12-01 박진수 이온수 생성 활성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93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731B2 (en) Ceramic disc diverter valve
US6634380B2 (en) Ceramic disc diverter valve
US20070181191A1 (en)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CA2401666A1 (en) Gravity flow faucet
MXPA01003511A (es) Alojamiento de valvula mezcladora para grifo con valvulas de retencion y filtros.
KR100456080B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KR200270281Y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CN107795712B (zh) 一种净水龙头
CA2156811A1 (en) Sanitary Fitting
KR200273313Y1 (ko) 자화수용 정수기
KR200270280Y1 (ko) 자화수 생성관용 노즐
KR200417359Y1 (ko) 주방용 알카 환원 정수장치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CN212177957U (zh) 一种双控管中管分质出水龙头
CN211734058U (zh) 一种简式过滤器
CN214171402U (zh) 一种摇杆开关净水龙头
CN1952451A (zh) 陶瓷芯龙头
CN214367886U (zh) 一种三通阀
JPH112479A (ja) 水分配器の水流制御装置
KR20110092406A (ko) 회전식 조절 수도꼭지
CN219263270U (zh) 一种带有净水管的厨房龙头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US20240125100A1 (en) Faucet structure
KR200256369Y1 (ko) 온도조절 가능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KR200370742Y1 (ko) 냉온정수 이온수기의 원수공급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