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898Y1 -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898Y1
KR200272898Y1 KR2020020001287U KR20020001287U KR200272898Y1 KR 200272898 Y1 KR200272898 Y1 KR 200272898Y1 KR 2020020001287 U KR2020020001287 U KR 2020020001287U KR 20020001287 U KR20020001287 U KR 20020001287U KR 200272898 Y1 KR200272898 Y1 KR 200272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t
seed
plat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202002000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898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품은 피트모스, 제지슬러지, 밴토나이트분말, 비료, 전분등을 원료로 물과 혼합한 습식슬러리를 판형태의 형틀에 부운 다음 표면에 식물종자를 파종하고 그 위에 수용성부직포를 씌운 후 압착하여 건조시켜 판형 매트를 만들고 이를 철망에 부착시킨 것으로 본 고안품을 하천제방의 호안에 설치하면 매트 하부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막아 주면서 매트 표면에 부착된 종자가 발아 되어 싹은 표면의 수용성 부직포를 뚫고 성장하며 그 뿌리는 하부의 매트를 통과하여 법면의 원지반에 착근되게 해주는 생태복원용 식생매트이다. 본 고안품은 판형 매트로 성형되면서 물에 풀어지지 않는 결합력을 가지되 식물의 뿌리가 뚫고 지나갈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식물의 발아와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고흡습력의 육모판과 그 위에 파종한 종자, 그리고 종자유실을 방지하는 수용성 부직포, 설치용 철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omitted}
본 고안은 하천호안의 법면보호 및 녹화공사에 적용되며 쇄굴로 인한 법면붕괴를 방지하는 토목적인 안정성과 다양한 식물의 도입을 통한 생태계의 복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천호안의 법면 보호 및 녹화공사에 적용되는 기술분야이다. 환경보존에 대한 배려가 어려웠던 개발시대에는 하천의 정비시 토목적인 안정성만 고려하여 콘크리트 호안블록으로 제방을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전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어 하천의 정비시 생태계의 복원을 꾀하는 자연형 하천의 도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식생돌망태공법을 예로 들수 있다.
식생돌망태공법은 상자형 돌망태로 제방을 축조하여 토목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그 위에 복토를 한 후 종자를 파종하여 식생을 도입함으로써 동시에 생태계도 복원하고자 하는 것인데 식물의 뿌리가 원지반에 착근되기 전 까지 갈수기에는 종자의 발아와 생장을 위해 관수를 계속해야 하는 사후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홍수기에는 침수로 인해 복토층의 유실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특별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식생매트로써 복토층의 유실을 막는 덮게 기능을 해야하므로 침수시 물에 풀어지지 않을 결합력을 가져야 하되 뿌리는 뚫고 지나갈 수 있어야 하고 흡수성이 뛰어나 최소한의 관수로 종자가 발아하여 성장할 수 있어야 하며 매트 자체에 함유된 영양분으로 식물이 계속 성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제공한다.
도 1은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의 시공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육모판
20:식물종자
30:수용성부직포
40:설치용 철망
본 고안의 구성은 육모판(10)과 식물의 종자(20), 종자유실방지용 수용성부직포덮게(30), 고정용 철망(40)으로 되어 있다.
먼저 육모판(10)은 피트모스 40내지 45중량%, 제지슬러지 30내지 35중량%, 밴토나이트분말 8내지 10중량%, 복합비료 3내지5중량%, 전분 3내지 5중량% 비율의원재료에 물로 혼합한 습식슬러리를 판형 형틀에 부운 다음 압축성형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호안의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덮게 역할을 하면서도 식물종자의 발아와 생육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는 하며 침수시 물에 풀어지지 않는 결합력을 가지되 식물의 뿌리는 원지반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두께는 현장의 기후조건과 식물종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내지 5센티미터가 바람직하다.
식물의 종자(20)는 육모판(10)의 성형후 건조전 표면의 점력이 있는 상태에서 육모판 표면에 파종하고 그 위에 수용성 부직포(30)를 덮으면 육모판(10)과 종자(20), 수용성부직포가 일체형으로 접착된다. 수용성부직포는 종자유실을 방지하는 덮게 역할을 하지만 발아된 식물의 싹을 통과시켜 지면위로 자라게 해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성형된 매트를 호치킷으로 고정용 철망에 부착하면 하천호안 녹화용 식생매트가 완성되며 앙카를 이용하여 호안법면에 고정시키면 간단하게 설치된다.
본 고안품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수부의 호안에는 식생돌망태공법의 상부 덮게로 시공하고 고수호안에는 하천의 호안에 곧바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용 하천의 유속 및 수위를 감안하여 그 시공방법을 달리 정할 수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호안의 법면보호 및 녹화공사에 적용되는데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토목적인 안정성을 부여하면서 식물을 식재하여 생태계를 복원하고 아름다운 하천경관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피트모스 40내지 45중량%, 제지슬러지 30내지 35중량%, 밴토나이트분말 8내지 10중량%, 복합비료 3내지5중량%, 전분 3내지 5중량% 비율의 원재료에 물로 혼합한 습식슬러리를 판형 형틀에 부운 다음 압축성형하여 건조시킨 1내지 5센티미터 두께의 육모판(10)에 식물의 종자(20)를 골고루 파종한 후 수용성 부직포(30)로 덮고 그 위에 철망을 부착한 것으로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법면에 앙카로 설치하여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KR2020020001287U 2002-01-15 2002-01-15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KR200272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87U KR200272898Y1 (ko) 2002-01-15 2002-01-15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87U KR200272898Y1 (ko) 2002-01-15 2002-01-15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898Y1 true KR200272898Y1 (ko) 2002-04-20

Family

ID=7311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87U KR200272898Y1 (ko) 2002-01-15 2002-01-15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8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35B1 (ko) * 2002-04-30 2005-12-02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콘크리트 호안사면 녹화공법
KR100741715B1 (ko) * 2006-05-02 2007-07-23 정을준 침식방지식생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35B1 (ko) * 2002-04-30 2005-12-02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콘크리트 호안사면 녹화공법
KR100741715B1 (ko) * 2006-05-02 2007-07-23 정을준 침식방지식생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078B1 (ko) 호안식생매트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CN107237334B (zh) 一种道路路基挖方边坡框格梁护坡码砌植生袋绿化的施工方法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CN109329259A (zh) 一种用于水土保持的团粒胶囊喷播植物措施方法
CN111802183A (zh) 生态护坡及垂直绿化工艺
KR20020002181A (ko) 호안식생매트
KR200272898Y1 (ko)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JP2001115454A (ja) 自然植生導入法面保護壁および自然植生導入法面保護工法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KR200272951Y1 (ko) 자연형 하천 조성용 식생블록
KR20220130656A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KR100618279B1 (ko)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CN211498724U (zh) 一种防积水景观生态护坡
KR20040006976A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JP2789435B2 (ja) 護岸の緑化方法
KR200352912Y1 (ko) 호안블럭 녹화용 식생매트
KR101418223B1 (ko) 호안식생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32209A (ko) 식생호안 조성을 위한 식물 생육기반제 조성물
KR101187869B1 (ko) 테라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KR200290542Y1 (ko) 식물이 자라는 i형 콘크리트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