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01Y1 -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 Google Patents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01Y1
KR200272301Y1 KR2020020002075U KR20020002075U KR200272301Y1 KR 200272301 Y1 KR200272301 Y1 KR 200272301Y1 KR 2020020002075 U KR2020020002075 U KR 2020020002075U KR 20020002075 U KR20020002075 U KR 20020002075U KR 200272301 Y1 KR200272301 Y1 KR 200272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character
outpu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다인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인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다인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2020020002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01Y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이미지 스캐너를 결합시켜 문자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는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보이스 입출력부, 중앙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표시부,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고 출력되는 메모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데이터 버스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일반적인 보이스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의 중앙처리장치에 그 조작모우드를 선택할수 있는 키조작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이미지 스캐너를 구성하여 스캐닝한 문자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스캐닝시에 오류발생을 표시하고, 스캐닝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캐랙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선행되는 스캐닝된 모우드 판단 과정과, 상기 스캐닝 모우드가 아닌 경우에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의 기능 및 퍼스널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받은 기능을 판단하는 보이스 변환모우드가 판단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캐닝 모우드 판단과정에서 스캐닝 모우드 선택시에는 메모리에 스캐닝된 데이터가 캐랙터로 변환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캐랙터 변환가능시에 그 캐랙터 데이터를 라인버퍼에 저장하는 라인버퍼 저장과정과, 상기 라인버퍼 저장과정 후그 라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영문자와 한글, 숫자로 구별하여 영문자의 경우에는 그 해당 영문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이나 숫자의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영문자와 한글문자에 대한 음성출력시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문자나 숫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문자별 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A voice recorder having function of image scanner}
본 고안은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음성을 재생, 기록할 수 있는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에 이미지 스캐너의 기능을 결합시켜 스캐닝한 문자 데이터들도 소리로 들을 수 있게 하고, 그 외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보이스 레코더는 현재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녹음기의 대체 상품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카세트 녹음기 보다 소형화 및 장시간의 녹음기능 등의 장점이 소비자들에게 널리 인식되고 있다.
즉,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는 메모리칩의 용량이 증가되고 그 단가가 저렴화되면서 많은 양의 음성정보를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하여 그 음성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편리성이 추가되고, 기계적인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 고장의 우려 또한 기계적인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카세트 녹음기보다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이스 레코더의 경우에는 단지 음성신호를 데이터 처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문자데이터를 음성신호로써 처리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문자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듣기 위한 수단으로 스캐너를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이와 같은 제품이 실용화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되는 것이었다.
(1) 스캐너시의 오류해결방법
(2) 영어 문자와 한글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방법
(3)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와의 호환문제
(4) 퍼스널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처리방법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이미지 스캐너를 결합시켜 문자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영문자와 한글문자에 대한 음성출력시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문자나 숫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문자별 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와의 호환문제점을 해결하고 퍼스널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이 문자 데이터도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보이스 입출력부, 중앙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표시부,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고 출력되는 메모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데이터 버스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일반적인 보이스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의 중앙처리장치에 그 조작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는 키조작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이미지 스캐너를 구성하여 스캐닝한 문자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키조작부는 단순한 보이스레코더기능을 선택하는 보이스 레코더 선택스위치, 상기의 스캐닝 모우드 후 음성출력을 출력하는 스캐닝후 음성출력 선택스위치, 다운로드 후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다운로드 후 음성출력 선택스위치가 구성되어 각각의 모우드에 따라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모리부내에는 문자 캐랙터 및 그 문자캐랙터에 대한 보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롬 (ROM)과,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보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롬 (ROM)이 더 포함되게 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스캐닝시에 오류발생을 표시하고, 스캐닝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캐랙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선행되는 스캐닝된 모우드 판단 과정과, 상기 스캐닝 모우드가 아닌 경우에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의 기능 및 퍼스널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받은 기능을 판단하는 보이스 변환모우드가 판단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캐닝 모우드 판단과정에서 스캐닝 모우드 선택시에는 메모리에 스캐닝된 데이터가 캐랙터로 변환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캐랙터 변환가능시에 그 캐랙터 데이터를 라인버퍼에 저장하는 라인버퍼 저장과정과, 상기 라인버퍼 저장과정후 그 라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영문자와 한글, 숫자로 구별하여 영문자의 경우에는그 해당 영문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이나 숫자의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이미지 스캐닝을 한후 이미지 데이터를 캐랙터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처리순서도,
도 3은 도2에서 변환된 캐랙터 데이터에 따라 영문과 한글을 구별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의 출력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보이스 변환모드와 퍼스널컴퓨터의 데이터 다운시의 음성출력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보이스 입출력부
3 : 표시부 4 : 메모리부
5 : 인터페이스부 6 : 키조작부
7 : 이미지 스캐너 10 : 보이스 레코더
20 : 퍼스널컴퓨터
S1, S2, S3,... :스텝 RT1, RT2 :루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보이스 레코더는 중앙처리방치 (1)와 연결된 보이스 입출력부 (2), 중앙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표시부 (3), 중앙처리장치 (1)의 동작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고 출력되는 메모리부 (4)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 (1)와 연결된 데이터 버스 및 인터페이스부 (5)를 통하여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20)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구조는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의 중앙처리장치 (1)에 그 조작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는 키조작부 (6)와,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 (1)와 연결되는 이미지 스캐너 (7)로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부 (4)내 캐랙터 및 단어 보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ROM부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본 고안은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의 기능에 이미지 스캐너의 기능을 부가하고 있는 것으로, 그 절환모우드에 따라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고 저장하는 단순한 보이스 레코더의 기능과, 스캐닝 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캐닝 후 음성출력기능과,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어 퍼스널 컴퓨터에서 받은 문자 및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다운로드 후 음성출력기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캐닝 후 음성출력기능에는 보이스레코더의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결국 키조작부 (6)는 단순한 보이스레코더기능, 상기의 모우드 스캐닝 후 음성출력기능, 다운로드 후 음성출력기능을 스위치로써 조작한다.
먼저 상기 키조작부 (6)를 단순한 보이스 레코더 기능쪽으로 절환한 경우에는 이는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때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재생 및 녹음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고, 보이스 입출력부 (2)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메모리부 (4)내에 저장된다. 또한 재생시에는 메모리부 (4)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신호를 버스를 거쳐 보이스 입출력부 (2)를 통하여 재생된다. 이때 표시부 (3)는 이 구동상태 (녹음 및 재생)를 나타낸다.
또한 외부의 퍼스널컴퓨터 (10)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 (4)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퍼스널컴퓨터 (10)의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며, 반대로 퍼스널컴퓨터 (1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보이스 레코더 (10)의 메모리부 (4)에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보이스레코더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은 그 외 이미지를 스캐닝한 경우에는 스캐닝한 데이터를 캐랙터로 변환시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기능과, 퍼스널컴퓨터와 연결되어 그 데이터를 주고받고, 받은 문자 데이터는 음성신호로서 변환시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기지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이미지 스캐닝을 한 후 이미지 데이터를 캐랙터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처리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순서도는 먼저 스캐닝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2)에서 스캐닝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도 4로 넘어가 보이스 변환모우드 판단스텝 (S42)으로 진행되어 보이스 모우드인 경우에 상술한바와 같이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의 기능을 스텝 (S46)을 통하여 수행하고, 보이스 변환모우드가 아닌 경우에는 퍼스널컴퓨터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도 2에 의하여 스캐닝 모우드가 선택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타트 스텝 (S1)을 수행후 스텝 (S2)에서 스캐닝 모우드 선택여부를 판단하게된다. 이는 키조작부 (6)의 스위치의 절환여부로 판단하게 된다.
스캐닝 모우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1라인 이미지 스캐닝 스타트 스텝 (S3)와 1라인 이미지스캐닝 앤드 스텝 (S4)에서 스캐닝시 1라인 스캐닝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라인스캐닝 중에는 스텝 (S5), (S6)으로 진행되면서 스캐닝시의 에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게된다.
대개 스캐닝시의 에러는 스캐닝할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에러와, 스캐닝시 스캐닝 속도에 따른 에러가 주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데이터의 거리간격 에러의 경우에는 스텝 (S5)을 통하여 스텝 (S11)으로 진행하여 에러표시나 부져를 발생시키고, 스캐닝 속도에 따른 에러는 스텝 (S6)을 통하여 스텝 (S11)으로 진행하여 에러표시나 부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각각의 에러상태를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가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동일한 표시로 에러상태만을 나타내도 된다.
이와 같이 진행되어 정상적인 스캐닝시에는 스텝 (S7)로 넘어가 스캐닝한 데이터를 읽어드리고, 메모리저장 스텝 (S8)에서 읽어드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그후 스텝 (S9)으로 진행되어 퍼스널컴퓨터와 연결여부를 판단하여 연결시에는 스텝 (S10)으로 넘어가 퍼스널컴퓨터 (10)의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시키게된다.
이 과정은 퍼스널컴퓨터 (10)에 연결여부를 불문하고 스캐닝과정으로서 1라인씩 스캐닝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시키게 되고, 스캐닝시의 에러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스캐닝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1라인이 스캥닝완료가 되면, 스텝 (S4)에서 스텝 (S12)으로 넘어가 메모리에서 스캐닝한 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스캐닝버퍼에 읽어드린 후 스텝 (S13)에서 이 데이터가 캐랙터로서 변환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게된다.
이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OCR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변환된 코드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캐닝한 데이터가 캐랙터로 변환불가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14)으로 진행하고 변환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캐랙터로 변환시켜라인버퍼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캐랙터로 변환시키는 경우에는 OCR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변환시키게 된다.
다음의 스텝 (S15)에서는 라인버퍼에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 라인버퍼가 비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다음 스캐닝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즉, 스텝 (S15)에서 정상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캐랙터 데이터로 변환시킨 경우에도 라인버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즉, 문자가 없는 부분들을 스캐닝하는 경우 ) 데이터가 라인버퍼에 저장된 경우에만 도 3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게 된다.
결국 도 2에서는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캐랙터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고, 스캐닝시 발생하는 에러에 대한 처리방법과, 정상적으로 스캐닝시에는 스캐닝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를 OCR 프로그램을 통하여 라인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변환된 캐랙터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처리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영문자 및 한글의 캐랙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영문자 및 한글 문자를 구별하여야 되고, 특히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 (WORD)별 발음기호가 상이하기 때문에 단어별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기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숫자나 한글 문자의 경우에는 하나의 캐랙터별의 음성신호가 출력되게할 필요가 있다.
즉, 도 2에서 라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텝 (S16)에서 1라인이 종료될 때까지 읽어드리게 된다.
스텝 (S17)에서 하나의 캐랙터를 읽고, 스텝 (S18)에서 영문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 발음을 위하여 별도의 스텝 (S23)으로 진행하여 영문자 단어버퍼에 저장하게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영문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되고, 빈 문자 (스페이스)나 한글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영문자의 단어가 완성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텝 (S19)에서 단어버퍼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한 후 루틴 (RT20)으로 진행한다.
루틴 (RT20)에서는 단어 단위로 데이터를 검색하게 되어 그 해당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24)으로 진행하여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게된다. 그리고 스텝 (S25)을 통하여 한글이나 숫자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영문자 단위로 입력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하나의 캐랙터별 즉 영어의 A,B,..의 알파벳 음소별로 출력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스텝 (S21)을 수행하여 영문자 단어버퍼내의 저장된 숫자만큼 루프를 순환시킨 후 스텝 (S22)에서 캐랙터별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영문자 단어버퍼에 A,B,C 순으로 입력된 후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21)에서 3번의 루프를 순환시키게 하고, 순환시마다 A,B,C에 해당하는 알파벳 음소에 대한 음성신호를 스텝 (S22)에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스텝 (S18)에서 판단된 데이터가 영문의 아닌 경우에는 재차 영문자 단어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한 후 그 버퍼가 비워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스페이스 (빈 문자) 또는 한글문자나 숫자가 되므로 스텝 (S19)에서 영문자가 아닌 경우에 스텝 (S25)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 스텝 (S25)에서 1캐랙터를 읽어 한글이나 숫자의 경우 스텝 (S26)을 통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게된다. 만약 1캐랙터가 빈 문자의 경우는 바로 스텝 (S27)으로 진행되어 영문자 단어버퍼를 클리어 시키게 된다. 이는 영어단어의 경우에만 영문자 단어버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한글이나 숫자가 단어버퍼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영문자의 단어인 경우에도 단어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 후 바로 클리어되게 하여 다음 단어가 영문자 단어버퍼로 입력되게 하기 위한 조치이다.
결국 루틴 (RT10)에서는 영문자의 단어와 한글문자 (숫자포함)를 구별하고, 한글문자 및 숫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캐랙터 단위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단위로 판단한 후 루틴 (RT20)에서 영어단어별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개개의 문자로서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있다.
그후 다시 라인버퍼의 데이터 읽음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스텝 (S16)에서 판단한 후 종료 후에는 스텝 (S28)에서 영문자 단어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어버퍼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상기 루틴 (RT20)을 수행하여 영어단어나 문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영문자 단어버퍼를 클리어 시킨다. 그후 라인버퍼도 스텝 (S31)에서 클리어시킨 후 도 2의 A 개소로 점프하는 반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도 2에서 스캐닝하여 그 스캐닝 처리된 데이터를 라인버퍼에 저장시킨 후 도 3에서는 그 라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영문자나 한글문자 (숫자포함)인가를 판단하여 영문자의 경우에는 영문자 단어버퍼에 입력 후 단어단위로 음성신호를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한글문자, 숫자, 개개의 영문자로 출력되는 문자들은 개개의 문자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 스텝 (S2)에서 판단시 스캐닝모우드가 아닌 경우에는 도 4의 B의 개소로 점프하게 되어 보이스 변환모우드 인지여부를 스텝 (S41)에서 판단하여 보이스 변환모우드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이스레코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보이스 변환모우드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다운로드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텝 (S42)에서 퍼스널컴퓨터 (10)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이때 스텝 (S43)에서 데이터가 모두 다운로드가 된 후에는 스텝 (S50)에서 플레이키가 작동하는 스텝 (S50)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문서파일의 데이터를 읽어 종료되기 전까지는 스텝(S45)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의 루틴 (RT20)을 수행하여 상술한바와 같이 영어는 단어별로 구별하여 그 단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에 없는 단어는 개개의 문자별의 알파벳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 문자나 숫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문자나 숫자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이와 같이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출력한 후에는 스텝 (S44)에서 종료가 판단되면, 영문자 단어버퍼가 비워있는가를 판단하고(S47)하고 이에 따라 스텝 (S48)을 선택하여 도3의 루틴(RT10)의 실행여부를 선택 후 영문자 단어버퍼를 클리어 (S49)시킨 후 다시 도1의 A로 점프를 하게 된다.
즉, 도 4의 경우에는 보이스 변환모우드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퍼스널컴퓨터 (10)로부터 다운로드된 문자 데이터를 영문자, 한글문자, 숫자등에 대한 캐랙터 데이터를 음성신호로서 출력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별도의 스캐닝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키조작부 (6)의 절환상태를 판단하여 보이스 변환모우드의 경우에는 기존의 보이스 레코더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몇 개의 하드웨어적인 소자의 추가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플로우챠트를 제공하여 이미지 문자의 경우에도 이를 캐랙터 문자로 변환시켜 영문자 및 한글 (숫자)의 경우에 그에 대한 데이터 처리순서를 다르게 하여 모든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보이스레코더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이미지 스캐너를 결합시켜 문자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가 있는 것으로 눈이 어두운 사람이나 노안인 사람의 경우에도 문자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문자와 한글문자에 대한 음성출력시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한글문자나 숫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문자별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한글, 영문, 숫자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으며, 영어의 경우에는 단어별로 출력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음성을 청취할 수가 있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이 문자 데이터도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퍼스널컴퓨터의 자판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음성신호로서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처리장치 (1)와 연결된 보이스 입출력부 (2), 중앙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표시부 (3), 중앙처리장치 (1)의 동작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고 출력되는 메모리부 (4)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 (1)와 연결된 데이터 버스 및 인터페이스부 (5)를 통하여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20)와 연결되는 일반적인 보이스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레코더의 중앙처리장치 (1)에 그 조작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는 키조작부 (6)와,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 (1)와 연결되는 이미지 스캐너 (7)를 구성하여 스캐닝한 문자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작부 (6)는 단순한 보이스레코더기능을 선택하는 보이스 레코더 선택스위치, 상기의 스캐닝 모우드 후 음성출력을 출력하는 스캐닝 후 음성출력 선택스위치, 다운로드 후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다운로드 후 음성출력 선택스위치가 구성되어 각각의 모우드에 따라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 (4)내에는 문자 캐랙터 및 그 문자캐랙터에 대한 보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롬 (ROM)과, 영문자의 경우에는 단어별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보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롬 (ROM)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KR2020020002075U 2002-01-22 2002-01-22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KR200272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75U KR200272301Y1 (ko) 2002-01-22 2002-01-22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75U KR200272301Y1 (ko) 2002-01-22 2002-01-22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731A Division KR100472215B1 (ko) 2002-01-22 2002-01-22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및 그 데이터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301Y1 true KR200272301Y1 (ko) 2002-04-17

Family

ID=7311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075U KR200272301Y1 (ko) 2002-01-22 2002-01-22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287B2 (en) Display language conversion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selling system
CN101238508A (zh) 使用备选列表重述错误识别的词语
US20100145703A1 (en) Portable Code Recognition Voice-Outputting Device
US4481599A (en) Voice data output device providing operator guidance in voice form
CN111601154B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0472215B1 (ko)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및 그 데이터처리방법
KR200272301Y1 (ko) 이미지 스캐너 기능을 가진 보이스 레코더
JP3931166B2 (ja) 携帯型端末装置
JPH11327589A (ja) 音声認識システム
US5911031A (en) IC card memory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and/or video data concurrently or separatel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4244644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20140374A (ja) 電子図書再生装置及び電子図書再生プログラム
US73498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inputting a pronunciation symbol
JP3097721B2 (ja) ターミナルプリンタ
JP272916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H05323988A (ja) 音声出力機能を有するキーボード
JP3171253B2 (ja) ハンディ型icカードシステム
JP2000163407A (ja) 印字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559944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624659B2 (ja) 重畳ブロック復号化装置
KR1003886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46638A (ja) 情報操作装置
JPH09179931A (ja) 情報再生装置
KR960042377A (ko) 디에스피(dsp)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및 그 장치
JPH09223183A (ja) 文章情報出力装置のためのデータ入力方法及び文章情報出力装置並びにそのための情報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