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26Y1 - 과립충전기 - Google Patents

과립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26Y1
KR200271826Y1 KR2020010036597U KR20010036597U KR200271826Y1 KR 200271826 Y1 KR200271826 Y1 KR 200271826Y1 KR 2020010036597 U KR2020010036597 U KR 2020010036597U KR 20010036597 U KR20010036597 U KR 20010036597U KR 200271826 Y1 KR200271826 Y1 KR 200271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charger
support fram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태
Original Assignee
(주)대성후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후드텍 filed Critical (주)대성후드텍
Priority to KR2020010036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26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립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과립 주입시 용기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과립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기를 소정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호퍼가 장착된 호퍼본체, 상기 호퍼본체를 일정 행정 길이로 상하왕복시키기 위한 호퍼본체이동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에 위치된 용기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기고정장치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 각각에 과립을 주입시키기 위한 과립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립충전기{GRANULE FILLER APPARATUS}
본 고안은 과립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과립을 안전하게 주입시키기 위하여 호퍼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용기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과립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과립충전기는 과립이 함유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정한 용기에 과립을 충전시키는 장치이다.
도 7은 종래의 과립충전기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과립충전기는 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호퍼가 내장된 호퍼본체, 상기 호퍼에 과립을 주입시키기 위한 컵(미도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과립충전기를 이용하여 과립이 함유된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은다음과 같다.
첫째, 과립음료용 용기들을 컨베이어벨트(200)를 통해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킨다.
둘째, 상기 이동된 용기들의 내부에 과립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과립을 과립충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컵 등(미도시)(이하 '과립주입장치'라 함)을 사용하여 과립함유탱크(미도시)로부터 상기 각각의 호퍼(320)로 주입시킨다.
셋째, 과립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용기들을 다른 공정을 위해 전송시킨다.
이 경우 상기 용기는 상하 직경이 일정한 용기(이하 '캔'이라 함)를 사용하였으며, 캔의 주입구는 충분히 넓으므로 종래의 과립충전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안전하게 충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과립충전기는 패트병 등과 같이 용기의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과립을 충전시키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상기 충전기는 주입구가 좁은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립이 용기 주입구 밖으로 넘쳐버리거나 용기의 주입구에 과립이 쌓이게 되어 안전하게 충전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흔들림이 커서 과립이 안전하게 충전되지 못하거나 용기의 특성상(재질에 따른 부드러움)정확한 주입위치를 고정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목적은 용기의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과립을 충전시키에 적절한 과립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의 크기 및 모양과 재질(병/캔보다 부드러운)이 상이한 경우에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과립을 충전시킬 수 있는 과립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충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호퍼본체를 분리한 경우의 과립충전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충전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호퍼본체 측부를 제거한 경우의 과립충전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장치의 부분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과립충전기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프레임 20: 용기이송장치
22: 컨베이어벨트 30: 호퍼본체
32: 호퍼 34: 투입구
40: 호퍼본체이동장치 42: 제2구동수단
44: 제1바 46: 제1축
47: 안내편 48: 고정편
50: 용기고정장치 52: 제1지지체
53: 제1고정편 54: 제2지지체
55: 바디홀더 56: 넥홀더
56a: 제1평판 56b: 제2평판
56c: 지지편 57: 제1구동수단
58: 브라켓 60: 과립주입장치
62: 제3구동수단 64: 제2바
66: 제2축 67: 연결편
68: 제3바 69: 턴구동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과립충전기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기를 소정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에 위치된 용기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기고정장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호퍼가 장착된 호퍼본체, 상기 호퍼본체를 일정 행정 길이로 상하왕복시키기 위한 호퍼본체이동장치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 각각에 과립을 주입시키기 위한 과립주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고정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상측에 장착되어 용기의 목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제1고정편으로 구성된 내부지지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제2지지체와 용기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지지체의 하부에 장착된 바디홀더와 용기의 목을 외측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장착된 넥홀더를 포함하는 외부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지지체는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넥홀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넥홀더를 수평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있다.
상기 넥홀더에는 용기의 주입부 형상 및 크기에 상당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깔대기 모양이며 그 하단부에는 주입구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는 사용되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본체이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제2구동수단, 상기 제2구동수단의 일측에 연동되는 제1바, 상기 제1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에 연동되는 제1축,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 및 상기 제1축을 상기 호퍼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호퍼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충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립충전기는 지지프레임(10), 용기이송장치(20), 호퍼본체(30), 호퍼본체이동장치(40), 용기고정장치(50) 및 과립주입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이송장치(20)는 과립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용기를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컨베이어벨트(22)와 두 개의 스타휠(star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는 인피드스타휠(infeed starwheel)에 의해 상기 움직이는 컨베이어벨트(22)로 이동된다. 셋팅된 숫자의 용기가 모두 상기 컨베이어벨트(22)의 지정된 위치에 배열되면 스타퍼스타휠(stopper starwheel)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이송은 정지된다.
용기가 각 지정된 위치에 배열되면 상기 용기고정장치(50)가 작동하여 각 용기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충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고정장치(50)는 제1지지체(52), 제1고정편(53)을 포함하는 내부지지체와 제2지지체(54), 바디홀더(55), 넥홀더(56), 제1구동수단(57)를 포함하는 외부지지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내부에서 지지해 주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착된 제1지지체(52)와 상기 제1지지체(52)의 상부에 연결되어 용기의 주입구를 내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편(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외부에서 지지해 주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에 수직으로 장착된 제2지지체(54)와 상기 제2지지체(54)의 중간에 위치하여 각 용기의 몸체를 외부에서 지지해주는 바디홀더(55)와 상기 제1구동수단(57)의 작동에 따라 각 용기의 주입구를 외부에서 지지해주는 넥홀더(5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편(53)과 상기 바디홀더(55)는 각각 상기 제1지지체(52) 및 제2 지지체(54)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넥홀더(56)는 용기가 지정된 위치에 배열된 후에 상기 제1구동수단(57)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용기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구동수단(57)이 작동하여 상기 넥홀더(56)를 용기 주입구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고정편(53)과 함께 용기의 주입구를 완전히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장치의 부분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넥홀더(56)는 제1평판(56a), 제2평판(56b), 지지편(56c)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동수단(57)에 브라켓(5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평판(56a)은 용기의 주입구 형상 및 크기에 상당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용기의 주입구를 완전히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평판(56b)은 상기 제1평판(56a)에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그 일측은 상기 제1구동수단(57)에 브라켓(58)을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56c)은 상기 제1평판(56a)과 제2평판(56b)의 결합력 및 강도를 보강해주는 부재이다.
한편 상기 넥홀더(56)의 상기 제1평판(56a)의 요철부는 용기의 주입구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어, 사용되는 용기 구조에 따라 상기 넥홀더(56)를교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구동수단(57)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58)을 상기 넥홀더(56)와 볼트결합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가 각 지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용기고정장치(50)가 작동하여 각 용기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후 상기 호퍼본체(30)는 상기 호퍼본체이동장치(40)에 의해 하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본체(30)는 다수의 호퍼(32)가 내장된 장치로서, 상기의 호퍼(32)들은 용접 등 일반적인 체결수단에 의해 호퍼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호퍼(32)는 과립을 용기에 담는 장치로서 투입구(34)는 긴 스트롱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퍼(32)는 용기의 길이에 따라서 투입구(34)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투입구(34)의 길이를 길게 성형하면 호퍼본체(30)의 행정거리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호퍼본체이동장치(40)는 상기 호퍼본체(30)를 일정한 행정 길이로 상하왕복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제2구동수단(42), 제1바(44), 제1축(46), 안내편(47) 및 고정편(48)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제2구동수단(42)이 장착되어 제1바(44)를 일정한 행정길이로 상하왕복시킨다. 상기 제1바(44)의 양단부에는 제1축(46)이 연결되어 상기 제2구동수단(42)의 작동에 따라 제1바(44)에 연동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안내편(4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축(46)은 상기 안내편(47)의 관통공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왕복운동하므로,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호퍼본체(30)의 일측에는 고정편(48)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48)의 타측은 상기 제1축(46)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용기에 따라 투입구(34) 길이가 상이한 호퍼(32)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각 용도에 적합한 호퍼(32)로 교환하기 위함이다.
상기 호퍼본체(30)가 일정한 행정길이로 상기 호퍼본체이동장치(40)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호퍼의 투입구(34)의 단부가 상기 용기 주입구 속으로 들어간 후 상기 과립주입장치(60)가 작동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립충전기에서 호퍼본체를 분리한 경우 정면도이며, 도 4는 이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립주입장치(60)란 용기에 과립을 주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제3구동수단(62), 제2바(64), 제2축(66), 연결편(67), 제3바(68), 턴구동수단(6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제3 구동수단(57,42,62)은 피스톤실린더장치 등과 같이 상기 넥홀더(56), 제1바(44), 제2바(64)를 각각 상하왕복시킬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3구동수단(62)은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바(64)에 제2축(6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컵이 설치되어 있는 제3바(68)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67)에 의해 상기 제2바(64)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컵이 설치되어 있는 제3바(68)는 제3구동수단(62)의 작동에 따라 과립탱크(미도시)로 하강하여 과립이 충전된 후 지정된 위치까지 상승된다. 상기 상승된 제3바(68)는 그 양단에 연결된 턴구동수단(69)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며 이에 상기 제3바(68)에 설치된 컵이 연동되어 컵에 충전된 과립이 호퍼(32)로 주입된다.
호퍼(32)를 통해 과립이 용기에 충전된 후 상기 호퍼본체(30)는 호퍼본체이동장치(40)에 의해 일정한 행정길이만큼 상승되고 상기 용기를 고정하고 있는 넥홀더(56)는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과립이 충전된 용기는 다른 공정을 위해 이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과립충전기에 의하면, 용기의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과립을 충전시키에 적절한 과립충전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크기 및 모양이 상이한 경우에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과립을 충전시킬 수 있는 과립충전기를 제공하게된다.

Claims (8)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기를 소정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에 위치된 용기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기고정장치;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호퍼가 장착된 호퍼본체;
    상기 호퍼본체를 일정 행정 길이로 상하왕복시키기 위한 호퍼본체이동장치;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 각각에 과립을 주입시키기 위한 과립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상측에 장착되어 용기의 목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제1고정편을 포함하는 내부지지체;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제2지지체와 용기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지지체의 하부에 장착된 바디홀더와 용기의 목을 외측에서 지지하기위하여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장착된 넥홀더를 포함하는 외부지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지지체는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넥홀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넥홀더를 수평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넥홀더에는 용기의 주입부 형상 및 크기에 상당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넥홀더는 상기 제2지지체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깔대기 모양이며 그 하단부에는 주입구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는 사용되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본체이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제2구동수단;
    상기 제2구동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1바;
    상기 제1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에 연동되는 제1축;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 및
    상기 제1축을 상기 호퍼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호퍼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충전기.
KR2020010036597U 2001-11-27 2001-11-27 과립충전기 KR200271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97U KR200271826Y1 (ko) 2001-11-27 2001-11-27 과립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97U KR200271826Y1 (ko) 2001-11-27 2001-11-27 과립충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39A Division KR100448150B1 (ko) 2001-11-27 2001-11-27 과립충전기 및 과립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26Y1 true KR200271826Y1 (ko) 2002-04-11

Family

ID=7311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97U KR200271826Y1 (ko) 2001-11-27 2001-11-27 과립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75B1 (ko) * 2015-10-13 2016-02-18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음료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75B1 (ko) * 2015-10-13 2016-02-18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음료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3556B (zh) 填料阀单元
AU2010246346B2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products
CN107530489A (zh) 用于密封盒的支撑结构、运输或包装容器以及过程
US10500782B2 (en) Rotary machine comprising first stations and second stations rotating around a single main axis
AU2010246347A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products
CN107555380A (zh) 一种自动灌装机
KR100448150B1 (ko) 과립충전기 및 과립충전방법
KR200271826Y1 (ko) 과립충전기
CN215556979U (zh) 一种酒瓶定向排列运输装置
US4441878A (en) Bottle ejector
US20030168873A1 (en) Head for transferring containers, in particular bottles, within a palletiser
CN210480852U (zh) 一种四联瓶灌装、称重、旋盖一体机
CN209739431U (zh) 一种往容器内加注球珠的装置
KR101389991B1 (ko) 구획된 용기의 음료자동주입장치
US77531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ing spheroidal containers and packaging beverages in spheroidal containers
US20130145725A1 (en) Screwing Assembly for Screwing Closing Plugs onto Syringes
CN213326667U (zh) 一种护发素灌装瓶的自动上下料机构
KR101738756B1 (ko) 용기 정렬 및 내용물 주입장치
CN219384755U (zh) 一种饮用水灌装装置
KR101335986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WO2018003257A1 (ja) 液体ブロー成形による容器製造方法
CN216687431U (zh) 药用聚乙烯瓶快速传输装置
CN217625779U (zh) 出料通道、供料装置及贴标喷码设备
CN213738554U (zh) 一种液体自流式灌装机
CN213802846U (zh) 一种液体自动灌装机的运输稳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