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39Y1 - 약액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39Y1
KR200271739Y1 KR2020020000926U KR20020000926U KR200271739Y1 KR 200271739 Y1 KR200271739 Y1 KR 200271739Y1 KR 2020020000926 U KR2020020000926 U KR 2020020000926U KR 20020000926 U KR20020000926 U KR 20020000926U KR 200271739 Y1 KR200271739 Y1 KR 20027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ssembly hole
pipe assembly
chemical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용
Original Assignee
김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용 filed Critical 김영용
Priority to KR2020020000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39Y1/ko

Links

Landscapes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4개의 혼합약액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중의 그라우팅을 보다 견고하고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약액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다수개의 그라우트용 약액을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조를 구비하는 약액저장탱크와, 굴착에 필요한 천공수를 공급하는 천공수펌프와, 상단부에 슈위벨이 장착되고, 그라우트용 혼합약액 및 천공수를 지중에 분사하는 약액주입장치와, 상기 약액주입장치를 지지하여 작동시키는 보오링머신과, 상기 다수개의 약액저장조와 상기 약액주입장치의 상단부에 장착된 슈위벨의 다수개의 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주입장치로 공급하는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유량을 계량하는 유량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감시장치로 구성되는 그라우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액주입장치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파이프로써, 일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와 타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를 각각 갖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내측에 천공수파이프와, 2개의 급결제이송관과, 2개의 완결제이송관을 갖고 상기 외측관의 내주면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되는 파이프조립체를 구비하고, 상호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시추관부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써, 상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급결제토출공,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완결제토출공, 하단부에 국착을 위해 톱니형상을 갖는 굴착부 및 상단부 외주면에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일체로 갖고 상단부가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주입관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 하단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절개형성되는 급결제토출구,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급결제토출구까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급결제이송공,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1완결제이송공 및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2완결제이송공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의 상단측에 끼움조립되는 급결제토출블록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 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의 상단부 소정구간에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 및 중간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완결제토출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의 하단부측에 끼움조립되는 완결제토출블록과, 상단부가 상기 시추관부의 급결제이송관과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2개의 급결제이송관으로 분기된 관으로써 하단부가 상기 급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2개 약액이 혼합된 급결제 약액을 상기 급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급결제공급관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의 완결제이송관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제 1완결제공급관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의 완결제이송관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제 2완결제공급관과,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의 천공수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상기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천공수파이프조립공에 일축으로 끼움조립되어 상기 주입관의 선단에 천공수를 분사하여 땅을 굴착하기 위한 천공수파이프와, 상기 천공수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천공수파이프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제 1유도관조립공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천공수파이프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제토출블록으로 공급하는 제 1유도관 및 상기 제 1유도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제 1유도관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제 2유도관조립공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제 1유도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토출블록으로 공급하는 제 2유도관을 구비하는선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액주입장치{Same time Top and Bottom Separate Grouting System}
본 고안은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혼합약액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중의 그라우팅을 보다 견고하고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우트란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공사나 토질안정 등을 위하여 지반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 등에 충전재를 주입시켜 누수를 방지하거나 연약한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토목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그라우트공법으로 지중의 누수방지나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한 공사는 그라우팅 시스템이 사용하여 시공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그라우팅 시스템의 구성 및 계통을 예시하는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그라우팅 시스템은 3조식교반장치(a)와, 그라우트펌프(b)와, 유량계(c)와, 압력계(d)와, 보오링머신(e)과, 약액주입장치(f)와, 슈위벨(g)과, 천공수펌프(h)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3조식교반장치(a)는 3개의 약액조를 각각 2개의 그라우트용 약액으로 교반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즉, 3종류의 약액 A, B1, B2를 각각 A+B1(이하, "급격제"라 칭함)의 약액과 A+B2(이하, "완결제"라 칭함)의 약액으로 교반하여 2종류의 그라우트용 약액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약액을 배출하는 2개의 배출구에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그라우트펌프(b)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그라우트펌프(b)는 약액주입장치(f)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슈위벨(g)의 주입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약액주입장치(f)는 상기 보오링머신(e)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지지되어 천공작동되고, 약액주입장치(f)의 하단부에는 상기 약액주입장치(f)가 착탈가능하게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약액주입장치(f)는 대경의 외측관(f1)내에 소경의 천공수파이프(f2)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된 구조를 갖으며, 땅의 천공작업시 상기 천공수펌프(h)에 의해 펌핑되는 천공수는 상기 천공수파이프(f2)를 따라 이송되어 약액주입장치(f)의 선단부를 통해 분사되어 땅을 천공하고, 약액주입 작업시에는 천공수의 공급이 중단되고 그라우트펌프(b)에 의해 펌핑되는 그라우트용 혼합약액은 상기 천공수파이프(f2)과 외측관(f1)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어 선단부를 통하여 지중으로 주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약액주입장치는 2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그라우트 시스템중 약액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약액주입장치에 대하여만 기술된다는 것을 양지하기 바란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약액주입장치는 2중관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내측관은 청공수펌프와 연결되어 하단부로 천공수를 분사하며 굴착하고, 외측관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연결되어 내측관의 외주면과 내측관의 내추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지중에 급결제와 완결제를 교번으로 주입시켜 그라우트를 시공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약액주입장치는 급결제를 주입한 후 연결라인을 교체한 후 재차 완결제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그라우트를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용도 높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통로를 통하여 급결제와 완결제가 교번으로 주입되고, 완결제로 주입이 완료되면 약액주입장치를 이동시킨 후 재차 급결제를 주입한 후 완결제를 주입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약액주입장치가 위치한 자리에는 많은 주입제가 주입되고, 상대적으로 약액주입장치가 이동하는 자리에는 주입제가 적게 주입됨으로 주입제가 균일하게 주입되지 못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누수방지 또는 지반강화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4개의 혼합약액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중의 그라우팅을 보다 견고하고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약액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그라우트용 약액을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조를 구비하는 약액저장탱크와, 굴착에 필요한 천공수를 공급하는 천공수펌프와, 상단부에 슈위벨이 장착되고, 그라우트용 혼합약액 및 천공수를 지중에 분사하는 약액주입장치와, 상기 약액주입장치를 지지하여 작동시키는 보오링머신과, 상기 다수개의 약액저장조와 상기 약액주입장치의 상단부에 장착된 슈위벨의 다수개의 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주입장치로 공급하는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유량을 계량하는 유량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감시장치로 구성되는 그라우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액주입장치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파이프로써, 일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와 타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를 각각 갖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내측에 천공수파이프와, 2개의 급결제이송관과, 2개의 완결제이송관을 갖고 상기 외측관의 내주면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되는 파이프조립체를 구비하고, 상호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시추관부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써, 상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급결제토출공,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완결제토출공, 하단부에 국착을 위해 톱니형상을 갖는 굴착부 및 상단부 외주면에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일체로 갖고 상단부가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주입관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 하단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절개형성되는 급결제토출구,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급결제토출구까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급결제이송공,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1완결제이송공 및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2완결제이송공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의 상단측에 끼움조립되는 급결제토출블록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 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의 상단부 소정구간에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 및 중간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완결제토출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의 하단부측에 끼움조립되는 완결제토출블록과, 상단부가 상기 시추관부의 급결제이송관과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2개의 급결제이송관으로 분기된 관으로써 하단부가 상기 급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2개 약액이 혼합된 급결제 약액을 상기 급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급결제공급관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의 완결제이송관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제 1완결제공급관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의 완결제이송관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제 2완결제공급관과,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의 천공수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상기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천공수파이프조립공에 일축으로 끼움조립되어 상기 주입관의 선단에 천공수를 분사하여 땅을 굴착하기 위한 천공수파이프와, 상기 천공수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천공수파이프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제 1유도관조립공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천공수파이프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제토출블록으로 공급하는 제 1유도관 및 상기 제 1유도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제 1유도관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의 제 2유도관조립공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제 1유도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토출블록으로 공급하는 제 2유도관을 구비하는 선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그라우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적용한 그라우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할 때 선단부의 약액중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C-C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B-B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중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선단부를 적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20은 본 고안에 약액주입장치중 시추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시추관부가 선단부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약액주입장치 11: 주입관
100: 선단부 200: 시추관부
300: 약액저장탱크 310: 그라우트펌프
320: 유량계 330: 압력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적용한 그라우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시추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를 사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할 때 선단부의 약액중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C-C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B-B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중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의 선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선단부를 적용하여 그라우트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는 다수개의 시추관부(200)와 선단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시추관부(200)는 보오링머신에 의해 지지되고 땅을 천공한 후 상기 선단부(100)에 그라우트용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상호 착탈가능하게 길이방향 즉, 동축으로 조립되는 다수개의 관으로써, 각기 외측관(210)과,파이프조립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관(210)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파이프로써, 일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11)와 타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12)를 각각 갖고, 상기 파이프조립체(220)는 상기 외측관(210)의 내측에 천공수파이프(221), 2개의 급결제이송관(222)(223) 및 2개의 완결제이송관(224)(225)을 갖고 상기 외측관(210)의 내주면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된다.
상기 선단부(100)는 그라우트시공시 상기 시추관부(200)의 최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천공시에는 공급되는 천공수를 분사하여 땅을 천공하고, 그라우팅시에는 공급되는 그라우트용 혼합약액을 지중에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입관(11)와, 급결제토출블록(20)과, 완결제토출블록(30)과, 급결제공급관(40)과, 제 1 완결제공급관(50)과, 제 2 완결제공급관(60)과, 천공수파이프(70)와, 제 1유도관(80)과, 제 2유도관(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11)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써, 다수개의 급결제토출공(12)과, 다수개의 완결제토출공(13)과 굴착부(14)와 나사부(15)를 갖고 시추파이프(10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동축으로 조립된다.
상기 다수개의 급결제토출공(12)은 상기 주입관(11)의 상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완결제토출공(13)은 상기 주입관(11)의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된다. 상기 굴착부(14)는 주입관(11)의 하단부에 굴착을 위해 톱니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5)는 시추파이프(100)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주입관(11)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과, 제 1유도관조립공(22)과, 제 2유도관조립공(23)과, 급결제토출구(24)와, 급결제이송공(25)과, 제 1완결제이송공(26)과, 제 2완결제이송공(27)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11)의 상단부측에 끼움조립된다.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은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의 상면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은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 (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23)은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결제토출구(24)는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의 하단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23)과 연통되게 절개형성된다.
상기 급결제이송공(25)은 급결제토출블록(20)의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급결제토출구(24)까지 수직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26)은 급결제토출블록(20)의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27)은 급결제토출블록(20)의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과, 제 1유도관조립공(32)과, 제 2유도관조립공(33)과, 완결제토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11)의 하단부측에 끼움조립된다.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은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은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의 상단부 소정구간에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33)은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완결제토출구(34)는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의 중간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급결제공급관(40)은 상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 급결제이송관(222)(223)과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2개의 급결제이송관(40a)(40b)으로 분기된 관으로써 하단부가 상기 급결제이송공(25)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2개 약액이 혼합된 급결제 약액을 상기 급결제이송공(25)에 공급한다.
상기 제 1완결제공급관(50)은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 완결제이송관(222)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26)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26)에 공급한다.
상기 제 2완결제공급관(60)은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완결제이송관(223)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27)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27)에 공급한다.
상기 천공수파이프(70)는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 천공수파이프(221)와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상기 주입관(11)의 선단에 천공수를 분사하여 땅을 굴착하기 위하여 상기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20)(30)의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31)에 일축으로 끼움조립된다.
상기 제 1유도관(80)은 상기 천공수파이프(7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천공수파이프(70)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 및 완결제토출블록(30)의 제 1유도관조립공(22)(32)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천공수파이프(7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2유도관(90)은 상기 제 1유도관(8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제 1유도관(80)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20)(30)의 제 2유도관조립공(23)(33)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제 1유도관(8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토출블록(30)으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는
상기 그라우트펌프에 의해 복수개의 급결제이송관(222)(223)을 통하여 이송되는 A 약액과 B1 약액은 상기 선단부(11)의 2개의 급결제이송관(40a)(40b)을 통하여 이송되어 상기 급결제공급관(40)에 도달하여 상호 혼합되어 급결제를 형성한 후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의 급결제이송공(25) 및 급결제토출구(24)를 지나 상기 주입관(11)의 급결제토출공(12)을 통하여 지중에 주입되는 동시에 그라우트펌프에 의해 복수개의 완결제이송관(224)(225)을 통하여 이송되는 A 약액과 B2 약액은 각기 상기 선단부(100)의 제 1 및 제 2완결제공급관(50)(60)을 통하여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의 제 1 및 제 2완결제이송공(26)(27)을 통하여 이송된 후 A 약액은 제 1완결제공급공(26)과 연통되게 연결된 상기 천공수파이프(70)의 외주면과 제 1유도관(8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으로 이송되고, B2 약액은 제 2완결제이송공(27)과 연통되게 연결된 상기 제 1유도관(80)의 외주면과 제 2유도관(9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으로 이송되어 제 1 및 제 2유도관(80)(90)의 하단부에서 A 약액과 B2 약액이 상호 혼합되어 완결제를 형성한 후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의 완결제토출구(34)를 지나 상기 주입관(11)의 완결제토출공(13)을 통하여 지중에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급결제와 완결제를 동시에 지중에 주입시켜 충분한 주입이 이루어 졌을 때 보오링머신을 작동시켜 주입관(11)의 완결제토출공(13)이 이전 급결제토출공(12)이 위치됐던 자리에 위치시킨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급결제와 완결제를 주입시키며, 요구되는 지중의 그라우트 시공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시추관부(200)의급결제이송관(222)(223)중 어느 하나를 제거시켜 시추관부(200)의 급결제이송관(222)(223)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송되어 급결제약액은 선단부(100)의 급결제이송관(40a)(40b)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제 1 또는 제 2급결제는 상기 시추관부(200)의 외측관(210) 및 선단부(100)의 주입관(11)의 내측공간에 채워져 이송되어 상기 급결제이송간(40a)(40b)중 어느하나에 공급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급결제 약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완결제 약액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으로써, 시추관부(200)는 상기 천공수파이프(221)가 제거된 구조를 갖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을 때 상기 시추관부(200)내로 공급되는 천공수는 상기 외측관(210)의 내측공간을 따라 이송된 후 상기 선단부(100)의 천공수파이프(70)내로 공급되어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약액주입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선단부(100)는 상기 주입관(11)의 나사부(15) 이하의 구간이 나사부가 형성된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것으로써, 이러한 구조는 그라우트 시공시 급결제와 완결제가 분사되는 약액주입장치(10)의 외주면과 지중의 천공면 사이에 급결제와 완결제가 충전되어 확산될 수 있는 확산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주입제가 보다 균일하게 지중에 주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300은 약액저장탱크, 310은 그라우트펌프, 320은 유량계, 330은 압력계, 340은 보오링머신, 350은 천공수펌프, 360은 슈위벨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4개의 그라우팅용 혼합약액이 각기 다른 유체통로를 통하여 각기 이송되고, 약액주입장치내에서 각기 급결제와 완결제로 혼합되고, 급결제와 완결제를 교번으로 주입하지 않고 급결제와 완결제가 동시에 지중에 주입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킴과 동시에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급격제와 완결제를 약액주입장치의 상하단에서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약액주입장치가 위지된 자리나 이동하는 자리가 구별됨이 없이 균일하게 주입제가 주입됨으로 그라우트시공된 지중의 내구성이 좋고, 매우 우수한 누수방지 및 지반강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다수개의 그라우트용 약액을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조를 구비하는 약액저장탱크와, 굴착에 필요한 천공수를 공급하는 천공수펌프와, 상단부에 슈위벨이 장착되고, 그라우트용 혼합약액 및 천공수를 지중에 분사하는 약액주입장치와, 상기 약액주입장치를 지지하여 작동시키는 보오링머신과, 상기 다수개의 약액저장조와 상기 약액주입장치의 상단부에 장착된 슈위벨의 다수개의 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주입장치로 공급하는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유량을 계량하는 유량계와, 상기 그라우트펌프와 상기 슈위벨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약액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감시장치로 구성되는 그라우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액주입장치(10)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파이프로써, 일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11)와 타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12)를 각각 갖는 외측관(210)과, 상기 외측관(210)의 내측에 천공수파이프(221)와, 2개의 급결제이송관(222)(223)과, 2개의 완결제이송관(224)(225)을 갖고 상기 외측관(210)의 내주면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되는 파이프조립체(220)를 구비하고, 상호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시추관부(200)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써, 상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급결제토출공(12),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완결제토출공(13), 하단부에 굴착을 위해 톱니형상을갖는 굴착부(14) 및 상단부 외주면에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5)를 일체로 갖고 상단부가 시추파이프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주입관(11)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22),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의 내주면 소정위치부터 하단부까지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23), 하단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2유도관조립공(23)과 연통되게 절개형성되는 급결제토출구(24),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급결제토출구(24)까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급결제이송공(25),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1완결제이송공(26) 및 상면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22)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제 2완결제이송공(27)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11)의 상단측에 끼움조립되는 급결제토출블록(20)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써 상면 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의 상단부 소정구간에 동축으로 상기 천공수파이프조립공(31)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1유도관조립공(32),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제 2유도관조립공(33) 및 중간부측 외주면의 소정구간을 따라 소정폭을 갖고 상기 제 1유도관조립공(32)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완결제토출구(34)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주입관(11)의 하단부측에 끼움조립되는 완결제토출블록(30)과, 상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 급결제이송관(222)(223)과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2개의 급결제이송관(40a)(40b)으로 분기된 관으로써 하단부가 상기 급결제이송공(25)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2개 약액이 혼합된 급결제 약액을 상기 급결제이송공에 공급하는 급결제공급관(40)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200)의 완결제이송관(222)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26)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1완결제이송공(26)에 공급하는 제 1완결제공급관(50)과, 일단부는 상기 시추관부(200)의 완결제이송관(223)과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27)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제 2완결제이송공(27)에 공급하는 제 2완결제공급관(60)과, 일단부가 상기 시추관부(200)의 천공수파이프(221)와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상기 급결제 및 완결제토출블록(20)(30)의 천공수파이프조립공(21)(31)에 일축으로 끼움조립되어 상기 주입관(11)의 선단에 천공수를 분사하여 땅을 굴착하기 위한 천공수파이프(70)와, 상기 천공수파이프(7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천공수파이프(70)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20) 및 완결제토출블록(30)의 제 1유도관조립공(22)(32)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천공수파이프(7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1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제토출블록(30)으로 공급하는 제 1유도관(80) 및 상기 제 1유도관(8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써 상기 제 1유도관(80)의 외측에 조립되고,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급결제토출블록 및 완결제토출블록(20)(30)의 제 2유도관조립공(23)(33)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제 1유도관(8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 2완결제 약액을 상기 완결토출블록(30)으로 공급하는 제 2유도관(90)을 구비하는 선단부(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추관부(200)는 상기 급결제이송간(222)(223)중 어느 하나 또는 완결제이송관(224)(225)중 어느 하나가 제거되고, 제거된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약액은 별도의 이송관 없이 상기 시추관부(200)의 외측관(210) 및 선단부(100)의 주입관(11)의 내측공간으로 주입되어 상기 선단부(100)의 해당되는 이송관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추관부(200)는 상기 천공수파이프(221)가 제거되고, 시추관부(200)내로 공급되는 천공수는 상기 외측관(210)의 내측공간을 따라 이송된 후 상기 선단부(100)의 천공수파이프(70)내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00)는 상기 시추관부(200)와 조립되는 상기 주입관(11)의 나사부(15)이하 구간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장치.
KR2020020000926U 2002-01-11 2002-01-11 약액주입장치 KR20027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26U KR200271739Y1 (ko) 2002-01-11 2002-01-11 약액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26U KR200271739Y1 (ko) 2002-01-11 2002-01-11 약액주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928A Division KR100430850B1 (ko) 2002-01-08 2002-01-08 약액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39Y1 true KR200271739Y1 (ko) 2002-04-10

Family

ID=7307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26U KR200271739Y1 (ko) 2002-01-11 2002-01-11 약액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07B1 (ko) * 2013-10-28 2014-07-17 우경기술주식회사 약액 그라우트 투입배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07B1 (ko) * 2013-10-28 2014-07-17 우경기술주식회사 약액 그라우트 투입배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55421A (zh) 一种污染场地原位快速注入修复系统
CN207463808U (zh) 一种污染场地原位快速注入修复系统
KR100645071B1 (ko) 가압식 고강도 강관 그라우팅 장치
KR100430850B1 (ko) 약액주입장치
KR200271739Y1 (ko) 약액주입장치
KR20090121518A (ko) 그라우팅용 삼중관 또는 삼공관 동시 약액주입 선단장치 및이를 이용한 약액주입공법
CN206981418U (zh) 一种用于多种药剂混合注射的井管装置
KR101084636B1 (ko) 실리카 졸 그라우팅 약액을 지반 내에 주입하기 위한 다중관 약액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주입 공법
KR100842925B1 (ko) 그라우팅 장치 및 그라우팅 방법
KR100661961B1 (ko) 그라우팅용 다중관 약액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약액주입공법
KR20080079813A (ko) 다중 분사형 가압식 그라우팅 장치
KR200339990Y1 (ko) 그라우팅용 다중관 약액주입장치
WO2008120948A1 (en) Grouting apparatus and g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SE1950866A1 (en) Nozzle,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bolt in a rock hole
CN111760482B (zh) 混合装置
JP2000170150A (ja) 薬液注入管構造及び薬液注入工法
KR101348533B1 (ko) 지반보강을 위한 주입관 장치 및 지반보강 시스템
EP0584183A1 (en) A rock or concrete injection method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38513B1 (ko)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JP5064901B2 (ja) パッカー及びそれに用いるマントルの連結方法
KR100797846B1 (ko) 지중개량체 형성장치에 있어서, 원료투입 자동 분리조절장치
JPH04118467A (ja) 構造物のクラック注入装置
TWM576178U (zh) Drug perfusion system
CN217665399U (zh) 一种用于复配药剂制备的原位注入装置及系统
CN115839224B (zh) 一种油田用化学试剂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