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465Y1 - 손잡이 없는 부동전 - Google Patents

손잡이 없는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465Y1
KR200271465Y1 KR2020020001942U KR20020001942U KR200271465Y1 KR 200271465 Y1 KR200271465 Y1 KR 200271465Y1 KR 2020020001942 U KR2020020001942 U KR 2020020001942U KR 20020001942 U KR20020001942 U KR 20020001942U KR 200271465 Y1 KR200271465 Y1 KR 20027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pper body
fuselage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임
Original Assignee
서종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임 filed Critical 서종임
Priority to KR2020020001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465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용 손잡이가 없는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출구를 가진 상부동체를 잡아 돌리면 부동전의 하부 동체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고, 상부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다시 돌리면 개방되었던 밸브가 닫혀 물의 배출이 중단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부동전은 상부동체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가 하부동체 내부에 설치된 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닫히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 되어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부동전은 모두 다 밸브 개폐용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고, 회일적인 형상을 가질 수밖에 없어 보다 새롭고 혁신적이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현실에 부흥하기에는 한계가 따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부동전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손잡이가 전혀 필요없는 부동전을 제공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출구를 가진 상부동체와 부동전의 하부동체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연결 구성되게 하여, 배출구 또는 상부동체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배출되는 수량을 단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안정적이며 다양한 모양의 부동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없는 부동전{A nonfreezing valve}
본 고안은 개폐용 손잡이가 없는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출구를 가진 상부동체를 잡아 돌리면, 부동전의 하부 동체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고, 상부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다시 돌리면 개방되었던 밸브가 닫혀 물의 배출이 중단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부동전은, 상부동체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가 하부동체 내부에 설치된 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닫히고,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 되어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부동전은 모두 다 밸브 개폐용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형상을 가질 수밖에 없어 보다 새롭고 혁신적이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현실에 부흥하기에는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부동전의 상부동체와 하부동체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를 밸브지지봉을 이용하여 상부동체와 연결 고정시키고, 부동전의 수관 상단에 상부동체와 체결 고정되는 연결용 수나사관을 고정 설치하여, 상부동체가 상기 연결용 수나사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동체를 시계방향(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개방되면서 물이 출수되고, 상부동체를 반 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밸브가 닫쳐 물의 출수가 중단되게 하며, 상기 연결용 수나사관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두줄나사 또는 세줄나사로 형성하여 상부동체를 60°∼120°정도만 회전시켜도 밸브개폐가 완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손쉽고, 편리하며, 새롭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부동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작용상태 평면도
배출구(10)를 가진 상부동체(1)와, 퇴수공(20)을 가지며 내부에 회수공개폐구(21)와 밸브(22)를 설치하여서된 하부동체(2), 그리고 상하부동체(1)(2)사이에 수관(3)을 연결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부동전에 있어서,
부동전(100)을 상부동체(1)와, 하부동체(2), 그리고 하부동체(2)에 하단이 체결되는 수관(3)과, 상기 수관(3)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측에 상부동체(1)가 체결되어 상부동체(1)가 회전과 동시에 승강되게 한 연결용 수나사관(4)으로 구성함으로써, 밸브개폐용 손잡이가 없어도 상부동체(1)만 회전시켜 주면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부동전을 구성한 것이다.
상부동체(1)는 배출구(10)를 하측에 형성하여 물을 사용한 후 잠갔을 때, 상부동체 내에 물이 잔류하지 않게끔 하여 동절기에 상부동체 내부가 얼지 않도록 하고, 상단에는 암나사구멍(12)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여, 이곳에 저면중앙에 밸브(22)와 연결 설치되는 밸브 지지봉(23)을 연결 고정시킨 캡(11)을 체결하며, 상부동체(1)저면에 연결용수나사관(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관(13)을 형성하였다.
하부동체(2)는 밸브(22)가 작용하는 통수공(24)과, 퇴수공(20)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밸브 지지봉(23)하단에 고정 설치된 퇴수공개폐구(21)와 밸브(22)가 설치되어 상부동체(1)를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때 퇴수공개폐구(21)와 밸브(22)가 승강하면서 통수공(24)을 개폐시키게 하였다.
연결용수나사관(4)은 상단에 상부동체의 자연분해를 예방할 수 있게 고정수 나사부(43)를, 그리고 상기 고정수나사부(43) 하측에 상부동체(1)의 암나사관(13)이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41) 하측에는 육각 또는 팔각몸통(42)을 형성하여, 조립시 스패너나 파이프렌치, 또는 렌치등을 사용하기 용이하게끔 하였으며, 상기 수나사부(41)에 상부동체(1)를 조립한 뒤에는 고정 수나사부(43)위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수나사부(43)에 풀림방지용 너트(44)를 체결한다.
미 설명부호 5, 6은 밀폐용 패킹이고, 7, 8은 밀폐용 오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부동전에 손잡이가 없어 상부동체(1) 또는 배출구(10)를 잡아 60°∼120°만큼 회전시켜줌으로써 밸브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즉, 상부동체(1) 또는 배출구(10)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상부동체(1)에 형성된 암나사관(13)이 연결용 수나사관(4)의 수나사부(41)를 타고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결용 수나사관(4)의 수나사부(41)와 상부동체(1)에 형성된 암나사관(13)이 모두 두줄나사 또는 세줄나사로 되어 있어, 약간(즉, 60°∼120°)만 돌리더라도 밸브개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기에 밸브 개폐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동체(1)를 잡아 돌리게 되면, 상부동체(1) 상부에 체결 고정된 캡(1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캡(11)에 고정 설치된 밸브지지봉(23)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부동체(1)가 연결용 수나사관(4)의 수나사부(41)를 타고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됨에 따라 밸브 지지봉(23)에 연결 고정된 퇴수공개폐구(21) 및 밸브(22)가 승강하여 통수공(24)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부동전을 사용할 때 상부동체(1)나 배출구(10)를 잡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밸브가 개폐됨으로,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은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외관이 깔끔하고, 또 상부동체의 모양을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동전의 획일화된 모양도 탈피하여 고급화와 원가절감효과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배출구(10)를 가진 상부동체(1)와, 퇴수공(20)을 가지며 내부에 퇴수공 개폐구(21)와 밸브(22)를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부동전에 있어서,
    부동전(100)을 상부동체(1)와, 하부동체(2), 그리고 하부동체(2)에 하단이 체결되는 수관(3)과, 상기 수관(3)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측에 상부동체(1)가 체결되어 상부동체(1)가 회전과 동시에 승강되게 한 연결용 수나사관(4)으로 구성함으로써 밸브개폐용 손잡이가 없는 부동전을 구성하되,
    상부동체(1)는 배출구(10)를 하측에 형성하여 물을 사용한 후 잠갔을 때, 상부동체 내에 물이 잔류하지 않게끔 한 구성과;
    상단 중앙부분에 암나사구멍(12)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여, 이곳에 퇴수공개폐구(21)와 밸브(22)를 연결 설치한 밸브 지지봉(23)을 연결 고정시킨 캡(11)을 체결한 구성과;
    상부동체(1)하부에 암나사관(13)을 형성한 구성; 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암나사관(13)이 체결되는 연결용수나사관(4)은,
    상단에 상부동체의 자연분해를 예방할 수 있게 한 고정수나사부(43);
    상기 고정수나사부(43) 하측에 상부동체(1)의 암나사관(13)이 체결되도록 한 수나사부(41);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41) 하측에 스패너나 렌치를 사용하기 쉽도록 한 육각 또는 팔각몸통(42);으로 구성되게하여, 상기 수나사부(41)에 상부동체(1)를 조립한 뒤에 고정수나사부(43)에 풀림방지용 너트(44)를 체결함으로써, 상부동체(1)를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개폐가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없는 부동전.
  2. 1항에 있어서,
    상부동체(1)에 형성된 암나사관(13)과 연결용 수나사관(4)에 형성된 수나사부(41)를 2∼3줄나사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없는 부동전.
KR2020020001942U 2002-01-18 2002-01-18 손잡이 없는 부동전 KR200271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942U KR200271465Y1 (ko) 2002-01-18 2002-01-18 손잡이 없는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942U KR200271465Y1 (ko) 2002-01-18 2002-01-18 손잡이 없는 부동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465Y1 true KR200271465Y1 (ko) 2002-04-09

Family

ID=7307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942U KR200271465Y1 (ko) 2002-01-18 2002-01-18 손잡이 없는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4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4825A1 (en) Drai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0271465Y1 (ko) 손잡이 없는 부동전
CN203462541U (zh) 一种方便调节水位的水箱
CN209458430U (zh) 一种带有止逆功能的溢流阀
JP4686674B2 (ja) 締め付けナット
KR100322948B1 (ko) 손잡이 없는 부동전
KR100363445B1 (ko) 손잡이 없는 부동전
CN211255911U (zh) 一种一体式培养皿
US20020170985A1 (en) Spherical valve with a slanting grip
CN210088050U (zh) 一种耐高压的石油井下旋塞阀结构
JP2587366Y2 (ja) 開閉弁
KR200286128Y1 (ko) 개폐 가능한 배수구를 갖는 씽크대
JP2587367Y2 (ja) プラグ弁
CN208652469U (zh) 一种三防灯堵头
KR200215827Y1 (ko) 절수형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
KR0124148Y1 (ko) 보조출수관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전
CN207814527U (zh) 自回水节水阀门
KR200353925Y1 (ko) 절수 부동전
KR200392298Y1 (ko) 푸싱방식 밸브핸들을 구비한 부동 급수주
KR930007360Y1 (ko) 안전개스콕
CN2309474Y (zh) 带锁阀门
KR200235162Y1 (ko) 밀폐캡의 구조
JPH0422845Y2 (ko)
JPH0439895Y2 (ko)
KR950009399Y1 (ko) 연결밸브의 이중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