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414Y1 - 개량 수저 - Google Patents

개량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414Y1
KR200271414Y1 KR2020010040863U KR20010040863U KR200271414Y1 KR 200271414 Y1 KR200271414 Y1 KR 200271414Y1 KR 2020010040863 U KR2020010040863 U KR 2020010040863U KR 20010040863 U KR20010040863 U KR 20010040863U KR 200271414 Y1 KR200271414 Y1 KR 200271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soup
broth
receiving groove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이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욱 filed Critical 이병욱
Priority to KR2020010040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414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몸체의 저면에 물방울 형태로 메달린 국물을 수용하여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사용자가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때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사용자가 국물이 있는 음식을 부담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서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개량 수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량 수저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저몸체(10)와, 상기 수저몸체(10)의 어느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저손잡이(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 소요형태로서 내향 요입되는 국물 수용홈(12)을 형성하여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를 향하여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이 물방울 형태로 모아져서 상기 국물 수용홈(12) 내에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 수저{Spoon}
본 고안은 각종의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 사용하는 수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류나 찌개류를 섭취할 때에 주변에 국물을 떨어트리지 않도록 하여 주는 개량 수저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각종의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는 수저를 사용하여 왔으며, 통상의 수저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저몸체(1)와, 그 수저몸체의 어느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저손잡이(2)로 구성되어서, 식사 중에 밥이나 국물이 있는 국류 또는 찌개류를 편리하게 떠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수저는 국류 또는 찌개류를 떠서 섭취할 때에 주의하지 않으면 국물을 떨어트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목한 수저몸체(1)의 저면은 일정한 곡률로서 만곡져서 국물(A)이 흘러내려서 맺히기 쉬운 조건을 가지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사용자가 수저손잡이(2)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오목한 수저몸체(1)에 국류 또는 찌개류를 뜨면, 그 수저몸체 저면의 최대 만곡부에는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A)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수저몸체(1)의 저면은 만곡지는 형상으로서 물방울 형태의 국물(A)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배려되어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저를 입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수저몸체(1) 저면의 최대 만곡부에 물방울 형태로 메달린 국물(A)이 작은 흔들림에도 쉽게 탈락되어서 주변의 식탁이나 의복에 떨어지게 되므로, 식탁이나 의복이 국물(A)로 얼룩져서 지저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식사 중에 국물(A)을 떨어트리지 않기 위해서 주의를 기우려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수저몸체의 저면에 물방울 형태로 메달린 국물을 수용하여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사용자가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때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개량 수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사용자가 국물이 있는 음식을 부담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서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개량 수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수저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수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수저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수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저몸체 11: 최대 만곡부
12: 국물 수용홈 20: 수저손잡이
본 고안도 소정의 형상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저몸체(10)와, 상기 수저몸체(10)의 어느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저손잡이(2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고안의 개량 수저는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 소요형태로서 내향 요입되는 국물 수용홈(12)을 형성하여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를 향하여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A)이 물방울 형태로 모아져서 상기 국물 수용홈(12) 내에 유입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개량 수저는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 국물 수용홈(12)을 갖추어서, 그 국물 수용홈 내에 물방울 형태로서 모아져서 유입되는 국물(A)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첫째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때에 주변의 식탁이나 의복에 국물이 떨어져서 지저분하게 오염됨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때에 국물을 떨어트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우려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 소정의 형상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저몸체(10)와, 상기 수저몸체(10)의 어느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저손잡이(20)로 구성하며,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 소요형태로서 내향 요입되는 국물 수용홈(12)을 형성하여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를 향하여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A)이 물방울 형태로 모아져서 상기 국물 수용홈(12) 내에 유입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저몸체(10)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서 국류나 찌개류의 국물을 뜰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는 국물 수용홈(12)이 요입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를 향하여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A)이 국물 수용홈(12) 내에 물방울 형태로서 표면장력을 가지도록 수용하여서, 수저를 입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하여 수저몸체(10)의 저면으로부터 국물(A)이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국물 수용홈(12)은 반구형으로서 음각 성형하여서, 그 국물 수용홈 내에 국물(A)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물 수용홈(12)은 도4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마름모꼴형으로서 음각 성형하여서, 국물(A)을 수용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을 확보하여 주도록 할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수저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서 상기 수저몸체(10)에 담긴 국물을 입으로 옮겨서 섭취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 수저손잡이(20)는 상기 수저몸체(10)의 후방측 끝단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량 수저는 수저몸체의 저면에 흘러내린 국물을 수용하여서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는 국물 수용홈을 갖추어서, 국물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때에 주변의 식탁이나 의복에 국물을 떨어트려서 지저분하게 오염시키거나, 국물을 떨어트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우려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형상으로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저몸체(10)와, 상기 수저몸체(10)의 어느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저손잡이(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에 소요형태로서 내향 요입되는 국물 수용홈(12)을 형성하여서, 상기 수저몸체(10) 저면의 최대 만곡부(11)를 향하여 사방에서 흘러내린 국물(A)이 물방울 형태로 모아져서 상기 국물 수용홈(12) 내에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수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 수용홈(12)은 반구형으로서 음각 성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수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 수용홈(12)은 마름모꼴형으로서 음각 성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수저.
KR2020010040863U 2001-12-29 2001-12-29 개량 수저 KR200271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863U KR200271414Y1 (ko) 2001-12-29 2001-12-29 개량 수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863U KR200271414Y1 (ko) 2001-12-29 2001-12-29 개량 수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414Y1 true KR200271414Y1 (ko) 2002-04-09

Family

ID=7311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863U KR200271414Y1 (ko) 2001-12-29 2001-12-29 개량 수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4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204A (en) Eating implement
US5950856A (en) Plate and cup holder
US6210382B1 (en) Emesis device
USD521234S1 (en) Container for fly fishing tackle
US4606569A (en) Tongs for grasping food
KR200271414Y1 (ko) 개량 수저
USD444672S1 (en) Cup for beverages or foods
USD413359S (en) Handheld electronic fishing game
JP2005118522A (ja) 飲食用スプーン及びフォーク
US8722121B2 (en) Candy holder and candy product including the same
KR200270686Y1 (ko) 개량 국자
USD463221S1 (en) Eating utensil with toothpick incorporated therein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KR20210021423A (ko) 젓가락
USD475279S1 (en) Flexible pouch
USD446420S1 (en) Container and dispenser for liquid
US20020129500A1 (en) Table fork
USD513929S1 (en) Baby utensil with charm
JP4425599B2 (ja) 液体用匙
US20240164559A1 (en) A multi-utilitarian implement suitable for use on the dining table
KR970005292Y1 (ko) 젓가락 겸용 숟가락
KR200219681Y1 (ko) 젖병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JP3070111U (ja) 食品容器
KR200184526Y1 (ko) 개량 분유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