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18Y1 -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1318Y1 KR200271318Y1 KR2020010033565U KR20010033565U KR200271318Y1 KR 200271318 Y1 KR200271318 Y1 KR 200271318Y1 KR 2020010033565 U KR2020010033565 U KR 2020010033565U KR 20010033565 U KR20010033565 U KR 20010033565U KR 200271318 Y1 KR200271318 Y1 KR 2002713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ll
- webbing
- weaving
- present
- work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의 장소에서 작업자가 추락 재해 시 받는 물리적인 충격을 감재해 시 장치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사용되는 원리는 두 가닥의 재해 시(띠 모양의 벨트)재해 시 직조 시에 봉합사를 넣고 직조하여, 봉합사가 뜯어지는 힘에 의해 추락자의 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을 감소시키는 충격흡수장치이다.
본 고안은 기존 제품의 부피와 감속거리를 줄여서 작업자의 뜯어지는 방해를 적게 받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도모하였고, 또 추락시 추락의 거리를 줄여 추락에 따르는 2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고소의 장소에서 작업을 하다가 추락할 때 근로자의 몸에 두르는 띠 모양의 안전대와 지지물을 연결하여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물리적 충격하중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추락방지용품이다.
도 1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로 처음 만들 때에 두 가닥의 웨빙을 직조기계를 이용하여 붙여서 직조하며, 한쪽 끝은 두 가닥의 웨빙을 분리 시켜 별도의 보조 웨빙을 사용하여 두 가닥으로 분리된 웨빙의 각 끝을 보조 웨빙의 양끝으로 U자 모양으로 감싸면서 고리를 만들어 봉제하고, 이 고리모양으로 만들어진 양쪽 중 한쪽은 작업자에게 연결하고, 다른 한 쪽은 죔줄을 연결하여 지지대에 결속하면, 추락시 직조 끝 B 부분의 직조실이 뜯어지는 힘에 의해 감속력이 작용하여 추락물을 정지시키는 원리를 가진다. 보조 웨빙은 두 가닥을 직조하여 붙인 웨빙이 다 뜯어져도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의 제품은 봉제된 실의 양에 따라 감속거리와 충격하중이 서로 반비례로 작용하며, 띠의 폭은 적당량의 봉제 또는 직조된 실의 양을 갖기 위해서 40mm∼50mm 정도가 되어야하거나 두께가 두꺼워 져야하는 제한을 가지게 된다.
각 국에서는 충격흡수장치의 판매를 위해서는 반드시 국가가 인정하는 기관의 검정을 거쳐서 판매토록하고 있으며, 검정기준은 추락시 충격하중이 2000N(200kgf)∼6000N(600kgf) 사이에서 감속이 이루어지며, 감속거리는 1,000mm~1,600mm 이내에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충격흡수장치 제품의 제작은 반드시 이를 감안하여 설계·제작되어야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은 두 가닥의 웨빙을 직조하여 제작을 한다. 두 가닥의 웨빙의 뜯어진 부분이 감속에 사용되며, 감속거리는 뜯어진 부분이 양쪽으로 나뉘어 지므로 직조된 웨빙 길이의 2배가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두 가닥의 직조된 웨빙은 직조된 부분의 길이가 500mm 이내에서 감속을 완료하여야 한다.
직조된 실이 뜯어질 때 사용되는 힘은 충격하중으로 나타난다. 때문에 충격하중은 봉제 또는 직조된 실의 양에 비례한다. 충격하중을 적게 받는 제품은 봉제 또는 직조한 실의 량이 적어서 웨빙이 두 가닥으로 쉽게 뜯어지므로 감속거리가 길어져 작업자의 추락거리가 길어져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위험 요소가 증가하게 되며, 감속거리를 줄이려면 봉제 또는 직조량이 많아져야하는데 이는 충격하중이 높아지는 요인이 된다.
감속에 사용되는 웨빙은 기존의 제품이 500mm가 최대 길이이지만 본 고안은양갈래의 웨빙을 사용하여 감속을 하므로 사용되는 웨빙의 최대 길이가 1000mm가 되므로 같은 감속거리라면 보다 적은 충격하중으로 정지 시점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로 본 고안은 추락재해 발생시 물리적 충격은 적게 받고, 또 사용되는 웨빙의 폭이 조정가능하므로 제품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든다.
대표도는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양 방향 충격흡수장치 구조도
도 1은 현재 사용중인 단 방향 충격흡수장치 구조도
본 고안은 두 가닥의 띠모양의 웨빙을 직조하는 방법으로 붙이되 가운데 부분의 두 가닥을 직조하지 않고 제작한 띠모양의 웨빙이다.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의 고소장소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추락의 재해를 당하였을 때, 추락의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신체를 두르는 띠 모양의 웨빙에 고리를 달아 죔줄로 연결한 후 반대쪽의 끝단은 지지대에 연결하였을 때, 죔줄의 길이만큼 추락 후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은 작업자의 몸무게×죔줄의 길이×9.8kgf에 이른다. 예를 들어 75kg의 몸무게를 가진 사람이 1.5m 길이의 죔줄에 매달려 추락을 하게 되면 1100kgf의 충격하중을 받는다. 이때 작업자가 받는 충격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두 가닥의 띠 모양의 웨빙에 두 가닥을 직조한 실이 뜯어지면서 그 뜯어지는 힘이 추락자의 추락속도를 감속시키는 원리를 가지며 이때 추락자는 두 가닥의 띠 모양의 웨빙이 뜯어지는 힘만큼의 충격을 받게 되어 마지막에 받는 높은 충격하중을 분산시켜 낮은 충격하중을 받게 하여 추락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피를 줄여 작업자가 추락재해시 추락자가 받는 물리적인 충격하중을 적게 하여 추락자를 재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 고소작업자의 추락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 가닥의 웨빙을 봉제 또는 직조를 하여 결합하되 가운데 일정 길이는 봉제 또는 직조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충격흡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3565U KR200271318Y1 (ko) | 2001-11-02 | 2001-11-02 |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3565U KR200271318Y1 (ko) | 2001-11-02 | 2001-11-02 |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1318Y1 true KR200271318Y1 (ko) | 2002-04-10 |
Family
ID=7307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3565U KR200271318Y1 (ko) | 2001-11-02 | 2001-11-02 |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131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3784B1 (ko) * | 2007-09-04 | 2008-12-15 | 노주현 | 배낭형 완강기 |
KR101899480B1 (ko) * | 2016-10-12 | 2018-09-18 | 김도연 |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
-
2001
- 2001-11-02 KR KR2020010033565U patent/KR2002713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3784B1 (ko) * | 2007-09-04 | 2008-12-15 | 노주현 | 배낭형 완강기 |
KR101899480B1 (ko) * | 2016-10-12 | 2018-09-18 | 김도연 |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88940B1 (en) | Shock absorber | |
US6006860A (en) | Safety harness or belt with fiber means to indicate shock loading | |
CN110225783B (zh) | 具有一体式能量吸收器的背带 | |
US8701826B2 (en) | Shock absorbing lanyard | |
CA1127126A (en) | Energy absorbing lanyard | |
EP2844354B1 (en) | Energy absorber | |
US20080179136A1 (en) | Multiple tear-away member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 |
US7815013B2 (en) |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 |
DE69508944D1 (de) |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integriertem lastbegrenzer | |
JP2009504312A (ja) | エネルギー吸収ウェビング | |
CA2439825C (en) | Method to reduce horizontal lifeline tension and extension during fall arrest | |
US20210178202A1 (en) | Force damping system including a force damper, a tear-away lanyard, and a force absorbing harness | |
US20070068731A1 (en) |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 |
US20130105246A1 (en) | Energy absorber | |
KR200271318Y1 (ko) | 인명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 |
WO1995001815A2 (en) | Energy absorbing fall arrest device | |
US10874886B2 (en) | Energy absorber coil for safety harness | |
CA2521389C (en) |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 |
KR101882742B1 (ko) | 안전대 죔줄 | |
JP2020195518A (ja) | ランヤード | |
US20120024640A1 (en) |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nchoring a lifeline or the like | |
RU2016596C1 (ru) |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яс | |
KR20080005176U (ko) |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 |
CN214596886U (zh) | 一种能够缓冲坠落的安全带 | |
GB2283505A (en) | Tear-open webb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