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96Y1 -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96Y1
KR200270896Y1 KR2020010039802U KR20010039802U KR200270896Y1 KR 200270896 Y1 KR200270896 Y1 KR 200270896Y1 KR 2020010039802 U KR2020010039802 U KR 2020010039802U KR 20010039802 U KR20010039802 U KR 20010039802U KR 200270896 Y1 KR200270896 Y1 KR 200270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paper
heating
synthetic resi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2020010039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96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공급되는 펠트(Felt) 사이로 종이와 접합부재를 공급하여 이를 가열압착로울러를 이용해 같이 가열, 압착하므로서 펠트와 종이를 일체화시켜 강도가 보강된 펠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 차량 내장재용 펠트(Felt)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에 펠트공급로울러(10)를 각각 설치하여 펠트(20)를 공급하고 그 사이에 종이공급로울러(30)를 설치하여 펠트(20) 사이로 종이(40)를 공급하되, 종이(40)의 상, 하면에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60a)를 공급하여 이들이 동시에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펠트(20)와 종이(40)가 접합되게 하므로서 종이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늘어짐이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펠트의 대량생산이 가능케 된다.

Description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elt for interior finish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 내장재용 펠트(Felt)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공급되는 펠트(Felt) 사이로 종이와 접합부재를 공급하여 이를 가열압착로울러를 이용해 같이 가열, 압착하므로서 펠트와 종이를 일체화시켜 강도가 보강된 펠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트는 자동차나 가구등과 같은 제품의 내장재용뿐 만 아니라 의료용이나 건축, 환경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자동차의 경우, 대시보드, 천정내부, 도어트림내부, 트렁크내부등에 내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펠트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과 같은 단섬유화이버를 마 또는 저융점 섬유와 카딩하여 얇은 두께의 시트(Felt) 형태로 성형한 후 이 시트를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펀칭하고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므로서 다양한 두께를 가진 펠트로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펠트를 생산할 경우 가열 압착된 펠트를 연속 생산하여 이송시키거나 또는 로울러에 권취된 펠트를 재가공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강도가 약한 펠트에 쳐짐이 발생하므로서 완제품 성형시 그 형태가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펠트를 공급하는 로울러 사이에 접합수지가 피복된 접합지를 공급하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상, 하에서 공급되는 펠트 중간에 접합지가 같이 공급되게한 후 가열압착로울러를 이용해 펠트와 접합지를 한꺼번에 가열, 압착하므로서 종이로 된 접합지에의해 강도가 보강된 펠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생산된 펠트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의해 생산된 펠트의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펠트공급로울러 20, 20a : 펠트
30, 30a : 종이공급로울러 40 : 종이
50 : 접합부재공급로울러 60, 60a : 접합부재
70 : 가열압착로울러 80, 81 : 안내로울러
상·하부에 펠트공급로울러(10)를 각각 설치하여 펠트(20)를 공급하고 그 사이에 종이공급로울러(30)를 설치하여 펠트(20) 사이로 종이(40)를 공급하되, 종이(40)의 상, 하면에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를 공급하여 이들이 동시에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펠트(20)와 종이(40)가 접합되게 한 구성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펠트(20a)는 저융점화이버가 30% 이상 혼합된 펠트이고, 종이(40)는 합성수지제 본드로 된 접합부재(60a)가 도포되어있는 종이를 공급하여 이들이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되게 하므로서 펠트(20a)와 종이(40)가 접착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단섬유화이버와 마 또는 저융점섬유를 카딩하여 소정 두께의 시트를 형성하고 이 시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한 후 펀칭하고 가열, 압착하여서 된 펠트(20)를 권취한 펠트공급로울러(10)를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하부에서 동시에 펠트(20)를 공급하고 그 사이에 종이공급로울러(30)를 설치하여 펠트(20) 사이로 종이(40)를 공급되게하되, 종이(40)의 상, 하면에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를 공급하여 이들이 동시에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시키게되면, 가열압착로울러(70)로 공급된 펠트(20)와 종이(40)와 접합부재(60)는 상, 하 한쌍으로 된 가열압착로울러(70)에 의해 가열과 압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종이(40)의 상, 하면에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 가열압착로울러(70)의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액체에 가까운 성질로 변형되게되며, 이 상태에서 가열압착로울러(70)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서 펠트(20)와 종이(40)는 용융된 접합부재(60)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져 일체화 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펠트(20a)에 저융점화이버가 30% 이상 혼합된 펠트를 사용할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첨부도면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를 별도로 공급하지 않고, 표면에 합성수지제 본드로 된 접합부재(60a)가 도포된 종이(40)를 공급하는 종이공급로울러(30a)를 설치하므로서, 상·하부에서 공급되는 펠트(20a) 사이에 종이(40)를 공급하여 가열압착로울러(70)를 이용해 가열, 압착하게되면, 가열압착로울러(70)의 열에 의해 종이(40)에 도포되었던 접합부재(60a)가 용융되면서 펠트(20)와 종이(40)를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생산된 펠트는 내부에 펠트(20)보다 연화점이나 발화점이 높은 종이(40)가 개입되어있기때문에 펠트(20)의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펠트의 늘어남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종이(40)의 인장강도에 의해 펠트의 강도가 보강되므로서 단순 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장력에 의한 펠트의 늘어남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펠트의 생산에 있어서 적층되는 펠트 내부에 종이를 개입하여 펠트와 종이를 같이 가열, 압착하므로서 종이에 의해 펠트의 강도가 크게 보강되어 펠트의 생산, 가공중에 발생하는 펠트의 늘어남, 쳐짐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상·하부에 펠트공급로울러(10)를 각각 설치하여 펠트(20)를 공급하고 그 사이에 종이공급로울러(30)를 설치하여 펠트(20) 사이로 종이(40)를 공급하되, 종이(40)의 상, 하면에 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합성수지제 본드와 같은 접합부재(60)를 공급하여 이들이 동시에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펠트(20)와 종이(40)가 접합되게 한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펠트(20a)는 저융점화이버가 30% 이상 혼합된 펠트이고 종이(40)는 합성수지제 본드로 된 접합부재(60a)가 도포되어있는 종이를 공급하여 이들이 가열압착로울러(70) 사이로 통과되게 하므로서 펠트(20a)와 종이(40)가 접착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KR2020010039802U 2001-12-22 2001-12-22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KR200270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02U KR200270896Y1 (ko) 2001-12-22 2001-12-22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02U KR200270896Y1 (ko) 2001-12-22 2001-12-22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96Y1 true KR200270896Y1 (ko) 2002-04-06

Family

ID=7311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02U KR200270896Y1 (ko) 2001-12-22 2001-12-22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93B1 (ko) * 2020-05-26 2020-07-06 이권용 자동차 내장용 ldpe비닐 접착 펠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93B1 (ko) * 2020-05-26 2020-07-06 이권용 자동차 내장용 ldpe비닐 접착 펠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2421B2 (en) Improved nonwoven mol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774068B2 (en) Thermoplastic felt structure for automobile interior substrate
US8678458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s with decorative stitching
JP2006525141A (ja) 不織複合要素
RU269092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и, включающей в себя армирующий лист, и половая панель
MXPA04004294A (es) Proceso, composicion y recubrimiento de material laminado.
EP0747213B1 (en) Composite panel of plastic material, and process and device for its fabrication
US20150174797A1 (en) Press molding with reinforcing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00025888A1 (en) Method of making a back-molded plastic part
KR101954178B1 (ko) 단일니들펀칭기를 이용한 상, 하 방향 동시 니들펀칭에 의한 3층 복합부직포 제조방법
KR200270896Y1 (ko) 차량 내장재용 펠트 제조장치
US6547905B1 (en) Fabric covered support
KR200224710Y1 (ko) 자동차 내장 기재용 열가소성 펠트
US20040235377A1 (en)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of basalt fibers and polypropylene bin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53960A1 (en) Roof Line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KR20040041025A (ko) 차량 내장용 내장재 제조방법
JP3357194B2 (ja) 表皮材付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30048567A (ko) 차량 내장재용 펠트 및 그 제조방법
JP3352559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N1159150C (zh) 可模压的复合制品及其制备方法
KR930008400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품의 열간 프레스 성형방법
KR101090886B1 (ko) 저비중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0341097B1 (ko) 자동차용 선쉬이드보드의 제조방법
CN110576650A (zh) 复合板及相应制造方法
KR200405654Y1 (ko) 접이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